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당뇨병의 원인으로서의 대사증후군

문서에서 체중조절 임상지침 (페이지 48-51)

41

03_당뇨병과 대사증후군

터를 분석하여 당뇨병 발생 위험을 예측한 연구가 있었다. 당뇨병의 정의는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126 mg/dL 이상으로 하였고 당 부하검사 결과는 없었다. 당뇨병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기준치를 ROC 분석을 이용하였을 때는 107.5 mg/dL (민감도 74%, 특이도 90%)가 가장 좋은 기준치로 나타났다. 공복혈당 90 mg/dL 미만을 기준으로 100~109

mg/dL인 군은 HR가 4.77 (1.60~14.15), 110~125 mg/dL인 군은 34.57 (12.18~98.10)으 로 나타났다.

직장 정기신체검사를 받는 13,189명의 30~59세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코호트를 구축하고 5년간의 당뇨병 발생의 위험을 관찰한 결과 ROC 분석 상 공복혈당의 기준치는 92 mg/dL (민감도 75.1%, 특이도 75.5%)로 나타났으며, 공복 혈당 80 mg/dL 미만을 기준으로 상대위험도를 계산한 결과 93~95 mg/dL 구간에서부터 의미 있는 상승을 보였다. 따라서 류 등은 경제적 비용 등을 고려하여 IFG의 공복혈당 의 기준을 100 mg/dL로 낮출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공복혈당장애를 110 mg/dL에서 100 mg/dL로 낮추는 것이 타당하며, 하지만 1단계(100~109 mg/dL)군과 2단계(110~125

mg/dL)군은 당뇨병 발생의 위험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 대사증후군과 당뇨병 발생의 위험

대사증후군은 제2형 당뇨병의 위험을 예측하는데 좀더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외 국의 연구에 의하면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 당뇨병의 위험이 2~6배 정도 증가하는 것 으로 보고 되어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대사증후군과 당뇨병 발생의 위험도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표 4).

WOSCOPS 연구에 의하면 NCEP에 따른 대사증후군은 관상동맥 질환보다는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을 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복혈당, 중성지방, 중심성비 만은 제2형 당뇨병 발생의 위험인자로 밝혀진 바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도 제2형 당뇨 병의 여러 위험인자, 특히 나이, 당뇨병의 가족력, 종족, 신체활동 정도, 식사습관 등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가장 강력한 당뇨병의 위험인자는 내 당능장애를 공복혈당만으로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여전히 경구당부하검사의 필요성 을 여러 기관에서 주장하고 있다.

표 4. 대사증후군과 당뇨병 발생의 위험

Reference Study Sample

Size Sex Age (years) (range or

mean)

Follow-up (years)

Outcomes No. of events

RR (95% Cl) Adjusted for

Studies of diabetes Laaksonen 2002

Kuopio Ischemic Heart Disease Risk Factor Study, Finland

958 Men 42-60 4 FG ≥ 6.1 mmol/L, clinical diagnosis of diabetes with treatment

51 6 (3.4-11.0)+ Age

Resnick 2003 Strong Heart

Study 2283 Men,

women 45-74 7.6 Self-report, use of hypoglycemic agents, FG ≥ 126 mg/dL

389 1.95

(1.63-2.33)++ None

Sattar 2003* West of Scotland Coronary Prevention Study, UK

5947 Men 55.1.55.2 4.9 ≥ 2 FG ≥ 7.0 mmol/L (one glucose measurement must be ≥ 2.0 mmol/L above baseline)

Not stated 3.51

(2.47-4.98) None

Lorenzo 2003 San Antonio

Heart Study 1734 Men,

women 25-68 7-8 OGTT, medication

use 195 3.3

(2.27-4.80) Age, sex, ethnicity, family history, impaired glucose tolerance, insulin Stern 2004 Mexico City

Diabetes Study, Mexico

1353 Men,

women 35-64 6.3 OGTT, medication

use 125 2.63

(1.80-3.85) None

CHD, coronary heart disease;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CRP, C-reactive protein; CVD, cardiovascular disease; FG, fasting glucose; MI, myocardial infarction;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RR, relative risk; TIA, transient ischemic attack.

From Earl S. Ford, Risks for All-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 summary of the evidence. Diabetes Care 28:1769-1778, 2005. Reproduced with permission.

내당능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당뇨병 예방 연구에서 적극적인 생활습관의 개선을 통한 체중 감량이 당뇨병 발생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내당능장애를 대상으로 한 Finnish study에서 적극적인 식사 및 운동요법을 시행한 경우 당뇨병의 발생을 58% (대 조군 23% 대 치료군 11%) 감소시켰으며, Diabetes Prevention Program (DPP)에서도 대 조군, 생활습관 중재군, 메트포민군으로 나누었을 때 생활습관 중재군에서 58%의 당뇨 병 발생 예방효과가 있었으며, 메트포민군에서는 31%의 예방효과가 있었다. Da Qing 연구에서 식사요법, 운동요법, 병합요법군은 각각 대조군에 비해 43.8%, 41.1%, 46%의 당뇨병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밖에 약제를 사용한 연구에서 TRIPOD 연구에서는 임신성 당뇨병의 과거력이 있는 여성에서 troglitazone이 56%의 당뇨병 예방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고, STOP-NIDDM 연구에서는 acarbose가 25%의 예방효과가 있 었다. XENDOS 연구에서는 orlistat이 45%의 예방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최근 DREAM 연구에서는 rosiglitazone이 62%의 당뇨병 예방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ACE 억제제나 ARB 약제가 고혈압 환자에서 당뇨병 예방효과가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었지만, 당뇨병 예방효과를 밝히기 위한 DREAM 연구에서는 ramipril은 당뇨병

43

03_당뇨병과 대사증후군

예방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스타틴 연구에서도 당뇨병 예방효과가 있을 수 있음이 제시되었지만 당뇨병 예방효과를 1차 목적으로 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 다(표 5). 또한 최근 개발된 rimonabant는 체중 감량 효과뿐 아니라 이상지혈증과 혈당 조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약제를 통한 당뇨병 예방 효과

Trial Drug/s Risk reduction for diabetes (%)

Statins WOSCOPS ASCOT HPS ACE inhibitors

CAPPP HOPE ALLHAT

Angiotensin-Ⅱ receptor blockers LIFE

CHARM SCOPE VALUE

Oral antidiabetic drugs DPP

STOP-NIDDM TRIPOD

Pravastatin Atorvastatin Simvastatin Captopril

Ramipril Lisinopril vs. chlorthalidone

Losartan (vs. atenolol) Candesartan Candesartan Valsartan vs. amlopdipine

Metformin Acarbose Troglitazone

30 NS NS 14 34 30 25 22 25 23 31 25 55 Adapted from Haffner S. Atheroscler Supple 2006;7:3-10.

문서에서 체중조절 임상지침 (페이지 4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