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성과

문서에서 한국의 사회지표 (페이지 36-40)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2018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67.7%로 전년보다 1.5%p 상승함

□ 고등교육기관* 졸업자의 취업률은

’18

67.7%

로 전년보다

1.5%p

상승 했으며

, 2

년 전인

’16

년 취업률과는 동일한 수준을 보임

* 대학, 전문대학, 산업대학, 기술대학, 각종학교(전문대·대학 과정), 방송통신대학 등

ㅇ 남자의 취업률은

69.6%

,

여자

(66.0%)

에 비해 높게 나타남

ㅇ 계열별 취업률은 의약계열

(83.3%),

공학계열

(71.7%),

자연

·

사회

·

예체능

계열

(64.2%),

교육계열

(64.1%),

인문계열

(57.1%)

순임

< 성 및 계열별 고등교육기관 취업률(2018) >

69.6

59.3 66.0

55.4

72.8 67.5

82.9 66.0 67.7

56.0 62.8 66.5 66.9

61.3

83.4

62.5 67.7

57.1 64.2 64.1 71.7

64.2

83.3

64.2

0.0 20.0 40.0 60.0 80.0 100.0

전체 인문 사회 교육 공학 자연 의약 예체능

남자 여자 전체

(%)

자료: 한국교육개발원,「고등교육기관졸업자취업통계」

<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1)2)

>

전체 인문 사회 교육 공학 자연 의약 예체능

2013

67.4 57.9 63.9 67.9 74.9 63.8 80.8 59.6

2014

67.0 57.3 63.9 68.6 73.1 63.6 80.8 59.6

2015

67.5 57.6 64.3 68.6 72.8 63.9 82.2 61.9

2016

67.7 57.6 64.7 66.8 71.6 64.0 83.4 63.6

2017

66.2 56.0 62.6 63.7 70.1 62.5 82.8 63.0

2018

67.7 57.1 64.2 64.1 71.7 64.2 83.3 64.2

남자

69.6 59.3 66.0 55.4 72.8 67.5 82.9 67.7

여자

66.0 56.0 62.8 66.5 66.9 61.3 83.4 62.5

(단위: %)

자료: 한국교육개발원, 「고등교육기관졸업자취업통계」

주: 1) 취업률 = 취업자 ÷ {졸업자 - (진학자 + 입대자 + 취업불가능자 + 외국인유학생 + 제외인정자)} × 100 2) 취업자 =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 교내취업자 + 교내취업자 TLO + 해외취업자 + 농림어업종사자 +

개인창작활동종사자 + 1인 창(사)업자 + 프리랜서

학업성취도

PISA 2018 결과 우리나라 15세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세계 상위 수준으로 모든 영역에서 OECD 평균을 상회함

PISA

*

2018

에서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37

개국 중 읽기

2~7

,

수학

1~4

,

과학

3~5

위로 세계 상위 수준을 유지함

*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OECD 주관 국제학업성취도평가

ㅇ 우리나라는

’15

년 결과보다 읽기 및 과학 분야의 순위가 소폭 상승함

ㅇ 우리나라 학생의 영역별 평균점수는 읽기

514

,

수학

526

,

과학

519

으로

OECD

평균점수보다 각각

27

, 37

, 30

점 높음

< 영역별 학업성취도(2018) >

읽기 수학 과학

487 503 504 504 505 506 506 512

514 518

520 520 523

460 480 500 520 540 OECD 평균

호주 일본 영국 미국 뉴질랜드 스웨덴 폴란드 대한민국 아일랜드 핀란드 캐나다 에스토니아

(점)

대한민국

489 502

507 508 509 509 512

515 516 519

523 526 527

460 480 500 520 540 OECD 평균

스웨덴 핀란드 벨기에 슬로베니아 덴마크 캐나다 스위스 폴란드 네덜란드 에스토니아 대한민국 일본 대한민국

(점)

489 503 503 503 505

507 508 511

518 519 522

529 530

460 480 500 520 540 OECD 평균

호주 독일 네덜란드 영국 슬로베니아 뉴질랜드 폴란드 캐나다 대한민국 핀란드 일본 에스토니아

(점)

대한민국

자료: OECD,「PISA 2018」

< 학업성취도

1)

>

읽기 수학 과학

순위

2)

평균점수 순위

2)

평균점수 순위

2)

평균점수

2003 2 534 2 542 3 538

2006

3)

1 556 1~2 547 5~9 522

2009 1~2 539 1~2 546 2~4 538

2012 1~2 536 1 554 2~4 538

2015 3~8 517 1~4 524 5~8 516

2018 2~7 514 1~4 526 3~5 519

(단위: 위, 점)

자료: OECD,「PISA 2018」, 15세 학생 대상 주: 1)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함

2) OECD 국가 중 우리나라 순위

3) PISA는 2006년부터 국가 순위를 범위로 발표

IMD 교육경쟁력 국제순위

2019년 우리나라의 IMD 교육경쟁력 국제순위는 30위로 전년 대비 하락함

’19

년 우리나라의

IMD

교육경쟁력 국제순위는

63

개국 중 전년 대비

5

순위 하락한

30

위를 기록함

ㅇ 슬로베니아

,

라트비아

,

독일 등 국가가

’19

년 우리나라 순위를 추월함

ㅇ 정량지표에서는 전반적으로 경쟁력 순위가 상승하였으나

,

각종 사회 요구의

부합 정도를 측정하는 정성지표에서 경쟁력 순위가 하락함

< IMD 교육경쟁력 국제 순위(2019)

1)

>

순위 국가명 순위 국가명 순위 국가명 순위 국가명

1

덴마크(1)

9

스위스(8)

17

슬로베니아(26)

