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항로짓모델을 통한 불균형 원인 분석

장비의 지역별 분포의 불균형 원인은 이전 장(章)에서 회귀분석을 적용 하여 산출한 248개 시군구의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와 유방촬영장치 (Mammographs) 의료장비의 불균형 지수를 공급과잉(불균형 지수가 0.10 이상), 공급부족(불균형 지수가 -0.09이하), 공급적정(불균형 지수가 -0.10~0.09)이라는 3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이를 종속변수로 하는 다항 로짓모형을 추정하여 찾고자 하였다. 고가의료장비 원인 분석에서 종합요양 전문기관 소재 지역은 제외하였다. 왜냐하면 종합전문요양기관은 해당 시군 구 지역주민 뿐만이 아니라 대 진료권 단위나 타 대 진료권의 주민들이 이 용하는 의료기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와 유방촬 영장치(Mammographs)의 다항로짓모형은 종합병원의 소재 지역 여부에 따 라 두 가지모델로 추정하였다: 첫 번째 모델(모델 A)은 종합병원이 포함된 지역을 대상으로, 두 번째 모델(모델 B)은 종합병원이 소재한 지역을 제외 한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가.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의료장비의 불균형 원인 분석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의 지역별 불균형 원인 분석을 위한 다항로짓모 형의 통계적인 적합도는 종합병원이 포함된 모델(모델 A)에서는 1% 유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종합병원이 제외된 (모델 B)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델 추정에 포 함된 지역수가 크게 줄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독립변수 중에서 65세 이 상 인구비와 사망률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비(%) 변수는 상호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도시화 정도, 상수도 보급률, 인구밀도, 재정자립도 변수도 상호 상관관계가 높았고, 방문횟수와 재원일 그리고 의료비역시 상호 변수 간 상 관관계가 높았다. 따라서 다수의 변수들이 상관관계가 높아 이들을 동시에 추정방정식에 포함하게 될 때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문제가 발생하

166

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요인분석(factor analysis)10)을 사용 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3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는데, 첫 번째 요인은 노령화 정도를 나타내는 변수였고, 두 번째는 영‧유아화 정도를, 세 번째 요인은 건강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종합전문요양기관(3차 의료기관)을 제외한 상태에서 전산화단층촬영장치 (CT)공급부족을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공급적정과 비교하였을 때, 모델 A에서는 유일하게 ‘인구 1,000명당 의사 수’의 변수만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즉, 인구 1,000명당 의사수가 많을수록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공 급부족 지역이 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급과잉과 공급 적정 지역 간에는 5% 이하의 유의수준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병원까지 제외한 상태에서 공급부족지역과 공 급적정지역을 비교하면 5% 이하의 유의수준 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 수가 하나도 없었지만, 공급과잉지역과 공급적정지역을 비교하면 의사수와 병상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즉, 인구 1,000명당 의사수 가 많을수록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공급 과잉지역이 될 확률이 높고, 반 면 인구 1,000명당 병상이 높을수록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 공급과잉지역 이 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0) 요인분석에서 요인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사용하였 는데, 그 이유로는 첫 번째의 주성분은 표본의 분산을 가장 많이 설명해주는 선형결합이 라는 점이고, 다음은 첫 번째의 주성분과 무관한 분산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결합이 라는 점 때문이다. 그리고 요인회전법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직교회전(orthogonal rotation)방법인 베리맥스(varimax)를 사용하였다.

167

상수 3.387 0.081 0.776 -21.525 1.059 0.303 여성비 0.019 0.006 0.939 0.518 1.372 0.241 노령화 0.094 0.123 0.726 -0.022 0.001 0.974 영‧유아화 0.097 0.117 0.732 1.273 3.599 0.058 건강수준 -0.185 1.078 0.299 -0.564 2.440 0.118 재산세(1인당) -0.047 0.019 0.889 0.671 0.444 0.505 인구변동(%) -0.013 0.582 0.445 0.000 0.000 0.993 의사수(천명당) -1.729** 5.126 0.024 3.008 0.691 0.406 병상수(천명당) -0.027 0.422 0.516 -0.194 3.272 0.070 외래친화도 -0.097 2.539 0.111 -0.159 2.181 0.140 입원친화도 0.026 0.428 0.513 0.069 0.819 0.365

종합병원 여부 0.024 0.003 0.957 - - 여성비 -0.576 1.894 0.169 0.192 0.087 0.768 노령화 0.614 1.380 0.240 2.408 1.217 0.270 영‧유아화 -0.520 0.875 0.349 -0.020 0.000 0.988 건강수준 0.075 0.064 0.801 0.247 0.093 0.761 재산세(1인당) 0.216 0.098 0.754 4.681 3.815 0.051 인구변동(%) -0.008 0.040 0.842 -0.007 0.003 0.954 의사수(천명당) 0.060 0.007 0.936 12.035** 4.929 0.026 병상수(천명당) -0.043 0.421 0.516 -0.364** 4.117 0.042 외래친화도 -0.049 0.261 0.609 -0.118 0.388 0.533 입원친화도 0.002 0.001 0.973 -0.166 1.275 0.259

종합병원 여부 -0.562 0.530 0.466 - -

-Chi-Square 422.49 126.11

p 0.009 0.381

* 모델 A: 종합병원 소재 포함 지역 (3차 의료기관 제외)

* 모델 B: 종합병원 소재 제외 지역 (3차 의료기관 제외)

168

169

17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