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체중조절 임상지침 (페이지 34-44)

비만은 당뇨병과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다. 당뇨병 환자의 대다수가 비만하며 또한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중요한 위험인자이기도 하다. 특히 내장 지방형 비만은 고혈당, 인슐린 저항성 등 당뇨의 위험을 높이며, 당뇨병 외에도 고혈압, 고지혈증, 죽상경화증 등 여러 대사 질환 및 심혈관계 질환의 이환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독립적인 위험인자 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내장 지방의 축적이 심화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지침에 대한 중요한 근거들의 요약

논문 대상집단 중재/분석 경과/결과

1. 제2형 당뇨병에서 내장 지방의 축적과 인슐린 저항성의 상관관계 Lemieux S et al.

(1996)

30명의 폐경 전 당뇨병이 없는 여성 (35.2 ± 5.6세)

체지방의 변화 및 내장 지방량의 변화와 혈당/인슐린 항상성 지표의 변화의 관련성의 관련성에 대한 7년 추적 관찰 연구

혈당/인슐린 항상성 지표의 변화는 체지방량이나 피하 지방량의 변화와는 연관성이 없고, 내장 지방량의 변화와 연관이 있음

Abate N et al.

(1995)

39명의 남성

(백인 30명, 흑인 4명, 멕시코인 2명, 동양인 2명, 이집트인 1명)

전체/부위별 체지방량(MRI, skinfold thickness)과 인슐린 민감성(hyperinsulinemic euglycemic glucose clamp study)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

피하 지방량은 말초/간 인슐린 민감성과 높은 관련성이 있었으나, 내장 지방량과 후 복막 지방량은 인슐린 민감성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음 Goodpaster BH et

al. (1997)

26명의 남성, 28명의 폐경 전 여성 (44명 백인, 9명 흑인, 1명 동양인)

인슐린 민감성

(hyperinsulinemic euglycemic glucose clamp study)과 지방 분포(DEXA, CT)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

복부 피하 지방은 내장 지방을 보정하더라도 인슐린 민감성과 관련성이 있었으며, 근육 내 지방량도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좋은 지표였음

27

02_당뇨병과 내장 지방

논문 대상집단 중재/분석 경과/결과

Boyko EJ et al.

(2000)

290명의 2세대 일본계 미국인(평균 연령 61.8세)과 230명의 3세대 일본계 미국인 (평균 연령 40.1세)

복부 지방(CT)과 제2형 당뇨병의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한 6~10년 추적 관찰 연구

내장 지방량의 증가는 제2형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였음

Miyazaki Y et al.

(2002)

Pioglitazone을 16주 치료받은 13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 (9명 남성, 4명 여성 평균 연령 52 ± 3세, 평균 체질량지수 29.0

± 1.1 kg/m2)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pio- glitazone 치료의 내당능 (OGTT), 인슐린 분비 , 인슐린 민감성(hyperinsulinemic euglycemic clamp), 혈중 지질 농도, 복부 지방 분포 (MRI)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

Pioglitazone 치료에 의한 내장 지방에서 피하 지방으로의 체지방 분포의 변화는 인슐린 민감성의 개선과 연관되었음

Westerbacka RN et al. (2004)

132명의 건강한 백인 (18~60세 남성 66명, 여성 66명)

간 내 지방량(proton spect- roscopy)과 체지방 분포(MRI) 및 인슐린 저항성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

간 내 지방량은 피하 지방량과는 관련이 없었으며, 내장 지방량과는 연관성이 있었고, 간 내 지방량은 내장 지방량보다도 인슐린 저항성과 더 깊은 연관성이 있음 Ostman J et al.

(1979)

22명(남성 11명, 여성 11명)의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은

정상체중의 건강인 (평균 연령 48 ± 6세)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noradrenaline과 isopropyl noradrenaline의 지방 분해 효과의 차이를 분석

내장 지방의 지방분해 반응이 피하 지방보다 더 컸음

2. 2형 당뇨병에서 내장 지방형 비만과 혈당과의 상관관계 Brochu M et al.

