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의 역학

문서에서 체중조절 임상지침 (페이지 44-48)

1)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미국인에서 NHANES III 자료에 의하면 NCEP ATP III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기준을 적용했을 때 성인 남자에서 24.0%, 여자에서 23.4%에서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했을 때 NCEP ATP III의 기준을 적용하면서 서양인과 같은 복부 비만 기준을 사용할 경우 대사증후군 의 유병률은 남자 14.2%, 여자 17.7% 로 나타나고, 대사 이상 항목은 그대로 적용하면 서 복부 비만의 기준을 아시아 기준으로 적용했을 때는 남자 19.9%, 여자 23.7%로 나 타났다(표 2). 각 항목에 대한 유병률은 남, 녀 각각 복부 비만의 경우 19.2%, 38.5%, 혈압 ≥ 130/85 mmHg이 44.6%, 29.5%, 공복 시 혈당 ≥ 110 mg/dL이 20.1%, 16.7%, 중성지방 ≥ 150 mg/dL이 35.6%, 21.0%, 낮은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24.3%, 46.1%

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에 대해 IDF 기준을 사용하면서 복부 비만에 대해서는 한국인 기준으로 사용하였을 때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 13.5%, 여 자 15.0%로 나타났다. IDF 기준을 적용할 경우 NCEP ATP III 기준을 적용할 때보다 유병률이 적게 나타나는 것은 IDF 기준에서는 복부 비만이 필수항목에 해당되므로 복 부 비만이 없을 때 다른 항목을 충족시켜도 대사증후군에서 배제되기 때문이다.

37

03_당뇨병과 대사증후군

표 2. 한국인에서 동·서양 복부 비만 기준에 따라 NCEP ATP III의 대사증후군 항목 및 군집 현상에 대한 연령-보정 유병률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의 20세 이상을 대상 으로-

Variables Men (n = 3572) Women (n = 4293)

(%) (%) (%) (%)

Criteria for abdominal obesity Abdominal obesity

BP > 130/85 mmHg FPG > 110 mg/dL TG > 150 mg/dL Low HDL-cholesterol

1 component 2 components 3 components * 4 components 5 components

> 90 cm 1 19.2 44.6 20.1 35.6 24.3 73.4 42.7 19.9 6.6 1.2

> 102 cm 2 1.3

71.2 37.7 14.2 2.6 0.1

> 80 cm 1 38.5 29.5 16.7 21.0 46.1 72.2 44.4 23.7 9.6 2.3

> 88 cm 2 15.3

67.4 35.9 17.7 6.5 1.4 BP: blood pressure, FPG: fasting plasma glucose, TG: triglyceride, Low HDL-cholesterol:

< 40 mg/dL for men, < 50 mg/dL for women.

* 3 components: metabolic syndrome.

박혜순 등. 대한비만학회지 2003;12(1):1-14. Adapted from Park et al. Int J Epidemiol 2004;33:328-36.

2) 비만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비만도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 녀 각각에서 체질량지수가 < 18.5 kg/m2에 서는 7.7%, 3.2%, 18.5~22.9 kg/m2에서는 8.5%, 11.9%, 23.0~24.9 kg/m2에서는 22.5%, 31.5%, 25.0~29.9 kg/m2에서는 44.3%, 50.0%, 30.0 kg/m2에서는 68.3%, 64.8%로 나타 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체질량지수 25.0 kg/m2의 우리나라 비만 인구에서는 약 50%에 해당하는 성인이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고, 23.0~24.9 kg/m2의 과체중에서는 약 27%가, 심지어 18.5~22.9 kg/m2의 정상체중에서도 약 10%가 대사증후군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1).

< 18.5 18.5-23.0 23.0-25.0 25.0-30.0 ≥ 30.0 (kg/m2)

그림 1. 한국인에서 동양의 복부 비만 기준에 따른 NCEP ATP III의 비만도별 대사 증후군 유병률 -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의 20세 이상을

대상으로-박혜순 등. 대한비만학회지 2003;12(1):1-14.

비만도에 따라 저 체중(< 18.5 kg/m2)을 기준으로 정상체중(18.5~22.9), 과체중(23.0~

24.9), 비만(25.0~29.9), 고도비만(30 kg/m2)으로 나누었을 때 남, 녀 모두에서 비만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선형 관계를 나타내며 위험이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교란 변수들을 보정한 후에도 비만도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가장 예민하게 반영하는 지표이고, 그다지 비만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수준에서도 유병률이 상당한 수준에 있어 비만도가 적은 상태에서도 대사증후군 발생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1998 년도와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인에서 대사증후 군이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의 한 요인으로 복부 비만의 증가가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체중 조절이 중요 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3) 당 대사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김 등의 연구에서 한국인 30대 이상 성인의 약 20%에서 WHO 진단기준에 따른 대사 증후군을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상혈당에서 10%, 공복혈당장애에서 약 50%,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약 60%에서 대사증후군이 동반되어 있었다. 전체적으 로 연령이 증가하면서 대사증후군이 증가하였으며 30~40대의 경우 남자에서 더 많았고

39

03_당뇨병과 대사증후군

50대 이후에 여자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표 3).

표 3. 한국인 성인의 당 대사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전체 정상혈당 공복혈당장애 제2형 당뇨병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남자 여자

전체 30~49세 50~59세 60~79세

19 18 21 17

16 8 21 20

10 11 10 9

10 7 14

7

55 54 55 60

46 17 55 56

43 46 52 34

71 29 68 86 정혜원, 김대중, 허갑범 등. 당뇨병 2002;26:431-42.

한편 이 등의 연구에 의하면 아시아 태평양 비만지침을 토대로 변형된 NCEP ATP III의 진단기준에 따라 대사증후군을 정의했을 때 정상혈당군의 34.9%, 전 당뇨병군(내 당능장애 및 공복혈당장애)에서 60.5%, 제2형 당뇨병군에서 82.6%가 대사증후군을 동 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토대로 NCEP ATP III 기준으로 대사증후군을 정의했을 때 당뇨병 환자에서 대사증후군은 66.2%, 비당뇨인 에서 대사증후군은 15.5%로 나타났다.

핀란드와 스웨덴에서 시행한 Botnia 연구에서 WHO에서 제시한 대사증후군이 정상혈 당 군에서 10%, 공복혈당장애 군에서 40%, 제2형 당뇨병군에서 85%를 보이는 것과 비 교해보면 우리나라 제2형 당뇨병에서 대사증후군이 60~85%로 거의 비슷하지만 다소 낮 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 중 인슐린 저항성이 심하지 않으면서 인슐린 분비장애에 의해 조기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군이 10~15% 정도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공 등의 연구에서도 건강검진 수검자에서 당 대사 장애 정도에 따라 대사증후군이 증 가함을 보고한 바 있다. 정상혈당 군에 비해 순수 내당능장애군은 대사증후군의 동반 위험이 증가하지 않으나 순수 공복혈당장애 군은 4.45배, 혼합 혈당장애 군은 7.44배, 당뇨병군은 9.69배로 대사증후군이 많이 동반됨을 알 수 있다.

문서에서 체중조절 임상지침 (페이지 4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