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기반을 둔 근거이론 방법을 사 용하였다. 이에 따라 간호사 자격을 가진 PA들이 생소한 역할에 직 면하여,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며, 그 상황과 자 신의 역할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작용/상호 작용을 통해 적 응해 가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사회심리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또 다른 간호사의 이름으로 살아 가기’ 로서, 이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PA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을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간호사의 이름으로 살아가 기’ 란 간호 철학과 PA의 직무가 서로 통합되어 새로운 간호사의 역할인 PA로 확립되는 과정이다. 즉 간호 이념과 간호 철학을 가진 간호사가 새로운 업무를 배워 PA라는 새로운 간호영역의 확대를 가 져오는 과정인 것이다.

본 장에서는 연구 결과로 도출된 간호사 자격을 가진 PA의 실무 경험에 대한 논의와 함께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에 대해 기술하 였다.

1. 간호사 자격을 가진 PA의 실무 경험

참여자들이 간호사를 떠나 PA로 이직하는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불규칙한 간호사의 3교대 근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 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선 전통적 3교대 근무 체제가 아닌 다양한 시 간제 근무제도와 낮번과 밤번을 나눈 고정근무제도의 활발한 도입

을 고려하는 등의 간호계 내의 자기 성찰이 필요한 부분으로 사료

시각을 간호에서 질환 위주의 시선으로 전환시켜야만 했으며 이 과

속을 간호부로 일원화시켜 의국에서 분리된 부서의 독자적인 운영

그러나 2000년대 초반, PA가 한국에서 활동을 시작한 이래, 지금 까지도 해결되지 못하고 남아 있는 법적 제도의 결여, 특히 보상과 승진 체계가 없는 현실에서 참여자들은 자존감이 저하되고 또다시 이직을 고민하고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전담간호사로 근무하면서 반복되는 업무에 대한 회의와 발전 가능성이 없는 현실에 불안감을 갖게 되었다는 연구 결과(성지숙, 2015)와도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병원정책 측면에서 PA의 채용 및 배치에 대한 규정 과 평가 및 승진 체계 등의 인사 정책을 공고히 마련하여 PA들의 직무 만족도 및 의욕을 높일 수 있는 자구책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다.

현실적으로 한국형 PA는 의사들의 요구와 필요성으로 대두되어 3교대 업무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려는 간호사들의 요 구와도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계속적인 양적 확대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의학계의 협조를 얻어 전문 간호사 제도 안에서 간 호사의 역할 중 하나로 PA의 역할과 업무 범위를 재정립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2. 연구의 의의 및 적용

본 연구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PA(Physician Assistant)의 실무 경험을 심리사회적 맥락에서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이들의 경험 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PA들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 적응 과정 및 그 결과에서 보이는 행위 및 전략들에 대해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체적 이론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PA의 정체성 찾기는 결국 간호사의 정체성과 그 맥락을 같이 함이 도출되었기 때문에 간호 실무면의 의의로서 PA를 전문간호사 제도권 내에 두어, 전문간호사의 실무 범위를 제 고하고 이를 근거로 역할을 구체화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 착수에 대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출된 실제 모형은 실무에서 PA들을 위한 실무지침서 개발 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간호교육면에서의 의의를 살펴보면, 본 연구 결과를 토 대로 전문 간호사의 역할 중 하나로 PA의 다양한 업무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이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간호 연구의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본 연구는 간호사 자격을 가진 PA의 실무 경험에 대한 실체 이론을 구축하였다. 이는 PA의 업무 적응 과정 뿐 아니라, 그 정체성의 본질을 찾고, 이를 사 회제도적 맥락 안에서 풀어나가 그 경험을 포괄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PA의 역할과 속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지식체 구축 에 충분히 기여하였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PA가 전문간호사의 한 영역으로서의 역할과 그 속성을 밝히는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