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실험구축 및 시사점

문서에서 Study on the Realization Strategies (페이지 97-133)

C ․ H ․ A ․ P ․ T ․ E ․ R ․ 5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실험구축 및 시사점

디지털통합공간 실험구축사업은 1차년도의 결과에 따라 현실 기술 개발 수준을 고려 한 개념적 정의가 선행되었다. 1차년도에 정의한 통신환경, 단말기 등의 기술적 문제 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중화된 기술의 추가 도입을 통해 실험사업의 성공가능성을 전 망하였다. 이 장에서는 실제 공간에 대한 실험구축 과정을 통해 기술, 제도, 서비스, 데이터 등 세부 장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스마트폰 단말환경 및 범용 통신환경을 기반으로 현실공간 시스템 부문을 신규 구축하고, 안양시 예술공원을 중 심으로 가상공간 및 현실공간 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축전략을 제시하여 시사점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 실험시스템 개요

1) 실험시스템 추진 개요

(1) 실험시스템 구축의 배경 : 과년도 실험사업의 결과

1차년도『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Ⅰ)』결과에 따라 ‘차세대 디 지털통합공간’을 ‘현실 기술 개발 수준을 고려한 첨단 IT 서비스 제공의 단위 공 간’으로 개념적 정의가 선행되었다. 디지털통합공간은 디지털 융합시대의 첨단 국토화와 공간정보 기반 신산업 창출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본 실험시스템 구축의 목적은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의 개념적 정의 및 목표를 구체화

하기 위한 실험적 사례 모델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실제 실험구축을 통해 세부 시사점을 도출을 목적으로 본 연구사업에 대한 외주 기술용역 형태로 진행되었 다.

과년도에서 실제 실험서비스 구현을 목적으로 ‘전자공간 인프라 구축’과 ‘U-공간서비스 운영’ 구현을 위한 1차년도 실험사업을 통해 안양시 일부 권역을 대 상으로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의 실험적 사례 구현을 시도한 바 있다.

당시 1차년도 실험시스템의 특징으로는 ‘절전형 센서/무선통신 융복합기술 인 프라와 통신이 가능한 USIM28)을 장착한 공간정보 표출이 가능한 단말기’를 핵 심 기술로 정의하고 추진하였다. 그러나, 실험사업에 적용한 절전형 센서/무선 통신 융복합기술과 해당 통신 모듈이 탑재된 단말기 부분에 있어 실제 적용에 많은 제약과 문제점이 발생이 노출되었다.

특히 ‘디지털통합공간’ 개념에서 중요한 요소인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 측면에 있어 한계점이 파악되어 실현 수단 변경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 다. 절전형 센서/무선통신의 적은 통신 대역폭 문제와 절전형 센서/무선통신 인 프라 조성에 필요한 제도적․환경적 제약사항 및 문제점이 세부적으로 지적되었 다. 또한 센서/무선통신 모듈이 탑재된 대상 단말기 보급 및 대중화 실현의 어려 움 등 실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려해야 할 많은 사항이 지적되었다.

(2) 실험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 2차년도 실험시스템 구축의 기회요소 1차년도 실험사업 종료 시점인 2009년 말부터 국내 모바일 서비스 시장에서는 개방형 시장(Open Market) 환경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첫째, 2010년에 들어서는 디지털통합공간의 현실공간 내에서 활용되기에 충분

한 스마트폰의 보급 및 대중화가 급속히 이루어진 것이다.

둘째, 기존 3G 통신 기반의 피쳐폰29)과는 달리 Windows Mobile, Mac OS X,

28)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정보를 탑재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ICC(universal IC card)가 결합된 형태로써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

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며, 3세대 이동통신(WCDMA)의 단말기에 탑재된다.(출처 : 네이버 백 과사전)

Android 계열 등 다양한 환경을 갖춘 스마트폰은 개발자가 손쉽게 다양한 콘텐츠 를 개발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셋째, Wi-Fi 및 3G 등 기 구축 이동통신 환경을 그대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대중적 보급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디지털통합공간 실현을 위해서는 1차년도 실험사업 시 정의한 통신 환경, 단말기 등의 기술적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중화된 기술의 추가 도입 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실험사업 성공가능성은 밝아졌다. 즉, 절전형 센서/무선 통신 융복합기술과 해당 통신 모듈이 탑재된 단말기 대신 대 중화된 Wi-Fi 및 3G 통신 환경과 스마트폰 기반으로 진행하는 것으로의 설정이 그것이다.

