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부

6.1. 기후변화감시 현황

6.1.1. 세계기상기구의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

세계기상기구(WMO)는 세계의 기상관측체계 수립, 기상관측의 표준화, 기상정보의 국제 교환, 다른 분야에 대한 기상학의 응용을 추진하기 위해 1950년에 설립된 국제연합(UN)의 특별기구이다. WMO 과학기술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지구대기감시(GAW) 프로그램은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 산성비 등과 같은 환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1989년에 전지구오존관 측망(GO3OS)과 배경대기오염감시망(BAPMoN)을 통합하여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첫 째, 지구대기의 화학조성에 대한 과학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측자료를 제공하고, 둘째, 지 구대기의 자연적・인위적인 조성변화 정보를 제공하며, 셋째, 대기・해양・생물 간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에서 관측된 자료는 WMO 지구대기감시 세계자료센터 등을 통해 관련 국제기관, 각국 정부기관 및 연구자에게 제공되어 지구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여 러 가지 정책 수립에 활용되고 있다.

6.1.2. 우리나라의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

우리나라의 지구대기감시는 기후변화감시의 일환으로 1987년 소백산기상관측소에서 출발 하였으며, 1996년에 태안군 안면도에 지구대기감시 지역급 관측소인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로 이전하였다. 기후변화로 지구 온난화가 사회・경제적인 이슈가 되면서 한반도에서 기후변 화 유발물질의 유출입 감시를 위한 지구대기감시망의 확대가 추진되었다.

한반도에서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유입지역에 해당하는 중부 서해안에는 안면도 기후변화감 시소가 위치하고 있고, 남부인 제주도에 고산 기후변화감시소가 2008년 신설되었다. 또한 2011

년부터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유출 지역에 해당하는 최동단인 독도에서 온실가스를 관측하기 시작하였고 2014년에는 울릉도의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가 정식 운영되었다. 이로서 기후 변화감시망 기본관측소 3소에서 한반도를 아우를 수 있는 기후변화감시망이 구축되었다.

또한, 우리나라의 성층권 오존, 자외선의 전국 분포를 관측하기 위한 보조관측소는 포항, 목포 및 강릉 3소에서 운영하고 있다. 오래 전부터 지구대기감시를 수행해 오거나 최신 기 후변화감시 관측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대학과 기관을 연계한 위탁관측소를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10월 극지연구소 남극장보고기지를 추가 지정하여 총 7소를 운영하여 기후 변화감시망을 보강하고 있다.

현재 WMO 지구대기감시 프로그램에서 권고하는 기후변화감시 6개 분야(온실가스, 반응 가스, 에어로졸, 성층권 오존/자외선, 대기복사, 총대기침적)에 대해 36종을 관측하고 있으 며, 동북아시아 지역을 대표하는 수준 높은 관측자료 제공과 연구 활동을 통해 국제 네트워 크와 프로그램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지난 2011년에는 대표적 온실가스 중 하나로 대기 중 극히 미량으로 존재하는 육불화황(SF6)의 측정 기술을 인정받아 WMO로부터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에는 총대기침적 국제비교실험과 온실가스 관측기술 적합성 평가 등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2017년에는 안면도와 고산 기후변화감시소에 대하여 온실가스, 반응가스에 대하여 세계 표준센터의 적합성 평가를 수감하고 관측환경, 검출한계 등을 점검・공유하고 관측기술을 개 선하였다.

한편, 한반도 기후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온실가스 감축 등 미래 기후변화 에 대비한 국가정책 수립과 사회, 경제적 대응을 위해 2001년부터 매년 한반도 지구대기감 시 관측・분석 결과를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로 발간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는 지구대기감시 관측망의 운영현황과 요소별 분석 결과, 관측 이래 각 요소별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기본

관측소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고산 기후변화감시소*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울릉도 독도

전경

고도 47.0 m 52.0 m 220.9 m 24.0 m

관측 시작 연도

온실가스(1999) 반응가스(1998) 에어로졸(1999) 총대기침적(1997) 성층권 오존(1994)

자외선(1999) 대기복사(1999)

온실가스(2009) 반응가스(2012) 에어로졸(2009) 총대기침적(1998) 성층권 오존(2009)

자외선(1999) 대기복사(2008)

온실가스(2012) 반응가스(2015) 에어로졸(2012) 총대기침적(1997)

자외선(2012)

온실가스(2011)

보조

관측소 포항*(대구기상지청) 강원지방기상청 목포기상대

고도 2.5 m 79.0 m 37.4 m

관측 시작 연도

성층권 오존(1994) 자외선(1999)

자외선(2001) 자외선(2001)

위탁

관측소 연세대학교* 광주과학 기술원

서울대학교 (광릉 수목원)

남극세종 과학기지*

(극지연구소)

제주 대학교

숙명 여자대학교

남극장보고 과학기지*

(극지연구소)

관측 요소

성층권 오존, 자외선

에어로졸 연직분포

산림의 이산화탄소

플럭스

이산화탄소 라돈 중층대기

수증기・오존

이산화탄소 성층권 오존

위탁

지정일 2014. 11. 6 2007. 1. 1 2008. 11. 5 2010. 10. 26 2012. 4. 1 2015. 4. 1 2017. 10. 1

▶▶표 3-37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현황

※ WMO 지구대기감시 지역급 관측소: 안면도 기후변화감시소, 고산 기후변화감시소, 포항(대구기상지청), 연세대학교, 남극세종과학기지

그림 3-66 월평균 이산화탄소 농도(1999∼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