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도매시장의 SCM 참여 여건

노지채소류의 산지와 도매단계 간 SCM 도입의 여건 분석을 위하여 주요 도 매시장에 대한 노지채소류 취급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도매시장은 33 개의 전국 공영도매시장 중 노지채소류의 거래 비중이 높은 8개의 중앙도매시 장(서울 가락, 부산 엄궁, 대구 북부, 인천 구월, 인천 삼산, 대전 오정, 대전 노 은, 광주 각화)과 대도시에 입지한 대규모 도매시장 4개소(서울 강서, 부산 반 여, 광주 서부, 구리) 등 12개 시장이다. 조사 품목은 배추, 무, 양배추, 양파, 파, 채소류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전국 33개의 채소류 취급 도매시장 중 12개의 대규모 도매시장별 취급 비중은 대규모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다. 전체 33개 도매시장 의 채소 거래량 중 12개 주요 도매시장의 취급 비중은 86.8%이며, 나머지 21개 도매시장의 취급 비중은 13.2%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만약 산지와 도매 시장 간 SCM 기반이 구축되어도 33개의 모든 도매시장이 SCM에 참여하는 것 이 용이하지 않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그리고 12개 도매시장 내 유통주체별 노

○ 농산물 SCM 기반구축 시사점

- 유사한 산지유통조직의 체계적인 육성과 지원이 가능하다면 신뢰를 바탕 으로 한 소비지 품목별 대표 도매주체와의 SCM 거래 기반 구축이 가능 - 소비지 도매유통주체와의 거래협약이나 SCM 기반 구축을 위한 정부의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및 관련 시설 지원과 SCM 결과에 대한 일정한 지 원이 필요

지채소류 취급 비중을 살펴보면 공판장을 포함한 도매시장법인이 12개 도매시 장 취급량의 87.9%를 차지하고 시장도매인과 상장예외 거래량 비중은 각각 2.2%와 9.9% 수준에 불과하다. 이것은 산지와 도매시장 간 SCM 기반 구축에 서 도매단계의 경우 참여할 수 있는 주체는 주요 대규모 도매시장 내 도매시장 법인이 적합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도매시장별 노지채소류 취급 비중은 가락시장이 37.0%로 가장 높게 나타나 고 있으며, 전국 도매시장 전체 거래량의 5.0% 이상을 취급하는 도매시장은 가 락시장을 포함하여 5개 도매시장(가락, 강서, 엄궁, 대구, 구리)으로 취급 비중은 64.5%로 나타났다. 가락시장의 품목별 시장점유율은 배추 35.6%, 무 28.5%, 양 배추 43.7%, 양파 40.0%, 파 50.0%로 모든 품목에서 가락시장의 비중이 압도적 으로 높다.

품목별 전국 도매시장 전체 거래량의 5% 이상을 차지하는 시장을 살펴보면 배추의 경우 가락시장(35.6%), 강서시장(7.2%), 대구북부시장(7.7%), 인천삼산 시장(7.1%), 구리시장(5.4%) 등 5개 도매시장이며, 무의 경우 가락시장(28.5%), 대구북부시장(13.2%), 인천삼산시장(5.2%), 구리시장(5.4%) 등 4개 도매시장이 다. 그리고 양배추는 가락시장(43.7%), 강서시장(11.8%), 대구북부시장(11.7%), 인천삼산시장(5.4%), 대전오정시장(7.9%) 등 5개 도매시장이며, 양파의 경우 가락시장(40.0%), 대구북부시장(8.5%), 인천삼산시장(5.9%), 구리시장(7.7%) 등 4개 시장이다. 그리고 파의 경우 가락시장(50.0%), 강서시장(6.1%), 부산엄 궁시장(5.3%), 대구북부시장(9.0%), 인천삼산시장(6.2%), 구리시장(5.2%)이다.

따라서 노지채소류의 산지와 도매단계 간 SCM 참여주체로 실효성이 높은 도 매시장은 5개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시 장 배 추 양배추 양 파 채소류 전체

가 락 35.6 28.5 43.7 40.0 50.0 37.0

강 서 7.2 4.5 11.8 3.9 6.1 7.8

엄 궁 1.9 1.7 0.8 4.5 5.3 6.3

반 여 4.3 4.7 4.7 4.2 2.5 4.0

대 구 7.7 13.2 11.7 8.5 9.0 8.0

구 월 4.0 3.5 2.9 3.3 3.9 3.0

삼 산 7.1 5.2 5.4 5.9 6.2 3.2

오 정 3.5 4.2 7.9 4.2 3.9 3.6

노 은 2.8 2.8 3.4 2.6 2.6 2.1

각 화 3.4 3.5 4.1 3.7 3.7 3.5

서 부 2.9 2.9 3.5 2.4 1.1 2.9

구 리 5.4 5.4 4.9 7.7 5.2 5.4

85.6 80.2 99.0 90.9 99.4 86.8

표 3-10. 도매시장별 주요 대중채소류의 거래물량 비중

단위: %

주: 12개 주요 도매시장의 전체 채소 취급량 중 도매시장법인(공판장 포함) 취급 비중은 87.9%이며, 시장도매인과 상장예외 거래량은 각각 2.2%와 9.9%임.

