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대중교통정책의 시대별 변화

ㅇ 1960년대 : 교통인프라 구축 ㅇ 1970년대 : 지하철 시대 돌입

ㅇ 1980년대 : (승용차 대중화로 도시교통정비 촉진 시작) 승용차 보급 확대 및 본격적 지하철 시대

ㅇ 1990년대 : (승용차 중심 교통체계로 도시교통문제 심화)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및 광역교통체계 정비 시작

ㅇ 2000년대 : (승용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중심으로 전환) 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 활성화, 인터모달·연계환승, 녹색성장

ㅇ 2010년대 : (공급확대에서 운영효율화로 전환, 투자효율화) 경량화, HW에서 SW로 전환

교통수단의 변화 버스 → 지하철 → 경전철/BRT → 맞춤형버스

네트워크 효율화 선 중심(도로, 철도) → 점 중심(환승센터)

이용 편의 제고 BIS, 환승할인, 교통카드, 통합전산망

고속화·광역화 고속철도, 광역급행철도, 광역급행버스

나. 대중교통 정책 방향

(1) 도시광역통행 개선 및 출퇴근 불편 해소

ㅇ 일상적으로 매일 반복되는 출퇴근 통행 개선이 행복 추구를 위한 교통부문 핵심과제

- 광역급행철도

- BRT/중앙버스전용차로 - 광역급행버스

- 출퇴근 정기이용권버스, 산업단지 출퇴근전용 전세버스 - 환승센터 설치

(2) 맞춤형 서비스 제공

ㅇ 기술발전과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춘 이용자 관점의 편리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 전국 대중교통정보 통합

- 고속/시외버스 통합 전산망 구축 - 고속버스 모바일 앱

- 교통카드전국호환

-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도입 (3) 교통기본권 보장

ㅇ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 - 교통약자 이동편의시설 확충

- 저상버스 보급 확대

- 특별교통수단 및 장애인 콜택시 보급 확대 - 농어촌지역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수단 도입

다. 인천광역시 교통관련 주요 이슈

ㅇ 1960년대 이전 : 1883년 인천항 개항, 1899년 경인철도 개통, 1937년 수인선 협궤열차 개통

ㅇ 1970년대 : 1969년 경인고속도로 개통, 1970년 인천∼서울 고속버스 운행개시, 1971년 영동고속도로 개통, 1974년 경인전철 개통

ㅇ 1980년대 : 1981년 버스․택시운송사업조합 창립, 1989년 자동 차등록대수 10만대 돌파

ㅇ 1990년대 : 1990년 전자교통신호체계 도입, 1994년 경인로 버스전용차로 도입, 1997년 인천종합터미널 개 장, 1999년 인천지하철 1호선 개통(고속도로 건설 본격화 : 1994년 서해안고속도로, 1996년 제2경인 고속도로, 1999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ㅇ 2000년대 : 2000년 공항고속도로 개통,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 2002년 시내버스 환승할인제 도입 및 BIS 시범구축, 2003년 시내버스 환승무료제 시행, 2004년 버스노선체계개편 기본계획 수립, 2006년 광역 BIS 구축, 2007년 공항철도 개통, 2009년 버 스준공영제 및 수도권 통합환승요금체계 시행, 인천대교 개통

ㅇ 2010년대 : 2010년 제3경인고속도로 개통, 2012년 자동차등록 대수 100만대 돌파, 2012년 서울지하철 7호선 부 평구청 연장 개통, 2012년 수인선 1단계(송도∼오 이도) 개통, 2013년 청라∼강서간 BRT 개통, 2014 년 인천AG 개최, 2016년 수인선 2단계(송도~인

< 인천광역시 연대별 행정구역 변화 및 주요 교통시설 개통 >

라. 해외 정책 동향

ㅇ 공유도로(Exhibition Road), 카세어링, 공공자전거 등 다양한 공유기반 교통정책 도입

ㅇ 환경규제 강화로 인한 하이브리드 버스, 전기택시, 무가선 트램 등 친환경 대중교통 수단 도입 및 전환

ㅇ 시민 단체 및 홈페이지 등의 의견 수렴을 통하여 교통정책 수립 시 반영

ㅇ 도시규모에 따라 대중교통수단을 혼합 운영

- 대규모 : 도시철도(MRT) + 경량전철(LRT) + BRT + 버스 - 중규모 : 경량전철(LRT) + BRT + 버스

ㅇ 과거 도시철도 중심으로 시설 공급이 이루어졌으나 최근 재 정적 제약 조건과 버스서비스 고급화를 위해 BRT를 확대 보 급하는 추세임

ㅇ 도시전체 인구보다는 대상축의 대중교통 수요와 검토노선의 기능 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수단을 선정

ㅇ 대중교통 간 연계체계 및 대중교통 우선시설을 시설투자의 기본으로 설정

- HOV 전용램프, 환승시설, 역사 및 Park & Ride 시설공급이 개별 대중교통수단공급과 동시에 추진되고 있으며 도심내, 도심-외곽간 통행뿐만 아니라 외곽-외곽 통행을 위한 대중 교통시설의 공급정책도 병행

ㅇ 버스, 트램, 지하철 간 편리한 환승시설을 조성해 멀티 모달 교통시스템 구축

ㅇ 대중교통 통행속도 향상을 위해 버스우선처리 신호 운영,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