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논의

의 연구와 변민광(2006)의 연구에서도 역시 활동 영역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가장

는 경우 호흡기내과 전문의에게 산소처방전을 발급 받아 가정에서 저농도 산소를

질에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현재의 불안 정도가 1년 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 결과이다(김삼철,2011;박선혜,2015;이해정,지영주,2011;Blakemoreetal.,2014;

Clelandetal.,2007;Iguchietal.,2013;Kiletal.,2010).그러나 국외에 비해 국내 에서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한 연구가 아직 소수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본 연구에 사용된 우 울 측정 도구는 7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어 우울의 스크리닝을 단시간에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그러나 한 개의 문항으로 경증 우울과 중등도 이상의 우울의 진

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만성질환자의 우울을 좀 더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 는 도구를 이용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단변량 분석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상 관관계가 있었으나,영향 요인 분석 결과 유의한 예측 요인으로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한 선행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한 관련 요인이었던 것과 차이가 있었다(이해정,지영주,2011;Andenaesetal.,2014;

Popa-Velea& Purcarea,2014).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들이 3차 진료기관에서 증상 악화로 인한 입원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고 증상 관리에 대해 투약 등 의료진에 의 존하는 경향이 있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본 연구에서는 규명되지 않 았다.Dulohery,Schroeder와 Benzo(2015)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 은 질병의 중증도보다 삶의 질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자가 관리 능력은 자 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가하므로(김란이,용진선,2005)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의 관 계는 매우 중요하다.따라서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자기효능감 에 대하여 좀 더 체계화된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 호흡곤란 단계,산소 유무,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예측치 및 불 안이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예측 요인으로 나타나,대상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호흡곤란을 사정하고 불안을 스크리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그리하여 호흡곤란을 완화시켜 줄 수 있 는 중재와 함께 불안을 포함한 심리적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적용함으로써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아지고 건강 만족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 으로 기대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