(2000)

44명의 건강한 폐경기여성 (평균 56.5세)

Weight, diet stabilization period, body composition (DEXA), CT, energy expendi- ture, hyperinsulineic/euglycemia clamp

내장 지방은 glucose disposal에 중요하고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내장 지방의 정도에 따라 공복 시 혈당은 차이가 없었으나 glucose disposal이 낮았음 Huh KB et al. (1993) 자발적으로 참여한

건강한 중년여성 55명(평균연령 47.9세)

24시간 회상법, 신체계측, 혈압, 내당능 검사, 인슐린, 혈청 지질 등, CT

VSR은 공복혈당 및 혈당반응과 유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내장 비만 축적이 높은 군에서 낮은 군보다 공복 시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았음

논문 대상집단 중재/분석 경과/결과 Yoon JY et al.

(1997)

총 237명 (정상체중이면서 당 대사 이상인 36, 내당능장애 9, 과다체 중이면서 당 대사 정 상인 89, 내당능 장애 53, 정상체중 당뇨이 환군 22, 과다체중이 면서 단기이환군 11, 장기이환군 17)

신체계측, 체지방 분포, CT, 당 부하검사, 혈청 지질과 호르몬 농도,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

장기 이환 당뇨 환자에서 공복 시 혈당과 당 부하 시 유리지방산 농도가 증가된 것은 내장 지방량의 증가와 상대적인 인슐린 결핍 때문으로 생각되고 증가된 유리지방산 농도는 혈당을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됨

Park HS et al.

(2002)

20세 이상의 과체중 이상 성인 418명 (남 115명, 여 303명)

인구사회학적 변수, 흡연, 음주, 신체활동, 생활습관, 24시간 회상법, 혈압, 혈당, 혈청 지질, 인슐린 농도, CT

내장 지방형 비만은 남자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기존 체중의 20% 이상 체중 증가가 있는 경우, 폭식경향이 있는 경 우 내장 지방형 비만의 위험도 가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 모두 내장 지방형 비만인 경우 공복 시 혈당 농도가 높게 나타남 Shim YS et al.

(2006)

264명

(평균연령 57.1세)

신체계측, 공복혈당, 혈청지질, 초음파(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 분포)

내장 지방 비만 정도에 따라 작고 밀집한 저밀도 지단백과는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이나 공복 시 혈당은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내장 비만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Katsuki A et al

(1998)

Normal 12명, nono- bese NIDDM 12명, obese NIDDM 12명 대상

피하 지방, 내방지방, TNF-α측정,주간 식이, 운동처방 실시

혈청 TNF-α는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에 있어서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 4주간의 식사와 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비만 당뇨병 환자에서 TNF-α가 감소됨 Mertens I et al.

(2001)

2 groups of 30 overweight and obese diabetic and overweight and obese non-iabetic women

PAI-1와 내장 지방 측정 비만한 제2형 당뇨 환자에서 PAI-I가 증가하였고, 내장 지방은 fib-rinolytic process에 중요한 역할 담당

29

02_당뇨병과 내장 지방

참고 문헌

1. DeFronzo RA. the triumvirate: beta-cell, muscle, liver: A collusion responsible for NIDDM. Diabetes 1983;37:667-87.

2. 이태희. 비만증과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에서의 포도당 대사. 대한비만학회지 1994;3:1-19.

3. Abate N.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Pathogenetic rol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Diabetes Complications 1993;14:154-74.

4. Manson JE,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 WC, Rosner B, Monson RR, Speizer FE, Hennekens CH. A prospective study of obesity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N Engl J Med 1990;322:882-9.

5. Rexrode KM, Carey VJ, Hennekens CH, Walters EE, Colditz GA, Stampfer MJ, Willett WC, Manson JE. Abdominal adiposity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JAMA 1998;80:1843-8.

6. Folsom AR, Kushi LH, Anderson KE, Mink PJ, Olson JE, Hong CP, Sellers TA, Lazovich D, Prineas R. Associations of general and abdominal obesity with multiple health outcomes in older women: the Iowa Women's Health Study. Arch Intern Med 2000; 160:2117-28.

7. Folsom AR, Eckfeldt JH, Weitzman S, Ma J, Chambless LE, Barnes RW, Carm KB, Hutchinson RG. Relation of carotid artery wall thickness to diabetes mellitus, fasting glucose and insulin, body size, and physical activity.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ARIC) Study Investigators. Stroke 1994;25:66-73.

8. Lapidus L, Bengtsson C, Larsson B, Pennert K, Rybo E, Sjostrom L. Distribution of adipose tissu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 12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population study of women in Gothenburg, Sweden. Br Med J 1984;289:1257-61.

