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문화산업의 주요 부문별 사례와 특성

2.1. 강릉 전통 한과산업 2.1.1. 주요 현황

한과는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나 만들어 먹던 전통 음식 중 하나이지 만, 1960년대 식량 부족으로 정부에서 쌀 가공식품 생산을 전면 금지한 것 과 함께, 서양과자의 확산과 음식문화의 변화로 명맥이 거의 끊기게 되었 다. 그러나 최근 우리 전통문화와 웰빙에 대한 관심 증대로 한과 소비가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전국적으로도 한과 생산업체가 증가하는 추세 에 있다. 이에 따라 전국 한과 생산업체는 2007년 2월 170개소에서 2010 년 1월 400개소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강릉은 사천면을 중심으로 전통 생산 방식을 고수하며 한과를 생산하는 업체가 집적되어 있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강릉 내 한과 생산업체는 2000 년 26개 업체, 종사자 104명에서 2010년에는 57개 업체, 종사자 255명으로 증가하였다. 이 중 52개 업체가 사천면에 입지하고 있다.

강릉에 전통 한과산업이 발전하게 된 것은 2008년부터 한과산업의 규모

농촌 문화산업 주요 사례와 특성 53

화, 대외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 지자체 차원에서 지원이 이루어진 것이 계 기가 되었다. 즉, 강릉시의 도움을 통해 전통 한과생산 업체들이 영농조합 법인을 결성해 집단화하고 판매시설과 유통망에 대한 지원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시 차원의 지원을 통해 사천면의 45개 한과생산업체가 ‘강릉 한과 영농조합법인’을 결성하게 되었다.10

강릉 한과영농조합법인 업체들이 출하하는 한과는 2009년 지리적 표시 제 신청 당시 기준으로 연간 90톤에 달하며, 매출액 기준으로는 약 200억 원 정도이다. 영농조합법인을 통한 출하는 연 2회(추석, 설)이며 2010년 기 준으로 보면 약 2톤 정도 될 것으로 파악된다. 즉, 대부분은 개별 업체별로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다. 규모가 작은 업체는 연간 7천~8천만원, 규모가 비교적 큰 업체는 15억원 정도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농사를 겸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들도 한과매출이 농업생산액을 상회할 정 도로 운영되고 있다.11

강릉 전통 한과산업 육성을 위해서 그간 농림수산식품부, 행정안전부, 중소기업청, 강릉시 등으로부터 다양한 지원이 있어 왔다. 먼저 농림수산 식품부는 사천면 모래내 한과마을(노동리)을 1989년 전통식품보존마을로 지정하였으며 1999년에는 사천면 내에 엿(조청)공장 건립을 지원하였다.

행정안전부는 한과체험관 건립을 지원하였으며, 강원도 중소기업청에서는 브랜드 개발과 한과생산 업체의 홈페이지 제작 등을 지원하였다.

강릉시에서는 한과체험관의 체험프로그램 재료비 40%를 지원하고 있으 며 한과축제에 국비 2천만원, 시비 2천7백만원 등을 지원하고 있다. 향후 강릉시는 한과산업 지원에 있어 건물·장비 등은 40% 이상의 자부담을, 축 제는 50% 이상의 자부담을 전제로 지원할 예정이다.

10 동 영농조합의 조합원이 되기 위해서는 3년 이상의 경력을 갖추고 기존 조합 원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사천면 내 나머지 7개 업체는 현재 비조합원으로 남아 있는 상태이다.

11 대부분의 업체에서 전수자를 확보하고 있을 정도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대규모 업체는 주문량을 공급하기 위해 농업생산을 포기하고 한과생산에만 매 진하고 있다.

54 농촌 문화산업 주요 사례와 특성

이 외에도 강릉한과는 농림수산식품부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의 지리적 표시 등록, 특허청의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 등록을 지원받았다. 이를 통해 2011년 2월에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을 등록했으며, 동년 3월에는 지리적 표시 등록(찹쌀 강정과 찹쌀 과줄)을 마친 상태이다.

2.1.2. 산업 구조와 주요 특성

강릉 전통 한과산업의 특성은 생산체계의 구성이 거의 지역 내에서, 특 히 사천면 내에서 이루어져 있는 점이다. 전통 한과 생산업체가 사천면 내 에 집중적으로 입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과 생산과정에 필요한 생산기 반 역시 대부분 사천면 내에 공동 입지하고 있다. 조청공장과 뻥튀기 고물 공장, 한과 포장박스 공장 등이 모두 사천면 내에 있다.

생산에 필요한 원료투입 역시 90% 이상 사천면 및 강릉시 내에서 이루 어지고 있다. 한과의 주요 원료는 찹쌀, 백미(이상 사천농협이 제공), 종실 류, 엿 및 조청, 과일, 식용류 등인데 이들 원료의 대부분을 사천면 또는 강 릉시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을 이용하고 있으며, 종전까지 수입 옥수수를 이 용해 만든 조청을 사용하였지만 향후에는 조청 원료를 사천면 내에서 생산 하는 오대미로 대체할 계획이다. 다만 주요 원료 중 깨는 수입산을 사용하 고 있다.

