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바. 기타 정신질환과 자살

정신질환 중 적응장애, 불안장애, 공황장애가 있는 사람에서 자살위험

이 증가한다(Harris and Barraclough, 1997). 그러나 불안장애 환자에 서 우울증과 알코올의존 등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불안장애 자체가 자살률을 얼마나 증가시키는 지는 미지수이다(Warshaw et al., 200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경우 특히 품행장애나 우울증을 동반 했을 경우 동반질환의 심각성을 높임으로써 남성에서 자살위험이 증가한 다(James et al., 2004).

4. 자살의 위험요인으로써 정신사회학적 요소

자살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자해 혹은 자살시도의 과거력이다. 이는 전체 자살자의 적어도 40%에서 발견된다(Cavanagh et al., 2003). 비 치명적 독극물 음용 혹은 자해 후 퇴원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에서 나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첫해 동안 1~6%는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Owens et al., 2002). 자살 위험이 특히 높은 요소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남성, 반복되는 자해, 자살의도가 명백한 자해시도였을 경우, 알코올남용인 경우, 함께 사는 가족이 없는 경우 등이다(Cooper et al., 2005). 자살 시도와 비 자살 시도성 자해를 반드시 구별해야 하 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자살성공의 위험은 행동의 자기위해 의도의 유무와 직접 관련되는 반면, 자살의도가 얼마나 강했는지 와는 덜 관련된다.

자살은 흔히 부정적 생활사에 후속되는 경우가 흔하며 특히 대인관계 상의 상실 혹은 건강 상실이 관련 있는 주된 생활사건이다. 지진이나 유 명인사의 죽음 등과 같이 대중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큰 사건들은 전체 적인 자살률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반대로, 전쟁은 자살률의 감소와 관련 있는데 이는 사회구성원 내 응집 및 목적의식의 공유와 관련 있다.

한편 전쟁이 자살에 미치는 효과는 국지전일 경우 해당되지 않을 수 있

다(Cavanagh et al., 1999).

유소년기에 겪은 신체적 특히 성적 학대는 자살과 관련이 매우 높다.

유소년기 피학대 경험과 자살간의 관련성은 특히 다음 세대에까지 전달 되는 복합적인 것이다. 자살행동의 대물림은 자살시도자가 어린 시절 성 적학대를 받았을 경우에 가장 높다(Brent et al., 2003).

5. 청소년에서의 자살

미국의 경우, 매년 청소년 5명 중 한 명은 자살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청소년의 5~8%는 자살을 시도하며, 1,600 명의 청소년이 결국 자살로 사망한다(Grunbaum et al., 2002). 미국에서 자살은 10~14세/15-19세 청소년 사망의 3번째 이유이다. 미국 고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19%는 자살을 심각하게 고려해 본 적이 있고, 15%는 자살계획을 해 본적이 있으며, 8.8%는 자살시도를 해본 적이 있고, 2.6%는 의학적 후 유증이 남을 정도의 자살시도를 하였다. 소아청소년에서의 자살은 사춘 기 이전의 아이들에게는 드물지만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자살시도는 16-18세에 정점을 이루며 이후 그 빈도는 감소한다(Kessler et al., 1999).

미국 청소년의 자살률은 1964년부터 1988년까지 상승세였다가 90년 대 중반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청소년 자살률 감소의 대표적인 요소는 약물, 술, 총기, 그리고 항우울제이다. 청소년 자살률이 상승하기 시작했 던 시대에 청소년들에게 약물과 술에 대한 노출이 많아졌던 것이 이를 지지한다(Shaffer et al., 1996). 총기의 경우 1994년 미국에서 총기에 대한 법적규제가 시행되자 고교생들에서 총기로 인한 자살이 급격히 감 소하기 시작했다(Prevention, 2000). 또 다른 요인인 항우울제는 우울감 개선 뿐 아니라 공격성의 폭발을 감소에 기여한다. 항우울제가 청소년

자살을 조장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주장이 있기도 했으나 스웨덴의 역 학연구에서 항우울제 처방이 높은 지역에서 자살희생자가 적음은 항우울 제 사용이 전체적인 자살을 줄임을 지지하는 결과이다(Isacsson, 200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