논문 대상집단 중재/분석 경과/결과

Kim YS et al. (2003)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한 제2형 당뇨병 환자 16명, 체지량지수와 연령을 맞춘 단순 비만 환자 12명 대상

피하 지방, 내장 지방, 지질 농도 측정

당뇨 비만인에서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높았고 HDL-콜레스테롤 농도가 낮았음

9. Ohlson LO, Larsson B, Svardsudd K, Welin L, Eriksson H, Wilhelmsen L, Bjorntorp P, et al. The influence of body fat distribution on the incidence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85;34:1055-8.

10. Pouliot MC, Despres JP, Nadeau A, Moorjani S, PrudHomme D, Lupien PU, et al.

Visceral obesity in men: associations with glucose tolerance, plasma insulin, and lipoprotein levels. Diabetes 1992;41:826-34.

11. Lemieux S, Tremblay A, Prud-Homme D, Bouchard C, Nadeau A, Despres JP. Seven-year changes in body fat and visceral adipose tissue in women: associations with indexes of plasma glucose-insulin homeostasis. Diabetes Care 1996;19:983-91.

12. Fujimoto WY, Leonetti DL, Bergstrom RW, Newell-Morris L, Boyko EJ, Shofer JB, et al.

Visceral adiposity and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in Japanese-American men. Diabetes Care 1999;22:1808-12.

13. Boyko EJ, Leonetti DL, Fujimoto WY, Newell-Morris L. Visceral adiposity and risk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0;23:465-71.

14. Weiss R, Dufour S, Taksali SE, Tamborlane WV, Petersen KF, Bonadonna RC, et al.

Prediabetes in obese youth: a syndrom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severe insulin resistance, and altered myocellular and abdominal fat partitioning. Lancet 2003;362:951-7.

15. Goodpaster BH, Kelley DE, Wing RR, Meier A, Thaete FL. Effects of weight loss on regional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Diabetes 1999;48:839-47.

16. Weiss R, Dufouir S, Taksali SE, Tamborlane WV, Petersen KF, Bonadonna RC, et al.

Prediabetes in obese youth: a syndrom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severe insulin resistance, and altered myocellular and abdominal fat partitioning. Lancet 2003;362:951-7.

17. Klein S, Fontana L, Young VL, Coggan AR, Kilo C, Patterson BW, et al. Absence of an effect of liposuction on insulin action and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N Eng J Med 2004;350:2549-57.

18. Miyazaki Y, Mahankali A, Matsuda M, Mahankali S, Hardies J, Cusi K, et al. Effect of pioglitazone on abdominal fat distribution and insulin sensitivity in type 2 diabetic patien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2;87:2784-91.

19. Jensen MD, Haymond MW, Rizza RA, Cryer PE, Miles JM. Influence of body fat distribution on free fatty acid metabolism in obesity. J Clin Invest 1989;83:1168-73.

20. Kelly DE, Simoneau JA. Impaired free fatty acid utilization by skeletal muscle in no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J Clin Invest 1994;94:2349-56.

21. Bergman RN. New concepts in extracellular signaling for insulin action: the single gateway hypothesis. Recent Prog Horm Res 1997;94:359-85.

31

02_당뇨병과 내장 지방

22. Westerbacka J, Corner A, Tiikkainen M, Tamminen M, Vehkavaara S, Hakkinen AM, et al. Women and men have similar amounts of liver and intra-abdominal fat, depite more subcutaneous fat in women: implications for sex differences in markers of cardiovascular risk. Diabetologia 2004;47:1360-9.

23. Ostman J, Arner P, Engfeldt P, Kager L. Regional differences in the control of lipolysis in human adipose tissue. Metabolism 1979;28:1198-205.

24. Nielsen S, Guo Z, Johnson CM, Hensrud DD, Jensen MD. Splanchnic lipolypis in human obesity. J Clin Invest 2004;113:1582-8.

25. Bajaj M, Suraamornkul S, Kashyap S, Cusi K, Mandarino L, DeFronzo RA. Sustained reduction in plasma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 improves insulin action without altering plasma adipocytokine levels in subjects with strong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4649-55.

26. Bjorntorp P. The regulation of adipose tissue distribution in humans. Int J Obes 1996;

20:291-302.

27. Larsson B. Abdominal adipose tissue distribution, obesit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a 13 year follow up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men born in 1913. Br Med J 1984;288:1401-4.

