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업성과 (1) 기업성장

문서에서 한국 기업의 성장과 성과 -2010- (페이지 49-99)

제 3 장

3. 기업성과 (1) 기업성장

1) 매출증가

기업군을 기업규모별로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나누어 매출액 변화를 통 해 이런 기업군별 기업성장에서의 추이와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외감법인 전체 매 출액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였으나 2008년에는 크게 증가하였고, 2009년 에는 다소 증가율이 하락하고 있다.

이를 각 기업군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의 매출증가가 최근 전체 외감법인의 매출증가 를 견인하고 있다.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매출증가는 최근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런 기업군별 매출증가를 반영한 기업군별 매출비중의 추이를 보면, 중소기업과 중견 기업의 비중이 완만하게 증가하던 추세가 최근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대기업의 비중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는 최근 외감법인 전체의 매출증가가 크게 증가하지 못하 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대기업군의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그 비중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림 19> 기업규모별(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매출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20> 기업규모별(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매출비중 추이

0204060

1995 2000 2005 2010

year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다음은 기업군을 내수기업과 수출기업으로 나누어 매출액 증가추이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2008년까지 크게 증가하던 매출은 2009년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기업의 매출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수출비중 40~60%, 81~100% 구간의 수출기업들의 매출이 소폭 증가하였다.

따라서 내수기업과 수출기업의 기업군별 매출비중 추이변화를 보면 2009년에는 내수기업의 매출비중이 크게 늘어났고, 61~80% 구간의 수출기업들의 매출비중은 줄어들었다.

<그림 21> 수출비중별(수출기업, 내수기업) 매출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내수기업

(40-60%) 수출기업

(61-80%) 수출기업

(81-100%) 수출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22> 수출비중별(수출기업, 내수기업) 매출비중 추이

020406080100

1995 2000 2005 2010

year 내수기업

(40-60%) 수출기업

(61-80%) 수출기업

(81-100%) 수출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기업군을 매출액 순위별로 1~50대 기업, 51~100대 기업, 101위 이하 기업으로 나 누어 매출액 증가추이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업군별 매출추이를 보 면 1~50대 기업군의 매출액 증가가 이전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01위 이 하 기업군에서도 꾸준한 매출증가를 보이고 있다. 반면 51~100대 기업은 매우 낮은 매출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기업군별 매출비중 추이변화를 보면, 101위 이하 기업군은 절대 다수의 기업임에 도 불구하고 2000년 이전 1~50대 기업군의 매출비중을 하회하였으나 그 이후 1~50 대 기업의 매출비중이 크게 앞질렀다. 2009년에는 1~50대 기업과 101위 이하 기업 군은 매출비중이 소폭으로 상승하고 있다. 반면 상위기업임에도 불구하고 51~100위 기업의 매출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런 기업군별 매출비중의 추이로부터 짐작할 수 있는 것은 대기업 가운데서도 상위 대기업과 하위 대기업 간에 커다란 격차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군 의 매출규모별 특성에서 볼 때 기업 간 격차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 간에도 클 뿐만 아니라 대기업 간에도 매우 크다는 사실이다. 51~100위 기업의 매출규모가 1~50위 기업군에 비해 매우 미미하다는 것은 그만큼 지속적으로 새로운 대기업이 성장할 잠재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23> 매출액 순위별(1~50대, 51~100대, 기타) 매출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1-50대 기업 51-100대 기업 101위 이하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24> 매출액 순위별(1~50대, 51~100대, 기타) 매출비중 추이

1020304050

1995 2000 2005 2010

year 1-50대 기업

51-100대 기업 101위 이하

Source: KISVALUE Database

다음으로 기업군을 소속 시장별로 비상장기업, 코스피 상장기업, 코스닥 상장기업 으로 나누어 매출액 증가추이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업군별 매출추이를 보면 코스피 상장기업과 비상장외감법인의 매출이 전체 매 출추이를 이끌고 있으나, 코스닥 상장기업은 과거와 비슷한 매출수준을 유지하고 있 을 뿐이다.

기업군별 매출비중 추이변화를 보면, 코스피 상장기업의 비중은 점차 하락하다가 최근에 다시 상승하고 있는 반면 비상장외감법인의 매출비중은 상승하다가 최근에 현상유지를 하고 있다.

<그림 25> 소속 시장별(외감, 상장, 코스닥 상장) 매출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비상장외감법인 코스피상장기업 코스닥 상장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26> 소속 시장별(외감, 상장, 코스닥 상장) 매출비중 추이

020406080

1995 2000 2005 2010

year 비상장외감법인

코스피상장기업 코스닥 상장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다음 기업군을 산업별로 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군으로 나누어 매출액 증가추이 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업군별 매출추이를 보면 제2차, 제3차 산업 의 꾸준한 매출증가가 외감법인의 매출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기업군별 매출비중 추이변화를 살펴보면 제1차 산업은 기업 수가 적어서 0.3%대 의 매출비중을 유지하다가 2000년 이후 더욱 하락하여 현재 0.2%대 수준으로 감소 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제2차 산업의 매출비중이 제3차 산업의 매출비중보 다 작았으나 최근에 들어서 다시 제2차 산업이 큰 폭의 매출증가를 보이면서 전체 매출의 60%에 근접하고 있다.