자료: 도매시장별 관리사무소(관리공사)와 각 도매시장법인(27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3.2. 도매시장법인의 SCM 참여 여건

산지와 도매단계 간 노지채소류의 SCM 참여 가능성과 필요성이 높은 주체 로서 주요 도매시장 운영주체인 도매시장법인의 노지채소류 취급 특성을 파악 하기 위하여 주요 12개 공영도매시장 내 노지채소류를 취급하는 27개 도매시 장법인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일부 도매시장의 경우 해당 도매시장 거래량 중 법인별 비중은 대 체로 고르게 분포되는 경우도 있지만 많은 도매시장에서 도매시장법인의 노지 채소류 취급 특성은 대체로 품목별 집중도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 매시장법인별로 거래 집중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품목의 경우 집중도가 높은 도매시장법인의 경락가격이 해당 도매시장이나 지역의 대표가격(기준가

격)으로서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배추의 경우 12개 도매시장 중 6개 시장(가락, 강서, 반여, 대구, 오정, 노은시장)에서 배추 취급물량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도매시장법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나머지 6개 도매시장의 경우 도매시장법인별 배추 취 급 비중은 대체로 고르게 나타났다. 이 중 SCM 참여주체로서 사회적 필요성이 높은 도매시장법인은 도매시장 내 배추의 취급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6개 도 매시장법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시 장 A B C D E F 소 계

가 락 6.2 0.4 3.2 3.5 9.6 77.1 100.0

강 서 30.8 24.5 44.7 - - - 100.0

엄 궁 43.1 32.4 24.4 - - - 100.0

반 여 5.0 3.4 4.9 86.6 - - 100.0

대 구 2.2 26.2 11.7 0.6 12.8 46.6 100.0

구 월 24.7 24.7 24.5 26.1 - - 100.0

삼 산 41.2 38.3 20.5 - - - 100.0

오 정 59.5 40.5 - - - - 100.0

노 은 97.4 2.6 - - - - 100.0

각 화 40.6 26.3 33.1 - - - 100.0

서 부 36.6 25.0 38.4 - - - 100.0

구 리 33.3 31.8 34.9 - - - 100.0

표 3-11. 도매시장 및 도매시장법인별 배추 취급량 비중

단위: %

주: 각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별 취급 비중은 2012~2014년 3년간 평균치이며, 대구북 부시장의 F물량은 상장예외물량이고 부산 반여시장의 D물량은 무배추조합이 취급하 는 상장예외물량, 그리고 강서시장의 C물량은 시장도매인 취급물량임.

무의 경우 도매시장별 전체 거래량 중 1개 법인의 점유율이 50%를 넘는 도 매시장은 4개 시장(가락, 엄궁, 반여, 노은시장)이며, 인천삼산시장과 광주서부 시장은 약 50% 수준이다. 무 역시 SCM 참여주체로서의 사회적 필요성이 높은 도매시장법인은 배추와 마찬가지로 5개 도매시장법인 정도로 보인다. 그리고 배추와 무를 동시에 고려하면 산지와 도매시장 간 SCM 기반 구축의 사회적

필요성이 높은 시장은 3개 도매시장(가락시장, 부산반여시장, 대전노은시장)의 3개 도매시장법인(가락시장 F법인, 부산반여시장 D법인, 대전노은시장 A법인) 으로 보인다.

시 장 도매시장 전체 거래량 중 법인별 거래량 비중

A B C D E F 소 계

가 락 8.1 0.9 0.5 3.5 7.0 80.0 100.0

강 서 37.2 19.7 43.1 - - - 100.0

엄 궁 50.8 36.4 1.9 - - - 100.0

반 여 9.5 4.5 7.4 78.5 100.0

대 구 4.3 23.3 19.8 0.6 10.4 41.6 100.0

구 월 28.8 36.6 18.0 16.6 - - 100.0

삼 산 49.3 26.1 24.6 - - - 100.0

오 정 44.6 55.4 - - - - 100.0

노 은 88.2 11.8 - - - - 100.0

각 화 45.7 17.8 36.5 - - - 100.0

서 부 19.0 31.7 49.3 - - - 100.0

구 리 26.7 35.7 37.6 - - - 100.0

표 3-12. 도매시장 및 도매시장법인별 무 취급량 비중

단위: %

주: 각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별 취급 비중은 2012~2014년 3년 간 평균치이며, 대구북 부시장의 F물량은 상장예외물량이고 부산 반여시장의 D물량은 무배추조합이 취급하 는 상장예외물량, 그리고 강서시장의 C물량은 시장도매인 취급물량임.

