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2.3 미국 그린 오픈액세스 정책의 지속적 추진 57

2.3.2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Harvard와 MIT을 비롯한 미국 대학은 이미 기관 리포지터리를 구축했으며 최종심 사완료논문 또는 출판본을 기관 리포지터리를 통해 대외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예컨 대 Harvard 대학은 Harvard Faculty of Arts and Sciences가 중심이 되어 2008년 오픈 액세스 정책을 채택하고 추진한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어서 Harvard Law School (2008),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2009), Harvard Kennedy School (2009), Harvard Business School(2010), Harvard Divinity School(2010),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2011),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2012), Harvard Medical School(2014) 등이 동일한 오픈액세스 정책을 채택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어서 3개 연구소 Berkman Center for Internet & Society(2014), Shorenstein

Center(2014), Harvard University Center for the Environment(2015)가 참여하는 등 하고 있다. Harvard 대학도서관은 2008년 Office for Scholarly Communication(OSC) 을 신설하고 Harvard 대학이 중심이 되어 학술정보를 공개하고(Open), 공유하고 (Share) 보존하는(Preserve)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A MODEL OPEN-ACCESS POLICY - STUART M. SHIEBER

The Faculty of <university name> is committed to disseminating the fruits of its research and scholarship as widely as possible. In keeping with that commitment, the Faculty adopts the following policy: Each Faculty member grants to <university name> permission to make available his orher scholarly articles and to exercise the copyright in those articles.

More specifically, each Faculty member grants to <university name> a nonexclusive, irrevocable, worldwide license to exercise any and all rights under copyright relating to each of his or her scholarly articles, in any medium, provided that the articles are not sold for a profit, and to authorize others to do the same. The policy applies to all scholarly articles authored or co-authored while the person is a member of the Faculty except for any articles completed before the adoption of this policy and any articles for which the Faculty member entered into an incompatible licensing or assignment agreement before the adoption of this policy.

The Provost or Provost’s designate will waive application of the license for a particular article or delay access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upon express direction by a Faculty member. Each Faculty member will provide an electronic copy of the author’s final version of each article no later than the date of its publication at no charge to the appropriate representative of the Provost’s Office in an appropriate format (such as PDF) specified by the Provost’s Office.

The Provost’s Office may make the article available to the public in an open-access repository.

The Office of the Provost will be responsible for interpreting this policy, resolving disputes concerning its interpretation andapplication, and recommending changes to the Faculty from time to time. The policy will be reviewed after three years and a report presented to the Faculty.

<표 2-9> Harvard 대학의 오픈액세스 정책 표준안

MIT 대학도서관은 HP(Hewlett-Packard) 연구소와 공동으로 2001년부터 기관 리 포지터리 구축 솔루션인 DSpace를 개발하였고 2002년부터 전 세계에 무료로 보급하 고 있다. 현재 DSpace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관 리포지터리 시스템으 로 자리매김하여 세계 1,590개 대학과 연구소를 포함하여 총 2,056개 기관에서 사용 중이다(서정욱 외 2016). MIT는 오픈액세스 정책 시행 이후 구성원이 출판한 학술지 논문의 43%를 대학의 기관 리포지터리인 Dspace@MIT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고 발 표한 바 있다. 2015년 7월 기준으로 17,400여 편의 연구논문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가 330만 건을 넘어섰고 한 달 평균 다운로드 횟수가 83,500건에 달하고 있다. 또한 MIT 는 2009년 대학의 모든 강의 콘텐츠를 오픈액세스하는 의무이행 정책을 채택하여 시 행 중에 있다. MIT에서 생산된 강의 콘텐츠를 전 세계에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학술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CSF)은 2012 년 오픈액세스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 중에 있다. 이는 미국 공립대학의 첫 오픈액세 스 정책 사례로 주목을 끌고 있다. 즉, 캘리포니아 대학의 교수가 발표한 학술지 논문 은 기관 리포지터리인 US Repository나 PMC(PubMed Central)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2013년에는한층 더 포괄적으로 오픈액세스 정책을 수정․보완한 데 이어 2015년 Presidential Open Access Policy를 발표하였다. 이 정책으로 오픈액세스 연구 논문의 수집범위를 확대하였다. 즉, 일반 교수 외에 연구전담 교수, 강사, 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대학원 졸업생, 사서 등 학내 구성원 모두가 생산하는 모든 연구논문을 수 집하여 제공하기로 하였다.

또한 미국대학협회(Association of American University; AAU), 공립대학협회 (Association of Public and Land-grant University; APLU), 북미연구도서관협회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 등은 미국 정부의 지원 아래 각 기관 리포 지터리를 활용하는 계획의 핵심안인 ‘SHared Access Research Ecosystem(SHARE)’

에 동의하고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2.4 영국 골드 오픈액세스 정책 중심으로의 변화

여기서는 RCUK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는 영국의 전반적 오픈액세스 정책 및 운영 현황을 살펴본다. 그리고 2012년 Finch 보고서 채택 이후 골드 오픈액세스 정책 중심 으로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