<그림 27> 산업별(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 매출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1 제 차 산업

2 제 차 산업

3 제 차 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28> 산업별(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 매출비중 추이

0204060

1995 2000 2005 2010

year 1

제 차 산업 2 제 차 산업

3 제 차 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2) 자산증가

다음은 기업성장을 자산증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군을 규모별로 중소 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나누어 자산증가 추이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 다. 외감법인 전체 자산규모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2009년에는 그 증가 율이 소폭 하락하고 있다. 전체 외감법인의 자산증가는 주로 대기업군의 자산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던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자산은 최근 제자리 에 머물고 있다.

이런 자산증가를 반영하여 대기업군의 자산비중이 전체 외감법인의 약 50% 이상 을 차지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자산비중도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 이후 중견기업 의 자산비중을 넘었으나 2009년에는 다시 감소하여 중견기업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 고 있다.

<그림 29> 기업규모별(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자산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30> 기업규모별(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자산비중 추이

020406080

1995 2000 2005 2010

year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기업군을 내수기업과 수출기업으로 나누어 자산증가 추이를 보면 최근 내수기업 의 자산규모는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수출기업들의 자산규모는 크게 증가하지 못하 고 있다. 이에 따라 2009년에는 그동안 크게 감소하던 내수기업의 자산비중이 증가 하고 있는 반면 수출기업의 자산비중은 감소하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 서 종전과 달리 2009년에는 수출기업의 자산비중 증가가 정체되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 31> 수출비중별(수출기업, 내수기업) 자산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내수기업

(40-60%) 수출기업

(61-80%) 수출기업

(81-100%) 수출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32> 수출비중별(수출기업, 내수기업) 자산비중 추이

020406080100

1995 2000 2005 2010

year 내수기업

(40-60%) 수출기업

(61-80%) 수출기업

(81-100%) 수출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기업군을 매출액 순위별로 1~50대 기업, 51~100대 기업, 101위 이하 기업으로 나 누어, 기업군별 자산증가 추이를 보면 상위기업인 1~50대 기업과 기업 수가 절대 다 수인 101위 이하 기업은 꾸준히 자산증가를 보이면서 전체 자산증가를 이끌고 있다.

그러나 51~100대 기업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최근 소폭 상승하는 모습이다.

<그림 33> 매출액 순위별(1~50대, 51~100대, 기타) 자산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1-50대 기업 51-100대 기업 101위 이하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34> 매출액 순위별(1~50대, 51~100대, 기타) 자산비중 추이

102030405060

1995 2000 2005 2010

year 1-50대 기업

51-100대 기업 101위 이하

Source: KISVALUE Database

기업군을 소속 시장별로 외감법인, 코스피 상장기업, 코스닥 상장기업으로 나누어 자산증가 추이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업군별 자산 증가추이를 보면, 2006년 이후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던 비상장외감법인이 코스피 상장기업의 자산규모를 추월하여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코스피 상장기업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7년 이후 코스피 상 장기업의 자산비중이 비상장외감법인의 자산비중과 역전되었으나 2009년 다시 코 스피의 비중이 앞서고 있다. 코스닥 상장기업의 자산규모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그 비중 역시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

<그림 35> 소속 시장별(외감, 상장, 코스닥 상장) 자산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비상장외감법인 코스피상장기업 코스닥 상장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36> 소속 시장별(외감, 상장, 코스닥 상장) 자산비중 추이

020406080

1995 2000 2005 2010

year 비상장외감법인

코스피상장기업 코스닥 상장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다음으로 기업군을 산업별로 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군으로 나누어 기업군별 자 산증가 추이와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업군별 자산증가 추이를 보면 제2차 산업과 제3차 산업의 꾸준한 자산증가가 전체 자산증가를 이끌고 있다. 제1차 산업의 자산규모는 답보상태에 있다. 그에 따 라 기업군별 자산비중도 변하고 있는데, 제2차 산업과 제3차 산업의 비중이 증가하 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제2차 산업인 제조업의 비중이 보다 빨리 증가하고 있다.

<그림 37> 산업별(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 자산추이

05000100001500020000

1995 2000 2005 2010

year 전체외감법인

1 제 차 산업

2 제 차 산업

3 제 차 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그림 38> 산업별(제1차, 제2차, 제3차 산업) 자산비중 추이

01020304050

1995 2000 2005 2010

year 1

제 차 산업 2 제 차 산업

3 제 차 산업

Source: KISVALUE Database

(2) 일자리 창출

1) 종업원 수 증가

기업의 성장 여부는 종업원 수의 증가 여부로 살펴볼 수도 있다. 종업원 수의 증 가, 즉 일자리 창출이 어떤 산업군에서 활발하게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기 업군을 기업규모별로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나누어 고용추이와 기업군별 비중변화를 살펴보았다.

외감법인 전체 고용은 1998년 경제위기 이후 꾸준히 큰 폭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기업군별로 볼 때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모두 2008년까지는 꾸준한 고용증가 를 보여 주었으나 2009년에는 대기업의 고용증가만 있을 뿐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고용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기업군별 고용비중 추이변화를 보면 과거 60%에 가깝던 대기업의 고용비중이 외 환위기 이후 수년간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2000년대 초반부터 40% 정도의 수준을

문서에서 한국 기업의 성장과 성과 -2010- (페이지 4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