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무선효과 회귀계수 모형

무선효과 회귀계수 모형은 학교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가 학생 특성에 따른 기 울기 차이로 나타난다고 가정하고 학교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는 모형이다 무선. 효과 회귀계수 모형에서 수준에 투입되는 변수는 1 ANCOVA모형 에서 학교 특9 성을 고려한 이후에도 특성화고 졸업예정자들의 취업결정 가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특성화고입학동기 가정의 진로지지 어머니 혹은 여성보, , ( 호자 의 최종학력 교육포부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시 사회적 대우에 대한 인식) , , , 구직효능감 장기적인 아르바이트 경험이다 무선효과 회귀계수 모형은 학생 특, . 성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무작위로 변하는지를 일차적으로 확인하고자 하기 때문에 수준2 (level-2)에는 어떠한 학교특성변수도 투입하지 않았다.

특성화고 입학동기에 따른 취업결정 가능성(log-odds)을 살펴본 결과 입학동기 가 취업일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163.3%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를 검증한 결과 특성화고 입학동기 기울기의 무작위 효과 , 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특성화고 입학동기 기울기는 학. , 교 수준에서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특성화고 입학동기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특성화고 입학동기 기울기 분산

가정의 진로지지에 따른 취업결정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가정의 진로지지를 , 높이 인식할수록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가정. , 의 진로지지를 한 단위 높이 인식할수록 5.8%씩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 검증한 결과 가정의 진로지지 기울기의 무작위 효과 , 는 .01 수준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다 즉 가정의 진로지지 기울기에 학교특성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 인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가정의 진로지지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가정의 진로지지 기울기 분산

어머니 혹은 여성보호자 의 최종학력에 따른 취업결정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 , 어머니 혹은 여성보호자 의 최종학력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취업결정 가능성은 ( ) 낮아졌다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어머니의 최종 학력이 년씩 높아질 때마다 취. , 1 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9.3%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모형의 회귀. 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혹은 여성보호, ( 자 의 최종학력 기울기의 무작위 효과 )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통. 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어머니 혹은 여성보호자 의 최종학력 기울기의 학교특( ) 성에 따른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어머니의 최종학력 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어머니의 최종학력 기울기 분산

교육포부에 따른 취업결정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교육포부가 높아질수록 학생, 들의 취업결정 가능성은 낮아졌다 구체적으로 보았을 때 교육포부가 년씩 높. , 1 아질 때마다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14.5%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 형의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교육포부 기울, 기의 무작위 효과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계적. 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교육포부 기울기의 학교특성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교육포부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교육포부 기울기 분산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시 사회적 대우에 대한 인식에 따른 취업결정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인식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취업결정 가능성은 높아졌으며, , 1단위 씩 높아질 때마다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17.5%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졸업 후 , 사회적 대우에 대한 인식의 기울기의 무작위 효과 는 .05 수준에서 통계적으 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졸업후 사회적 대우. 의 인식에 대한 기울기는 학교특성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졸업후 사회적 대우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졸업후 사회적 대우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구직효능감에 따른 취업결정 가능성을 살펴본 결과 구직효능감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취업결정 가능성은 높아졌으며, , 1단위 씩 높아질 때마다 취업을 선택할 가능성이 16.6%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형의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구직효능, 감 기울기의 무작위 효과 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계. 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구직효능감에 대한 기울기는 학교특성에서 차이가 없다 고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구직효능감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구직효능감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예정자의 장기적인 아르바이트 경험에 따른 취업결정 가 능성을 살펴본 결과 장기적인 아르바이트를 한 학생들의 취업결정 가능성은 그, 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높아졌으며 구체적으로 취업결정 가능성이 , 28.9%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형의 회귀계수가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장기적 아르바이트 경험 기울기의 무작위 효과 , 는 통 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아르바이. 트 경험에 대한 기울기는 학교특성에서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고정효과 절편

아르바이트 경험

무선효과 χ

학교특성 절편 분산

아르바이트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