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북아 국가의 역내 교역량 집중도 비교

문서에서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 (페이지 69-107)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71

본 장에서는 동북아 경제권을 형성하는 한국, 중국, 일본, 미 국, 대만, 홍콩간에 존재하는 무역거래량으로부터 국가간 상호의 존관계와 중심적 역할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총무역 거래뿐 만 아니라 국가간 분업구조상에서 중심국가로서의 역할에 있어 서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대분류 산업별로 나누어 제1차상품, 경 공업제품, 중화학제품 및 정보통신관련 제품으로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산업을 보다 세분화시켜 수출품목을 공산품, 기계 및 수송장비, 화학제품, 기타 공산품 등으로 구분하여 국가별 수출 구조와 물류이동에 있어서의 특징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수출 품을 용도별로 나누어 내구소비재, 비내구소비재, 원자재, 자본 재, 직접소비재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역시 동북아 경제권을 형성하는 국가간 무역구조와 분업구조 및 경제권 중심국가로서 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1. 동북아 국가의 총무역 거래규모

우선 동북아 경제권을 형성하는 국가간의 총무역 거래규모를 살펴보면 다음 <표 8>과 같다. 그리고 1994~2000년의 8년간의 구조변화는 <그림 12> 및 <그림 13>에서 보여주고 있다.

동북아 경제권의 주요 무역당사국간 무역거래는 미국, 중국, 일 본이 주도하고 있다. 2001년 기준으로 일본은 미국으로 1,209억 달러를 수출하였으며, 미국은 일본으로 631억 달러를 수출하였 다. 중국은 일본으로 578억 달러, 미국으로 543억 달러, 홍콩으로 465억 달러를 수출하였다.

반면 한국은 중국으로 182억 달러, 일본으로 165억 달러, 미국 으로 312억 달러를 수출하는 데 그쳤으며, 수입은 중국으로부터

72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133억 달러, 일본으로부터 266억 달러, 미국으로부터 224억 달러 를 수입하였다. 따라서 한국은 동북아 경제권에서 미국, 중국, 일본에 비해 교역물량 이동이 적을 뿐만 아니라 대만에 비해서 도 뒤지는 수준이다.

동북아 경제권에서 한국의 이런 위상은 과거 8년간 큰 변화 없이 유지되어 왔다. 1994년과 비교할 때 가장 큰 변화는 중국이 미국, 일본, 한국에 대한 수출물량을 크게 늘려온 것이다. 동 기 간 한국의 위상변화는 중국에 대한 수출을 크게 신장시키고 있 는 점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그림 12>와 <그림 13> 비교).

<표 8> 동북아 경제권 주요국간 무역거래(2001년 기준)

(단위 : 10억 달러)

한국 중국 일본 미국 홍콩 대만 북한

한국 18.2 16.5 31.2 9.5 5.8

중국 13.3 57.8 54.3 46.5 5.0 0.6

일본 26.6 30.9 120.9 23.2 24.2 1.1

미국 22.4 26.2 63.1 14.1 18.2

홍콩 1.2 9.4 1.5 9.6 0.0

대만 4.3 27.3 14.2 33.3 0.0

북한 0.0 0.2 0.2

주 : 국가간 거래는 한국, 일본, 중국, 미국, 대만, 홍콩 순으로 무역당사국간의 수출, 수입으로 작성되었음. 단, 2001년 대만, 홍콩 거래는 n.a.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73

<그림 12> 동북아 주요국간 무역거래(1994)

<그림 13> 동북아 주요국간 무역거래(2001)

74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2. 동북아 국가의 대분류 산업별 무역거래

(1) 제1차상품

1차상품에 있어서는 미국과 중국의 대일수출이 아주 현저하 다. 미국과 중국의 1차상품 수출에 있어서 그 다음 파트너는 한 국과 홍콩이다. 한국의 1차상품 수출은 일본에 대한 것이 비교 적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제1차상품의 물동량 거래에 있어서 국가간 상대적 중요도의 크기는 1994~2001년 8년간 큰 변화가 없고, 미국, 일본, 중국 중심의 교역이 동북아 경제권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중 국으로부터의 제1차상품 수입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점이 다소 특징적이다.

동북아 경제권에서 제1차상품의 교역량 현황과 변화상은 다음 의 <그림 14>와 <그림 15>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림 14> 동북아 주요국간 제1차상품 무역거래(1994)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75

<그림 15> 동북아 주요국간 제1차상품 무역거래(2001)

(2) 경공업

동북아 경제권을 형성하는 국가간 쌍방거래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분야는 경공업 분야이다. 미국을 제외한 한국, 중 국 및 일본은 비교적 대등한 무역거래를 하고 있다. 이는 이들 3국간에 경공업 분야에서 무역의 경합보완관계가 활발하며 때로 는 산업내 무역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은 일본에 대한 경공업 수출이, 일본은 미국에 대한 경공 업 수출이 활발하며, 중국은 미국, 일본, 홍콩에 대한 수출이 아 주 현저하다. 한국은 미국, 일본 및 홍콩에 대한 수출이 현저하 지만 중국, 일본 및 미국 수준을 따르지 못하고 있다.

과거 8년간 경공업 분야에서 교역량 변화의 특징은 중국의 미 국과 일본에 대한 수출이 매우 현저하게 증가한 점이다. 중국은 미국과 일본에 대한 경공업 수출을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동북아 경제권의 현저한 교역량 변화를 주도했다.