(3) 실험시스템 구축의 목적

첫째, 이번 2차년도 실험시스템은 본 연구의 실현방안과 관련해 실제 공간에 대한 실험구축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기술, 제도, 서비스, 데이터 등 세부 장애요 소들을 총합 정리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 결과로 문제해결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여 향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등의 실제 사업 시행시 관련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둘째,『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Ⅰ)』실험의 가상공간시스템 부 문을 고도화하기 위하여 3차원 환경으로 서버 및 클라이언트 기능 확장을 통해 향후 지오웹 체계에 대비하고자 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단말환경 및 범용 통신환경을 기반으로 현실공간시스템 부문 을 신규 구축함에 있어서 , 안양시 예술공원을 중심으로 가상공간 및 현실공간 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29) Featur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의 대응 개념으로 스마트폰보다 낮은 연산 능력을 가진 저성능 휴대전화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이다. 고정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제조사가 휴대폰 제조 시 탑재 한 기능에 국한되어 활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그림 5-1> 실험시스템 목표

(4) 실험시스템 추진전략

첫째, 본 실험시스템은 ‘현실 기술 개발 수준을 고려한 첨단 IT 서비스 제공의 단위 공간’으로서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서비스 구현 대상지역으로서 1차년도 에 실험사업을 추진한 바 있는 동일 지역으로 구축되었다. 즉, 『안양시 예술공 원(면적 : 262,686㎡)』을 지속 선정하고, 예술 공원 내 예술작품(54종 203점)과 음식점 및 시설물을 대상으로 공간정보서비스를 구상 및 실현하였다.

둘째, 실험시스템의 구현 방향을 크게 가상공간시스템 부문, 현실공간시스템 부문 및 가상-현실공간 연계체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가상공간시스템 부문 은 물리적 공간을 웹 기반의 사이버공간 구축을, 현실공간시스템은 스마트폰을 통한 사용자 이동 위치정보와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실험시스템 구현을 위해 사 용된 핵심기술은 가상공간시스템 부문에 웹기술 및 웹기반 3차원 공간정보 기술 등이며, 현실공간시스템 부문에는 스마트폰 기반의 웹 GIS 기술, LBS 기술, 증 강현실(AR)30) 기술 등 이다.

셋째, 공공기관 구축 공간정보 혹은 GIS시스템을 활용하여 디지털통합공간 서 비스 실현의 가능성이 높은 ‘구현가능 기술’을 채택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년도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Ⅰ)』에서 선정한 기술의 한계점 및 제 약 사항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하고 차후 서비스 확산 가능성을 고려하여 진행하였다.

넷째, 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에서 활용될 통신망․디지털기기 등에 수반되는 기술적 및 제도적 제약 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현장 설치 기기의 최소화 를 추구하였다. 1차년도『차세대 디지털통합공간 실현방안 연구(Ⅰ)』에서 채택 한 절전형 센서/무선 통신 융복합기술의 경우, 다수의 현장 라우터 설치 및 개별 전원 공급 등 환경적 제약사항이 필연적으로 수반되었다. 이 경우, 해당 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특정 단말기를 대중에게 공급해야만 하는 등 서비스 제약사항 이 상당히 내재된 바 있다.

다섯째, 민간의 상업용 공간정보 구입 활용을 최대한 억제하고 공공기관에 의 해 기 구축된 공간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실험서비스 구현과정상 필연적으 로 느끼게 되는 공공 데이터의 접근성 및 품질수준을 분석하였다. 공공기관이 기 투자하여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 실험 서비스로 구현하 는 과정에서 적합한 데이터 품질, 변환여부의 필요성, 데이터의 양적․질적 수준

30) Augmented Reality,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 현실세계

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과 공공 데이터 접근성 등에 대한 전반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여섯째, 기존 공공서비스 구현사례에서 주요 고려사항으로 강조되어온 사용자 단말환경, 즉 사용자보유 PC 및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활용 가능한 GIS 기술을 적용하였다. 유선 인터넷의 보편화에 따라 국민의 대다수가 접근이 용이한 웹 기 반 GIS 기술을 접목하였으며, 특히 향후 투자가능성, 사용자 체감효과, 만족도 등 이 높은 첨단의 웹기반 3차원 GIS 기술을 적용하였다. 한편, 현실공간 서비스 부 문에는 스마트폰 활용가능한 모바일 GIS 기술 접목 및 사용자 위치기반의 LBS 기술을 접목하였다. 이는 향후 통신인프라 투자를 최소화하고 민간이 선투자한

Wi-Fi31) 및 3G32) 등 범용 통신기술 등 현재 IT 서비스 환경을 최대한 활용토록

하였다.

일곱째, 민간분야의 사업 추진 방향과는 다른 공공분야의 사업 추진 방향 차별 화를 중심으로 사업모델을 발굴하여 추진하였다. 주로 민간에서는 서비스 제공

일곱째, 민간분야의 사업 추진 방향과는 다른 공공분야의 사업 추진 방향 차별 화를 중심으로 사업모델을 발굴하여 추진하였다. 주로 민간에서는 서비스 제공

문서에서 Study on the Realization Strategies (페이지 97-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