•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0.05, **p<0.01, ***p<0.001

*p<0.05, **p<0.01, ***p<0.001

(2) 상관관계 분석

연구가설에 대한 검증에 선행하여 문화시설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 원, 참여의사, 만족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변수의 상호작효의 관계성을 분석하

변수 요인 문항 표준화

요인 값 표준오차 CR(t값) P값 Cronba ch’s α

종속 변수

시설 만족도

만족도5 1.000 - -

-0.868 만족도4 1.027 0.068 15.038 ***

만족도3 1.014 0.069 14.683 ***

만족도2 0.928 0.068 13.610 ***

만족도1 0.948 0.064 14.735 ***

독립 변수

접근성

접근성3 1.000 - -

-0.851 접근성2 1.056 0.069 15.376 ***

접근성1 1.092 0.068 16.031 ***

안전성

안전성3 1.000 - -

-0.840 안전성2 0.992 0.067 14.871 ***

안전성1 0.942 0.064 14.731 ***

편의성

편의성3 1.000 - -

-0.878 편의성2 0.966 0.053 18.101 ***

편의성1 1.023 0.055 18.435 ***

정책지원

정책지원3 1.000 - -

-0.842 정책지원2 1.141 0.075 15.228 ***

정책지원1 1.033 0.072 14.378 ***

매개

변수 참여의사

참여의사5 1.000 - -

-0.844 참여의사4 0.817 0.070 11.596 ***

참여의사3 0.912 0.070 13.112 ***

참여의사2 1.034 0.074 14.052 ***

참여의사1 0.881 0.068 12.937 ***

<표 4-13> 문화시설의 측정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정 결과

기 위하여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은 대표적으로 사용하 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이는 변수들의 측정에 사용된 척도가 등간, 비율 척도인 경우 변수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방법이다.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연구 모형에 포함된 변수 간의 상호연관성의 정도와 본 연구 결과에서 설정한 변수의 개략적인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p<0.05, **p<0.01, ***p<0.001

위에 <표 4-14>는 주요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r값과 유의수준을 나타낸 것으로 독립변수인 접근성, 안정성, 편의서, 정책지원, 종속변수인 만족도, 매개변 수인 참여의사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산 관관계 계수의 값을 살펴보면, 독립변수하위 요인 간의 관계를 제외하고 독립변 수의 하위요인인 편의성과 만족도의 관계가 0.456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 지만 독립변수의 하위요인인 안전성과 참여의사의 관계가 0.126으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3)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문화시설의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 정책지원 및 문화시설에 대한 만족도 관 계 사이에 참여의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

구분 접근성 안정성 편의성 정책지원 만족도 참여의사

접근성 1

안전성 0.379** 1

편의성 0.359** 0.290** 1

정책지원 0.406** 0.500** 0.288** 1

만족도 0.393** 0.308** 0.456** 0.160** 1

참여의사 0.145** 0.126* 0.328** 0.037 0.294** 1

<표 4-14>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모형의 절대적합도의 χ²값이 220.148로 나오고 RMSEA 값이 0.019로 허용 기준치 0.08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증분 적합도는 NFI 값이 0.945, TLI 값이 0.992, IFI 값이 0.993, CFI 값이 0.993으로 다 기준치 0.9보다 커 서 허용기준치 내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간명적합도는 PNFI 값이 0.764, PCFI 값이 0.834 기준치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연구모형은 비교적으 로 접합하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와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표 4-16>과 같다.

첫째, 문화시설의 접근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 화 요인 값(0.142)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값은 0.038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접근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 (0.276)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값(0.000)이 0.05 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둘째, 문화시설의 안전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044)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 값은 0.499로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안전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0.041)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값(0.502)이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셋째, 문화시설의 편의성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399)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

모형 절대적합도 증분 적합도 간명적합도

χ² RMSEA NFI TLI IFI CFI PNFI PCFI 기본모형 220.148 0.019 0.945 0.992 0.993 0.993 0.794 0.834 기준치 <0.08 >0.9 >0.9 >0.9 >0.9 큰 값 큰 값

<표 4-15> 구조 모형의 적합도

값은 0.000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편의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 (0.189)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값(0.003)이 0.05 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넷째, 문화시설의 정책지원이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 화 요인 값(-0.037)이 부(-)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리고 P값은 0.548로 0.05보다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문화시설의 정책지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라 표준화 요인 값(0.139)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고 P 값(0.017)이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시설의 참여의사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보면 표준화 요인 값(0.176)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P값은 0.005로 0.05보다 작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표 4-16> 문화시설의 구조방정식 및 가설 분석 결과

*p<0.05, **p<0.01,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