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문화산업의 주요 부문별 현황과 실태

2.1.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

전국 139개 농촌 시·군에 대한 조사 결과 79.9%에 해당하는 111개 지역 에서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이 형성되어 있다. <그림 3-2>와 같이 139개 시·군 중 20.1%(28곳)에 동 식품산업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1개 품목이 산업화된 곳은 33.1%(46곳), 2개 품목이 산업화된 곳은 21.6%(30곳), 3개 품목이 산업화된 곳은 14.4%(20곳), 그리고 4개 품목 이상이 산업화된 곳 은 10.8%(15곳)로 나타났다.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31

그림 3-2.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 품목수별 시·군 분포

1개 이상의 품목이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으로 형성된 111개 지역 중 사 업체와 종사자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제공한 108개 시·군의 현황, 그리고 이 에 더해 매출액 정보까지 모두 제공한 88개 시·군(184개 품목)의 전통 및 향토 음식산업 현황은 <표 3-1>과 같다. 111개 농촌 시·군에는 전체 241개 품목(시·군당 평균 2.2개 품목)이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을 형성하고 있으 며, 이 중 108개 시·군에 3,978개 업체(시·군당 평균 36.8개소)가 분포하며 28,650명(시·군당 평균 265.3명)이 종사하고 있다. 또 108개 시·군의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 연간 총매출액은 9천2백8십3억원 정도(시·군당 약 86억 원)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현황 분석 결과는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이 기업과 일자리 창출 규모, 매출 규모 등에서 농촌지역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 사한다. 그러나 동 부문의 기업들은 업체당 평균 종사자 수가 7.2명, 업체 당 연간 매출액이 2억1천9백만원, 종사자 1인당 연간 매출액이 2천9백만 원 정도에 그치는 매우 영세한 곳이 대부분이라는 점도 피할 수 없는 현실 로 나타나고 있다. 또 동 부문은 연 3개월 이상 근무하는 상용근로자의 비 율이 평균 48.6%로 전체 고용자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있어 고용 안정성 도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2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구분 품목수: 개 (111개 시·군)

사업체 수(개소) 종사자 수(명) 연간 매출액(백만원) 108개 시·군 기준

총합계 241 3,978 28,650 928,291.9*

시·군 평균 2.2 36.8 265.3 8,595.3

주: 연간 매출액*은 88개 시·군의 응답결과의 평균을 108개 시·군의 연간 매출액으로 추 정한 결과임.

표 3-1.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 현황

1개 이상 품목의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이 형성된 111개 시·군에는 모두 241개 품목이 분포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사업 (비예산 정책사업 포함) 현황을 검토한 결과, 품목당 평균 1가지 정책사업 의 지원이 있었다. 1가지 정책사업의 지원이 있는 품목이 전체 68.0%로 가 장 많으며, 정책사업의 지원이 전혀 없는 품목이 17.4%로 그 다음을 차지 하고 있다. 2가지 이상의 정책사업 지원을 받은 품목은 12.0%, 3가지 이상 의 정책사업 지원이 있는 품목은 2.5%로 나타났다.

지원정책사업 응답 빈도(회) 응답 비중(%)

시·군 자체사업 60 24.6

시·도 자체사업 39 16.0

향토음식 자원화 사업 34 13.9

농촌 자원 복합산업화 지원

(향토산업 육성사업 포함) 34 13.9

지역특화발전특구지정 21 8.6

전통발효식품육성 14 5.7

향토지적재산육성사업 12 4.9

농촌여성일감갖기사업 5 2.0

향토음식맥잇기 5 2.0

기타 지원사업 20 8.2

총합계 244 100.0

주: 복수 응답을 허용한 조사 결과임. 기타 지원사업에는 농촌여성 손맛사업화 지원사 업, 지역농업특성화사업, 전문인력육성, 지역전략식품산업육성, 특화품목육성, 한 식세계화 지원사업 등이 포함됨.

표 3-2. 전통 및 향토 식품산업 지원정책사업 현황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33

34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2.2. 전통 공예산업

일반적으로 공예산업은 하위 부문을 소재별로 구분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섬유공예, 목공예(목공예 및 죽세공예), 나전칠기공예, 도자공예, 석공 예, 금속공예(금속공예 및 보석공예), 종이공예, 초자공예, 기타공예의 9개 하위 부문으로 구분하였다. 또 기계화·자동화에 의한 대규모 생산방식이 아닌 장인생산방식의 공예산업을 전통 공예산업으로 인식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우리 농촌의 139개 시·군 중에서는 이러한 전통 공 예산업의 어느 하위 부문이라도 발달되어 있는 곳이 73개 시·군(52.5%)에 그치고 있다. 특히 2개 부문 이상의 전통 공예산업이 발달된 곳은 33개 시·군(23.7%)에 불과해 농촌지역에 전통 공예산업의 전체적인 발달이나 다양성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3-3. 전통 공예산업 부문별 시·군 분포

전통 공예산업 중 1개 이상의 하위 부문이 발달된 농촌 시·군은 모두 73 개 지역이다. 이들 지역에는 평균 1.9개의 전통 공예산업 부문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 사업체는 1,908개소이다. 73개 시·군당 평균 26.1개 업체와 65.3명의 종사자가 분포하고 있다. 이들은 평균 고용자 수가 2.5명에 불과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35

한 매우 영세한 규모의 사업체가 대부분이며 1인 기업이나 가족기업이 많 아 상근고용자 비율은 84.3%로 높은 편이다. 73개 시·군의 연간 총매출액 은 1천9백3십9억원 정도, 시·군당 연평균 매출액은 2십6억5천6백만원, 그 리고 사업체당 연평균 매출액은 1억원, 종사자당 연평균 매출액은 3천9백 만원 정도로 나타났다.