76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반면 한국은 미국, 일본, 홍콩 등에 경공업 수출은 늘리고 있 으나 상대적 크기에 있어서 중국에 대한 수출을 크게 증가시키 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이런 점들은 한국의 경공업 분야에서 중국의 역할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림 16> 동북아 주요국간 경공업 무역거래(1994)

<그림 17> 동북아 주요국간 경공업 무역거래(2001)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77

(3) 중화학제품(기타)

동북아 경제권에 있어서 중화학제품(기타)의 교역량은 일본과 미국과의 거래가 현저히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일본이 한국, 중국, 홍콩, 대만과의 거래수준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주 고 있다. 한국은 중국, 일본, 미국과의 거래에 있어서 상대적으 로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지난 8년간 기타 중화학제품 거래구조에 있어서 큰 변화가 없 으나 중국과 미국, 일본과의 거래량이 급격히 증가한 것이 특징 적이다. 한국의 경우에 있어서는 중국과의 교역량 증가가 현저 히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동북아 경제권의 중화학제품 교역량 변화에 있어서도 중국경 제의 부상에 따른 중국의 수출, 수입증가에 따라 일어난 무역구 조의 변화가 가장 큰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최근까지 동북아 경제권의 물동량 흐름과 구조변화는 주로 중국경제와 관련된 현 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78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그림 18> 동북아 주요국간 중화학제품(기타) 무역거래(1994)

<그림 19> 동북아 주요국간 중화학제품(기타) 무역거래(2001)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79

(4) 중화학제품(IT)

동북아 경제권의 교역에 있어서 최근 가장 획기적 변화가 일 어나고 있는 부분은 중화학제품 가운데 정보통신(IT)관련 제품 의 국가간 교역이다. 1994년에는 주로 일본이 동북아 경제권에 서 정보통신관련 제품의 수출을 담당하였다. 특히 일본과 미국, 한국, 대만, 홍콩과의 거래가 현저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2001년에는 정보통신관련 제품의 교역에 있어서 획기 적 변화가 있었다. 특히 한국과 중국의 부상이 현저하였다. 한국 의 미국, 중국에 대한 정보통신관련 무역량이 획기적으로 증가 하였다. 중국 역시 미국과 일본과의 무역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동북아 경제권의 한국, 중국의 정보통신 분야에서의 획기적 발전은 종래 일본이 주도하던 첨단분야에서 경합관계가 심화되 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산업내 무역에 의해 무 역량이 동반 증가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으나, 점차 경합관계는 오히려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경합관계는 경합품목수의 변화가 아니라 같은 품목 내에서 수출물량의 증가로 인한 경합 관계의 증대로 보아야 할 것이다.

80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그림 20> 동북아 주요국간 중화학제품(IT) 무역거래(1994)

<그림 21> 동북아 주요국간 중화학제품(IT) 무역거래(2001)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81

3. 동북아 국가의 주요 산업별 무역거래

동북아 경제권의 물동량 변화를 이상에서 살펴본 대분류 산업 별과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공산품, 기계 및 수송장비, 화학제품, 기타 공산품으로 구분하여 교역량 현황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경제의 선도산업과 관련된 자동차, 조선이 포함된 기 계 및 수송장비와 석유화학이 포함된 화학제품 산업의 교역량 변화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1) 공산품

동북아 경제권에서 공산품 거래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이 비교적 대등한 교역량 규모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은 일본과 의 거래를 제외하고 공산품 거래에 있어서는 낮은 교역량을 보 이고 있다. 역내에서 일본의 역할이 가장 높아서 한국, 미국, 중 국, 대만, 홍콩에 대해 많은 수출을 하고 있다.

1994~2001년간에 공산품에 있어서 물동량 변화를 보면 중국 이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미국에 대한 수출에 있어서 일본과 대등한 수준으로 성장하였으며, 한국과 대만과의 거래도 급증하고 있다. 한국은 특히 중국과의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이 공산품 교역에서의 특징이다.

82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그림 22> 동북아 주요국간 공산품 무역거래(1994)

<그림 23> 동북아 주요국간 공산품 무역거래(2001)

제4장 동북아 경제권의 무역거래와 동북아 경제중심 83

(2) 기계 및 수송장비

기계 및 수송장비의 교역은 주로 미국과 일본에 의해 주도되 고 있다. 특히 일본의 미국에 대한 수출이 현저히 높은 반면 미 국의 일본에 대한 수출은 이보다 훨씬 저조하다. 미국과 일본은 쌍방간의 거래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중국, 한국, 대만, 홍콩에 대한 수출에 있어서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국과 대만은 미국에 대한 수출에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1994~2001년간 기계 및 수송장비 부문에서 교역량 변화는 한국과 중국 및 대만의 급성장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과 미국이 주도하는 가운데 한국과 중국 및 대만은 미국, 일본에 대한 수출물량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 이 분야에서 중국의 성장 은 한국에 비해 훨씬 빠른 것이 특징이다.

중국의 급성장은 비교적 높은 기술수준을 필요로 하는 기계 및 수송장비 부문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 중국 및 대만의 경합관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역 시 동북아 경제권에서 중국의 급성장이 가져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문서에서 동북아 경제중심 기초여건 : (페이지 69-10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