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공방안

제1절 FGI 결과 28)

3.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공방안

노인장기요양 대상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제고 등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활성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략과 함께 제약사항에 대한 사 전해소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가.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성화 전략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의견으로는 노인장기요양시설에 호스피스전문기관의 인력을 파견, 노인 장기요양시설의 기존 인력과 호스피스전문기관 인력 간 협력체계 구축, 호스피스 연계기관 이용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방안이 제시되었 다. 또한, 자원봉사형태로서 전문인력의 참여가 촉진되어야 한다는 입장 과 호스피스 연계기관으로서 보건소를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그밖에도,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의 특성과 관련하여 호스피스 완 화의료 대상을 암환자에 국한하지 않고 기타 노인성질환까지 확대해야 할 필요성, 요양시설의 호스피스 제공에 대한 홍보 필요성, 수요자의 요 구에 맞도록 의료서비스 외에도 요양시설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성 등이 제안되었다(표 5-9 참조).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에게 호스피스 완화 의료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노인장기요양시설(기관)이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해야한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 은 태도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하여 의료적 처치(증상 완화)를 제외하 고는 시설에서 제공하는 일상적인 돌봄의 연장선에서 제공될 수 있는 것

으로 인식하고 있는 데 바탕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입장은 한은정 등(2014)의 연구에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제 공자는 가정과 같은 환경에서 편안히 맞이하는 죽음을 좋은 죽음으로 인 식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시설을 가정과 같은 환경으로 만들어 가족과 함께 죽음을 맞이할 수 있게 하고자 하며 보호자 또한, 사 회 분위기의 변화속에서 시설임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조성되고 있다 고 보는 점과 일맥상통하다.

〔그림 5-1〕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의 시설적응 과정

자료: 신용석, 김수정, 김정우, 2013, 장기요양보호대상노인의 시설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내버려진 마음 누그러뜨리기, p. 177.

신용석 등(2013)의 연구는 이와 같은 의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뒷받침 하고 있다. 즉, 장기요양보호대상의 시설적응 과정에 대한 관찰연구를 통

해 시설 노인은 처음 입소당시 내버려졌다는 마음의 상처를 차츰 가족을

의견 세부내용

나. 노인장기요양시설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제공을 위한 선결과제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은 주로 시설이나 인력 그리고 수가 등 전반적인

의견 세부내용

의견 세부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