25

아일랜드(20)

2

싱가포르(2)

10

노르웨이(6)

18

룩셈부르크(23)

26

카자흐스탄(29)

3

핀란드(3)

11

캐나다(4)

19

라트비아(27)

27

영국(16)

4

사이프러스(5)

12

네덜란드(11)

20

대만(19)

28

포르투갈(22)

5

벨기에(9)

13

오스트리아(12)

21

미국(21)

29

독일(32)

6

호주(7)

14

이스라엘(14)

22

에스토니아(17)

30

대한민국(25)

7

스웨덴(10)

15

뉴질랜드(15)

23

리투아니아(28)

31

폴란드(31)

8

아이슬란드(13)

16

홍콩(18)

24

프랑스(24)

32

일본(30)

자료: IMD「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주: 1) 국가명의 ( )내 숫자는 전년 순위임

< IMD 교육경쟁력 세부지표 순위 및 점수 >

교육경쟁력 세부지표 단위 2016 2017 2018 2019

1)

교육분야 우리나라 순위/참가국 수 위 33/61 37/63 25/63 30/63

정량지표

GDP 대비 교육관련 공공지출(전체 교육단계) % 30(4.9) 26(5.1) 27(5.1) 22(5.0) 학생 1인당 교육관련 공공지출(정부, 중등교육단계) % 20(23.4) 18(23.8) 4(28.3) 3(28.5) 초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명 43(17.31) 40(16.86) 39(16.79) 36(16.47) 중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 수 명 48(16.18) 50(15.46) 48(14.79) 46(14.16)

중등학교 취학률 % 10(98.1) 16(96.2) 10(96.6) 11(97.4)

25-34세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율 % 2(67.7) 2(69.0) 3(70.0) 3(69.8) 25-65세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

2)

% 50(50.5) 50(50.5) 19(43.4) 20(44.4)

학업성취도(PISA) 점 4 9 9 9

인구 천 명당 고등교육 외국인 유학생 수 명 38(1.18) 44(1.10) 46(1.07) 45(1.21)

15세 이상 문맹률

3)

% - - -

-정성지표

초등 및 중등교육(경쟁사회 요구에 부합 정도)

4)

점 - - - 47(4.74)

대학교육(경쟁사회 요구에 부합 정도) 점 55(4.21) 53(4.45) 49(4.84) 55(4.38) 경영교육(산업계 요구에 부합 정도) 점 52(4.74) 54(4.62) 47(5.14) 51(5.04) 언어능력(기업 요구에 부합 정도) 점 33(5.88) 42(5.17) 33(6.00) 44(5.65) 교육제도(경쟁사회 요구에 부합 정도)

5)

점 38(4.99) 42(4.77) 38(5.16) -과학교육(학교에서 과학교육의 강조 정도)

5)

점 33(5.35) 35(5.23) 31(5.63) -자료: IMD「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주: 1) ( )안은 지표 값임

2) 2018년 ‘고등교육 졸업자 중 여성 비율(%)’ 지표가 ‘25-65세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율’로 변경되어 시계열 비교 불가능함

3) 문화체육관광부(국립국어원) ‘국민의 기초문해력 조사’ 통계작성 중지에 따라 2015년부터 IMD 미제출 4) 2019년부터 추가됨

5) 2019년부터 삭제됨

Ⅴ. 노동·여가

13. 경제활동

고용과 실업

2019년 고용률은 60.9%로 전년 대비 0.2%p 상승, 실업률은 3.8%로 전년과 동일함

(

고용률

) ’19

년 고용률은

60.9%

로 전년보다

0.2%p, ’10

년 대비

2.0%p

상승함

’19

년 남녀간 고용률 격차는

19.1%p

’12

년 이후 줄어드는 추세임

(

실업률

) ’19

년 실업률은

3.8%

로 전년과 동일함

< 고용률 > < 실업률 >

58.9 59.8 60.6 60.8 60.7 60.9

70.3 71.1 71.2 71.2 70.8 70.7

47.9 48.9 50.3 50.8 50.9 51.6

40.0 50.0 60.0 70.0 80.0

2010 2013 2016 2017 2018 2019

전체 남자 여자

(%)

3.7 3.8

4.0 3.9

3.3

3.6

2.5 3.0 3.5 4.0 4.5

2010 2013 2016 2017 2018 2019

전체 남자 여자

(%)

자료: 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

< 고용률 및 실업률 >

고용률 실업률

전체 남자 여자 차이(남-여) 전체 남자 여자 차이(남-여)

2010 58.9 70.3 47.9 22.4 3.7 4.0 3.3 0.7

2011 59.3 70.7 48.3 22.4 3.4 3.6 3.1 0.5

2012 59.6 71.1 48.6 22.5 3.2 3.4 3.0 0.4

2013 59.8 71.1 48.9 22.2 3.1 3.3 2.8 0.5

2014 60.5 71.7 49.7 22.0 3.5 3.5 3.5 0.0

2015 60.5 71.4 50.1 21.3 3.6 3.6 3.5 0.1

2016 60.6 71.2 50.3 20.9 3.7 3.8 3.6 0.2

2017 60.8 71.2 50.8 20.4 3.7 3.8 3.5 0.3

2018 60.7 70.8 50.9 19.9 3.8 3.9 3.7 0.2

2019 60.9 70.7 51.6 19.1 3.8 3.9 3.6 0.3

(단위: %, %p)

자료: 통계청,「경제활동인구조사」

주: 1) 고용률 = (취업자수 ÷ 15세 이상 인구) × 100

2) 실업률 = (실업자수 ÷ 경제활동인구) × 100

문서에서 한국의 사회지표 (페이지 36-4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