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재생의 계획요소 도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6)

도시재생은 도시 전체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전략적인 접근아래 공공 과 민간의 파트너쉽을 통해 인간중심의 경제,사회,환경,문화,예술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방향이 결정된다.

도시재생의 계획요소 도출을 위한 선진해외사례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 구와 국내 도시의 지역성,문화와 연계한 도시재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김영환(2003)등이 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성장관리형 도심재생에 초점 을 둔 연구를 진행하였고,박천보,오덕성(2004)등은 몇 차례 논문을 통 해 영국,미국,일본,독일 등 선진국의 정책 및 제도를 고찰하려는 노력을 하였다.또한,임양빈(2006)등 일련의 연구자들은 대전,청주 등 국내 지 방 도시의 도심재생사업을 고찰함으로써 제도 및 재생방안에 대한 논의를 펼쳐나갔지만 주로 국외 사례와의 비교고찰을 통한 연구방법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그런 가운데,2006년 말 출범한 도시재생사업단이 활동 을 본격화하면서 주로 학술대회를 중심으로 국내 도시재정비 사업 및 구 도심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장윤배(2007)는 경기도 도시정비사업의 추진현황을 분석한 후 생활환경 의 질 지표를 통해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고,오동훈 외(2007)는 쇠 퇴원인에 따른 해외 사례를 분류하여 도시재생전략을 분석한 후 국내 적 용가능성을 제시하고 도시문화마케팅의 적용을 고려하고자 하였고,김영 외(2009)는 도시재생의 개발유형을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진 주시를 구체적인 대상으로 통해 비교분석,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문화 개 발 전략 도출을 위한 도시재생 방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아직까지도 국내 연구들에서는 공공의 역할이 강화된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도시재생사업모델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그 중 이 인규 외(2009)은 이미 도시재생에 대한 경험과 논의가 깊게 진행되어 온 영국의 예로부터 시작하여 국내외 도시재생 과제와 목표에 관련하여 언급 한 연구들을 종합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추진 방향과 목표를 제시하고자 방대한 자료를 가장 심도 있게 분석한 선행 연 구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의 상관성분석을 위해 고려 되어야 할 계획요소들을 누락 없이 검토하고자 이인규 외(2009)의 “지속가 능한 도시재생의 계획목표”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여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 상관성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분야 주요과제 계획목표

사회

· 문화

사회개발

커뮤니티 재활성화 사회혼합 및 다양성 확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역사 / 문화적 지역특성 계승

지역문화의 정체성 확보 역사유산의 보존 및 보수 지역특성을 반영한 도시디자인

인구 및 공공인프라 관리

원주민 재정착 대책 마련 교육시스템 강화

지역 공공서비스 강화 공공공간, 공공시설의 질 개선

참여증대 다양한 주체의 참여

마을 만들기 협정 [표 3-1]도시재생 계획요소

산업

· 경제

도시경제부흥

지역경제 재활성화 생산적 고용창출 도시마케팅

균형개발

단계적 개발

환경보존과 개발간의 균형 고려 상위 제도와의 연계

미래개발공간설정

가치관리

공적 자본투자의 효율성 및 통합적 관리 증대된 가치의 합리적 배분

부동산투기억제

도시안전 및 방재개선 도시방범 및 안전성 제고

도시방재 및 신속한 재해복구능력 제고

물리

· 환경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입체적 도시녹화 지속가능한 밀도분배 기존자원고려 이전적지 재활용

지속가능한 자원 및 에너지 이용

에너지 효율성 제고 효율적 폐기물처리

지속가능한 교통 및 유비쿼터스 시스템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구축

녹색교통 네트워크 구축 대중교통과의 통합적 연계 도시주요시설 접근성 제고 환경 친화적인 주차계획 유비쿼터스 통신시스템 구축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도시환경복원

쾌적한 지역 환경관리 도시생태환경복원 [표 3-1]도시재생 계획요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