한과 생산에 필요한 인력 역시 대부분 강릉시 내에서 투입하여 지역 주 민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한과의 소비 특성상 대 부분의 생산업체에서는 한과 생산을 특정 계절에 집중하고 있어 70% 이상 의 생산인력이 일시적으로 고용되고 있다. 소규모 업체의 경우는 상시 고 용 인력이 주로 대표 본인과 가족·친지로 구성되며, 대규모 업체는 다수의 지역 주민을 상시 고용 인력으로 채용하고 있다. 일시적 고용자들은 숙련 도 등의 문제로 주로 한과 담기, 포장 등의 단순작업을 담당한다.

강릉 전통 한과산업의 전시·홍보기반으로는 한과체험관이 있다. 한과체 험관은 행정안전부의 지원으로 건립되었다. 2008년 하반기 개관 이후 2011년 5월까지 6천명 정도의 방문객이 다녀갔으며, 이 중 한과생산 체험

농촌 문화산업 주요 사례와 특성 55

을 한 방문객은 2천5백명 정도이다.

한과의 유통은 강릉 한과영농조합법인을 통한 유통과 개별 업체별 유통 으로 구분된다. 강릉 한과영농조합법인을 통해서는 추석 및 설과 같은 명 절에 현대 건설, 현대 엔지니어링, SK의 4개 계열사(SK 텔레콤, SK 건설 등)에 공동 판매하고 있다. 반면, 개별 업체별로는 기존 단골 거래선, 온라 인 판매, 네이버 등 포털 링크를 통한 판매, G마켓과 같은 쇼핑몰을 활용 하고 있다. 이 중 단골손님에 대한 전화주문 판매와 온라인 판매가 주요 유통수단이 되고 있다.

그림 4-1. 강릉 전통 한과산업의 생산체계

이렇듯 강릉의 전통 한과산업은 동종 업체가 사천면이라는 특정 공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고 원료의 생산과 투입, 노동력의 투입, 생산과정 의 각 단계가 대부분 사천면이나 강릉시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그 림 4-1>과 같이 한과 생산에 필요한 전후방 연계가 국지화되어 한과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역 주민에 대한 고용 효과는 물론, 후방연계를 통한 농업부문에 대한 시너지 효과, 관련 사업체 발생에 따른 경제활동 증대 등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56 농촌 문화산업 주요 사례와 특성

2.1.3. 애로점과 정책 수요

강릉의 전통 한과산업은 연간 매출액이 200억원에 이를 정도로 지역 내 기간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과정의 개 선, 영농조합법인을 통한 공동생산 및 공동유통 등을 위한 품질관리의 개 선, 연중 생산과 판매를 위한 기술적 보완 등의 문제가 남아 있다.

먼저 강릉 한과영농조합법인에 의해 공동으로 등록된 지리적 표시제에 걸맞게 각 생산업체가 공동으로 따라야 하는 생산기준과 품질관리가 마련 되어야 한다. 주요 명절 시 공동 출하되는 상품에 대해서는 생산업체마다 의 품질 차이로 인한 문제가 이미 영농조합법인 내부에서부터 제기되고 있 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향후 영농조합법인의 공동생 산공장의 설립, 품질관리기준 마련 등이 지원될 필요가 있다.12

둘째, 생산성 향상과 연중 생산·판매를 위한 생산공정의 자동화 및 시설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강릉 전통한과 생산업체들은 타지역의 한과생산 업체들과 달리 전통 생산 방식을 고집하고 있어 대규모 생산체계 구축에 매우 소극적인 상황이다. 대부분의 생산업체가 장인 생산방식에 따른 생산 기술의 노출을 꺼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역시 공동생산과 이에 따른 품 질관리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도록 지원하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할 문 제일 것이다.

셋째,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홍보를 통해 강릉 전통한과에 대한 수 요를 증대하고 체험관광 등의 연계산업 발전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2008 년 하반기에 한과체험관이 개관되었지만 아직까지 방문객이 많지 않은 상 황이며, 무엇보다도 강릉한과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지 않은 상황 이다. 강릉 전통한과에 대한 영농조합법인 차원의 적극적 홍보도 필요하겠 지만, 강릉시 차원에서도 주요 지역산업의 하나로 강릉 전통한과를 적극적 으로 홍보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12 이의 일환으로 강릉 한과영농조합법인이 운영하는 공동생산공장이 2012년 착 공될 예정이지만 아직 구체적인 공장설립 방안 마련이 미진한 상황이다.

농촌 문화산업 주요 사례와 특성 57

넷째, 강릉 전통한과는 소규모 생산업체들조차 농업생산액보다 한과매 출액이 더 클 정도로 발전 잠재력이 있다. 그러나 보관 및 포장기술의 부 족으로 대부분의 소규모 생산업체에서는 추석과 설 전후에 집중적으로 한 과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강릉 전통 한과산업의 성장을 위

넷째, 강릉 전통한과는 소규모 생산업체들조차 농업생산액보다 한과매 출액이 더 클 정도로 발전 잠재력이 있다. 그러나 보관 및 포장기술의 부 족으로 대부분의 소규모 생산업체에서는 추석과 설 전후에 집중적으로 한 과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강릉 전통 한과산업의 성장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