28. Tauri S, Fujioka S, Tokunaga K, Matsuzawa Y. Comparison of pathology between subcutaneous-type and visceral-type obesity. In:Bray GA, ed, Diet and obesity, p 143., Tokyo/S Karger, Basel, Japan Sci Soc Press, 1988.

29. Daly PA, Landsberg L. Hypertension in obesity and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Role of insulin and symphathetic nervous system. Diabetes Care 1991;14:240.

30. Pasquali R, Casimirr F, Cantobolli S, Melchinonda N, Labate AMM, Fabbre R, Capelli M, Bortoluzzi L. Effect of obesity and body fat distribution on sex hormones and insulin in men, Metabolism 1991;40:101.

31. Storlien Lh, Pan DA, Kirketos AD, O'Connor J, Caterson ID, Cooney GJ, Jenkins AB, Baur LA. Skeletal muscle membrane lipids and insulin resistance. Lipids 1996;31:s261-5.

32. Tchemof A, Despes J, Dupont A, Belanger A, Nadean A, Prud'Homme D, Moorjani S, Lupien PJ, Labrie F. Relation of steroid hormones to glucose tolerance and plasma insulin levels in men: Importance of visceral adipose tissue. Diabetes Care 1995;18:292-9.

33. Sparrow D, Borkan GA, Gerzof SG, Wisniewskic, Silbert CK. Relationship of fat distribution to glucose tolerance. Diabetes 1986;35:411-5.

34. Wood PD. Clinical applications of diet and physical activity in weight loss. Nutr Rev 1996;54:s131-5.

35. Yamashita S, Nakamura T, Shimomura I, Nishida M, Yoshida S, Kotani K, Kameda- Takamura K, Tokanaga K, Matsuzaw Y. Insulin resistence and body fat distribution.

Diabetes Care 1996;19:287-91.

36. Kissbah AH, Krakower GR. Regional adiposity and morbidity. Physiol Rev 1994;74:

761-811.

37. Haffner SM, Miettinen H, Gaskill SP, Stern MP. Decreased Insulin secretion and increased insulin resistance are independently related to the 7-year risk of NIDDM in Mexican- American. Diabetes 1995;44:1386-91.

38. Borkman M, Storlein LH, Pan DA, Jenkins AB, Chisholm DJ, Campbell LB. The relationships between insulin sensitivi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keletal muscle phospholipids. N Eng J Med 1993;328:238-44.

39. 윤지영, 이종호, 이양자, 이현철, 허갑범. 내당능이 다른 중년 여성에서 내장 지방과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비교. 당뇨병 1997;21(4):444-56.

40. 허갑범, 안광진, 이현철, 임승길, 이영해, 이종호, 김명중, 백인경, 박유경, 이양자.

한국 중년여성에서 내장 지방 축적이 당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내과학회지 1993;44(5):648-58.

41. 박혜순, 김표년. 비만 성인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에 의한 내장 지방 축적과 관련된 생활습관 요인. 대한비만학회지 2002;11(4):337-48.

42. Lapidus L, Bengtsson C, Larsson B, Pennert K, Rybo E and Sjostrom L. Distribution of adipose tissue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 12 year follow up of participants in the population study of women in Gothenburg, Sweden, Br Med J 1984;289:1257-61.

43. Dennis KE and Goldberg AP. Differential effects of body fatness and body fat distribution o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Impact of weight loss, Arterioscler Thromb 1993;13:1487-94.

44. Krotkiewski M and Bjorntorp P. Muscle tissue in obesity with different distribution of adipose tissue. Effects of physical training, Int J Obes 1986;10:331-41.

45. 심완섭, 김수경, 김혜진, 강은석, 안철우, 임승길, 이현철, 차봉수. 제2형 당뇨병환자 에서 내장 지방 및 피하 지방과 작고 밀집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와의 관계. 당뇨병 2006;30(3):207-16.

46. Brochu M, Starling RD, Tchernof A, Mathews DE, Carcia-Rubi E and Poehlman ET.

Visceral adipose tissue is an independent correlate of glucose disposal in older obese postmenopausal wo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00;85:2378-84.

47. Crowther NJ, Ferris WF, Ojwang PJ and Rheeder P. The effect of abdominal obesity on

문서에서 체중조절 임상지침 (페이지 3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