구분 사업체 수(개소) 종사자 수(명) 연간 매출액(백만원)

총합계 1,908 4,764 193,876.1*

시·군 평균 26.1 65.3 2,655.8

주: 연간 매출액*은 49개 시·군의 응답결과의 평균을 73개 시·군의 연간 매출액으로 추정 한 결과임.

표 3-4. 전통 공예산업 현황

전통 공예산업이 가장 발달한 상위 농어촌 시·군 10곳을 조사한 결과

<표 3-5>와 같이 나타났다. 전통 공예산업이 가장 발달한 익산시의 경우는 보석공예와 석공예를 중심으로 345개 업체가 분포하고 있으며 종사자는 1,388명에 이르고 있어 지역의 기간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천시의 도 자공예 역시 348개 사업체에 714명이 종사하는 주요 지역산업이 되고 있 다. 이 밖에도 남원시의 목공예, 경주시의 도자공예, 남양주시의 나전칠기 공예, 강화군의 초경공예(화문석 및 왕골공예) 등도 농촌지역 내 기업 및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위 부문별로는 도자공예가 사업체 834개소(43.7%), 종사자 1,689명 (36.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석공예는 사업체 276개소 (14.5%)와 종사자 1,033명(22.2%), 목공예는 사업체 285개소(14.9%)와 종사 자 658명(14.1%)의 산업규모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 매출액 비중으로는 목 공예가 전체 연평균 매출액의 28.2%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자공예(27.6%) 와 기타공예(11.7%), 종이공예(8.6%), 섬유공예(7.4%), 금속공예(6.1%), 석 공예(5.5%) 등의 순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36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지역 사업체 종사자 주요 공예산업 부문

익산시 345 1,388 금속(보석)공예, 석공예

이천시 348 714 도자공예

남원시 91 381 목공예

경주시 150 350 도자공예

남양주시 96 288 나전칠기공예

강화군 117 171 기타공예(초경공예: 화문석 및 왕골공예품) 함양군 7 126 도자공예, 목공예, 석공예, 초자공예, 섬유공예

문경시 36 108 도자공예, 종이공예

보령시 43 104 석공예

진천군 30 73 도자공예, 종이공예, 금속공예

주: 시·군별 응답률의 차이로 경기도 광주, 여주 등 일부 지역은 불가피하게 제외함.

표 3-5. 종사자 기준 전통 공예산업 상위 10위 지역

전통 공예산업의 기업들이 그동안 받은 공공의 지원은 하위 부문별로 대 동소이하다. 주로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공예관광상품 개발사업, 시·군 및 시·도 자체사업이 가장 공통된 공공의 지원정책사업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일부 하위 부문의 기업들이 지역문화예술 지원사업이나 문화재활용 프로그램 개발사업을 통해 공공의 지원을 받아왔다. 또 드문 경우지만 영 동군은 지역의 목공예산업 육성에 신활력사업을 활용하였다. 전통 공예산 업에 대한 공공의 지원은 전체적으로 산업체계의 육성보다는 단편적인 단 위사업(프로그램) 지원의 성격을 지니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전통 공예산업 육성을 위한 공공의 지원정책사업이 투입된 시·군 중 구 체적인 지원규모가 파악된 곳은 모두 46개 지역으로(약 909억원), 2000년 이후 시·군별 평균 지원금은 19억7천6백만원 정도이다. 이들 지역 중 울주 군이 도자공예 분야를 중심으로 300억원 이상 지원받아 가장 많은 정부 지 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원주시가 종이공예와 목공예를 중 심으로 291억원, 인제군이 목공예를 중심으로 51억원, 삼척시가 초자공예 를 중심으로 50억원, 횡성군이 도자공예를 중심으로 43억원가량을 지원받 아 왔다. 이 밖에 문경시, 이천시, 영암군이 앞서 언급한 시·군별 평균 지원 금 이상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 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 37

부문 주요 지원정책사업

도자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공예관광상품 개발사업, 문화재활용 프로그램 개발사업, 지역문화예술 지원사업, 시·군 자체사업, 시·자체사업 등

목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지역문화예술 지원사업, 공예관광상 품 개발사업, 신활력사업, 시·군 자체사업, 시·도 자체사업 등 금속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전문인력 육성지원, 공예관광상품

개발사업, 시·군 자체사업, 시·자체사업 등

나전칠기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문화재활용 프로그램 개발사업, 시·

군 자체사업 등

석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지역문화예술 지원사업, 지역문화 컨설팅 지원사업, 공예관광상품 개발사업, 시·도 자체사업 등 섬유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지역문화 컨설팅 지원사업, 공예관

광상품 개발사업, 시·도 자체사업 등

종이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지역문화예술 지원사업, 공예관광상 품 개발사업, 시·군 자체사업, 시·도 자체사업 등

초자공예 시·군 자체사업, 시·도 자체사업

기타공예 전통공예 육성 지원사업, 공예관광상품 개발사업, 시·군 자체 사업, 시·도 자체사업 등

표 3-6. 전통 공예산업 하위 부문별 주요 지원정책사업 현황

2000년도 이후 현재까지의 공공의 지원금이 파악된 46개 시·군의 전통 공예산업 중 부문별로는 도자공예에 절반에 가까운 49.5%의 정책 지원금 이 집중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종이공예(20.6%), 목공예(20.3%), 초자공

2000년도 이후 현재까지의 공공의 지원금이 파악된 46개 시·군의 전통 공예산업 중 부문별로는 도자공예에 절반에 가까운 49.5%의 정책 지원금 이 집중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종이공예(20.6%), 목공예(20.3%), 초자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