배추와 무 이외에 양파나 양배추 등 대중적 노지소류의 경우도 도매시장별 로는 차이는 있으나 도매시장 내 도매시장법인별 취급물량 비중을 살펴보면 배추나 무보다는 편중되어 있지 않지만 대체로 취급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법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 장 도매시장 전체 거래량 중 법인별 거래량 비중

A B C D E F 소 계

가 락 21.2 2.7 21.3 22.3 32.4 - 100.0

강 서 57.0 25.4 17.5 - - - 100.0

엄 궁 32.5 45.1 22.4 - - - 100.0

반 여 26.2 25.6 27.1 21.1 - - 100.0

대 구 4.0 33.5 40.1 12.4 11.0 - 100.0

구 월 24.4 48.4 16.3 10.9 - - 100.0

삼 산 30.2 37.6 32.2 - - - 100.0

오 정 44.8 55.2 - - - - 100.0

노 은 65.0 35.0 - - - - 100.0

각 화 30.9 28.1 41.0 - - - 100.0

서 부 38.6 31.5 29.9 - - - 100.0

구 리 37.5 29.8 32.7 - - - 100.0

표 3-13. 도매시장 및 도매시장법인별 양파 취급량 비중

단위: %

주: 각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별 취급 비중은 2012~2014년 3년간 평균치임.

시 장 도매시장 전체 거래량 중 법인별 거래량 비중

A B C D E F 소 계

가 락 0.1 0.4 0.8 2.1 6.2 90.4 100.0

강 서 17.8 69.7 12.5 100.0

엄 궁 25.0 20.6 54.4 100.0

반 여 13.3 9.8 11.9 65.0 100.0

대 구 9.0 24.6 14.8 0.5 8.6 42.5 100.0

구 월 18.9 49.6 20.0 11.5 100.0

삼 산 22.6 42.7 34.7 100.0

오 정 38.7 61.3 100.0

노 은 91.0 9.0 100.0

각 화 41.9 26.5 30.8 100.0

서 부 18.8 15.2 66.1 100.0

구 리 25.5 39.2 35.4 100.0

표 3-14. 도매시장 및 도매시장법인별 양배추 취급량 비중

단위: %

주: 각 도매시장의 도매시장법인별 취급 비중은 2012~2014년 3년간 평균치임.

그리고 전국 33개 공영도매시장에서 취급하는 대중적 노지채소류(배추, 무, 양파, 양배추, 파)의 총 거래량 중 37%를 취급하는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의 채소류 거래실적을 살펴보면 주요 노지채소류 모든 품목에서 1개 법인의 거래 집중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와 파를 제외한 배추, 무, 양배추의 경우 가락시장 F법인의 취급 비중은 각각 77.1%, 80.0%, 90.4%로 채소류를 취 급하는 6개 도매시장법인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파의 경우에도 47.1%로 높은 편이다.

품 목 A B C D E F G

배추 6.2 0.4 3.2 3.5 9.6 77.1 - 100.0

8.1 0.9 0.5 3.5 7.0 80.0 - 100.0

양배추 0.1 0.4 0.8 2.1 6.2 90.4 - 100.0

양파 21.2 2.7 21.3 22.3 32.4 - - 100.0

7.5 0.4 4.1 8.9 16.1 47.1 15.8 100.0

표 3-15. 가락시장의 도매시장법인 및 품목별 취급 비중(2014)

단위: %

주: 가락시장 G 주체의 거래물량 비중은 상장예외 물량 비중이며, 각 도매시장법인별 비 중은 2012~2014년 3년간 평균치임.

자료: 가락시장 6개 도매시장법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배추의 경우를 예를 들면 전체 배추 취급량 뿐만 아니라 각 작형별(작기별) 배추의 취급 비중도 D청과(앞부분의 F도매시장법인과 동일한 법인) 1개 법인 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락시장 D청과법인의 봄배추, 고랭지배 추, 가을배추, 겨울배추(월동배추)의 전체 가락시장 거래물량 중 취급 비중은 각각 76.1%, 72.5%, 69.2%, 63.3%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지채소류를 취급 하는 도매시장 내 법인 중 취급 비중이 상대적 또는 압도적으로 높은 도매시장 법인이 존재할 경우 노지채소류 SCM의 시범적 기반 구축이나 도입을 위한 적 정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구 분 D청과 H청과 S청과 DF청과 J청과 공판장

봄배추 76.1 9.3 5.2 5.0 4.0 0.4 100.0

고랭지배추 72.5 10.4 6.0 8.0 2.0 1.1 100.0

가을배추 69.2 12.4 7.9 7.2 2.7 0.6 100.0

월동배추 63.3 13.8 6.7 13.6 1.0 1.6 100.0

표 3-16. 가락시장 도매시장법인의 배추 작형별 취급 비중(2014)

단위: %

자료: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내부자료 분석).

3.3. 도매시장(법인)과 산지 간 거래 특성

앞에서 노지채소류의 산지와 도매단계 간 SCM 도입 여건을 분석한 결과 만 약 시범적으로 배추와 무를 포함한 노지채소류의 SCM 시스템 구축과 도입을 추진한다면 거래물량의 규모화 측면에서 전국 도매시장 중 해당 품목별 취급 비중이 높은 3개 정도의 공영도매시장과 해당 도매시장 내 3개 정도의 도매시 장법인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산지 유통주체의 경우 조직화된 법 인 형태의 산지유통인 조직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 산지의 산지유통인조직과 도매시장의 법인별 거래규모나 취급 비중

이 경우 산지의 산지유통인조직과 도매시장의 법인별 거래규모나 취급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