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심융합특구 추진현황 및 육성방향

□ 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대도시에 산업, 주거, 문화기능을 복합화해 광역경제권의 혁신 거점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사업임

∙ 2020년 9월 23일 제27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본회의에서 국토교통부・중소벤처 기업부 공동안건으로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이 발표됨(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0)

- 도심부 용도변경 및 물리적 인프라 도입에 강점을 갖고 있는 국토교통부와 창업 및 혁신성장 지원사업의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의 협업을 통해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가 결합된 혁신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점을 특징으로 제시

- 미국 세인트루이스 코텍스 혁신지구,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포블레노우, 싱가폴 원노스 지구 등과 같이 삶-일-여가(live-work-play) 기능이 복합화된 융합형 혁신거점을 조성하겠다는 정책방향 제시

- 이와 더불어, 부처별로 분절적으로 추진되던 각종 혁신성장 지원사업을 지방도심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구심점을 마련하겠다는 공간전략이 제시되었음

∙ 도심융합특구의 사업목표는 지방광역권의 자생적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도심부

융복합 혁신공간을 마련하는 것이며, 핵심적인 가치는 아래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음

88

- (도심) 일터, 삶터, 놀터가 복합화된 지역거점 조성을 통해 청년일자리를 창출하고 지방 대도시의 활력을 제고하겠다는 사업목표 추진

- (범부처 융합) 지역별로 분절되어 있는 각 부처 혁신자원을 연계하는 물리적 플랫 폼을 조성해 연계사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

- (기능적 융합) 혁신・창업・기업지원・정주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인프라 조성을 통해 융복합 혁신생태계 육성기반을 마련

기존 개발방식 도심융합특구

공간형태 도시 외곽/저밀도

(접근성, 정주여건 부족) ⇨ 도시 중심지/고밀도 (접근성, 정주여건 양호)

지원방식 개발(하드웨어)과

기업지원(소프트웨어) 분리 ⇨ 개발(하드웨어)과 지원(소프트웨어)을 집적

달성목표 공급자 관점의 목표

(단편적 목표, 시행자 사업성 충족) ⇨ 수요자가 필요한 니즈 충족 (토탈 서비스, 좋은 입지 등 제공) 자료: 국토교통부 보도자료(2020.9.23.), 판교2밸리 지방에도 만든다. 국토교통부 국토정책과.

표 4-1 | 기존 개발방식과 도심융합특구의 차별성

2) 도심융합특구 지정 현황

□ 지방 광역시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도심융합특구는 현재 대구, 대전, 광주, 부산광역시 사업지구 선정이 완료된 상태(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11.24.)

∙ 도심융합특구 조성계획 발표(2020년 9월) 이후, 1차 사업지구로 선정된 지역은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임(2020년 12월)

- 대구광역시의 경우, 경북도청 이전부지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 삼성창조캠퍼스 등을 포함하는 약 98만㎡의 사업지구를 지정

- 특히 동대구 KTX역과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지정되어 캠퍼스

제4장 광역경제권 혁신거점 육성을 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방향 ․ 89

혁신파크 조성사업이 추진 중인 경북대학교나 창업보육 기능에 강점이 있는 삼성 창조캠퍼스 등과의 연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되었음

- 광주광역시에서는 시청이 위치하고 있는 상무지구 서편지역을 중심으로 김대중 컨벤션센터, 상무시민공원 등이 포함된 약 25만㎡의 부지와 주변의 대규모 유휴부지 60만㎡를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로 지정

- 광주광역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을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발표와 동시에 지정하며 부동산 가격 안정화 추진(국토교통부, 2020.12.22.)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0.12.22..

그림 4-1 | 대구(상단)・광주(하단)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위치도

90

∙ 이어서 2021년 3월 2차 사업지구로 지정된 대전광역시는 대전역 KTX 일대 등 타 지역보다도 도심부 입지에 가장 근접한 사업대상지를 확보(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3.10.)

- 지리적으로 근접한 범위에서 이격되어 있는 KTX 대전역 일대(103만㎡)와 충남도청 이전지 일대(21만㎡)로 구성된 사업지구가 지정되었음

- 특히 대전역 KTX역 주변지역은 제2 혁신도시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지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공공기관 이전사업 등과의 연계방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3.10.

그림 4-2 | 대전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위치도

∙ 3차 사업지구로 선정된 부산 도심융합특구 사업의 대상지역은 센텀2 도시첨단 산업단지임(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11.24.)

- 약 191만 ㎡의 면적을 갖고 있는 해운대구 반여동 일대의 센텀2 도첨단지는 부산시 에서 로봇산업 협동화단지로서의 육성계획을 이미 수립하고 있던 지역

- 이미 ㈜에스피시스템스, ㈜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등 코스닥 상장 선도기업 및 지역

바깥의 기업들에 의한 2천억 원 이상의 투자규모가 계획되어 있고, 입주의사를

타진하고 있는 기업들의 규모도 상당한 수준임

제4장 광역경제권 혁신거점 육성을 위한 도심융합특구 조성방향 ․ 91

- 더불어, 동명대 산학협력 캠퍼스 조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해양로봇센터 입주 등

관련 산학연 주체들의 집적도 예정되어 있어 향후 부울경권의 로봇산업 육성 및 제조혁신을 선도할 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이 풍부함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21.11.24.

그림 4-3 | 부산 도심융합특구 사업지구 위치도

92

2. 도심융합특구 주요 도입기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