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곤충산업 현황 및 주체별 실태

2.1. 곤충관련 주체의 지역별 비중 및 매출 규모

농촌진흥청은 2006년, 2012년, 2015년에 곤충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하였 다. 결과, 곤충 관련 생산·유통·소비 주체의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한 가운데 영남권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림 2-1. 지역별 곤충 관련 주체의 변화

자료: 농촌진흥청(2006, 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수도권이 감소하는 것은 지속적 지가(임대료) 상승이 경영비 부담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며, 지역축제에 대한 지자체의 의지가 비교적 높은 영·호남권은 지속적으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11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곤충 관련 통계가 없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이 2006, 2012, 2015년에 걸쳐 발표한 󰡔곤충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기준으 로 비교·분석하였음.

표 2-3. 곤충 생산·유통 주체의 투자 및 매출규모(2015)

단위: 천만 원

주: 평균 투자액 및 매출액은 각 범위의 중간값을 빈도로 가중치하여 환산하였음.

자료: 농촌진흥청(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2015년 곤충 관련 각 주체들의 평균 투자비용은 3,300만 원, 매출액은

3,900만 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단순히 매출액 대비 투자비용을 고려한 소

득률은 15.6% 불과해 과수류(60%), 채소류(64%), 수도작(58%) 등의 소득 율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2.2. 곤충산업 주체별 실태

2.2.1. 곤충 생산농가 및 업체

곤충 생산농가 및 업체의 용도별 비중은 학습·애완용곤충 사육농가(업 체) 비중이 감소한 반면, 사료용, 식용, 환경정화용곤충 사육농가(업체)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금액 투자비용 매출액

빈도(건) 비중(%) 빈도(건) 비중(%)

~0.99 352 62.1 331 60.1

1.0~2.9 110 19.4 91 16.5

3.0~5.9 44 7.8 48 8.7

6.0~9.9 23 4.1 31 5.6

10.0~29.9 23 4.1 33 6.0

30.0~ 15 2.6 17 3.1

평균 투자액 및 매출액 3.3 3.9

그림 2-2. 곤충 생산농가(업체) 용도별 비중 변화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2012년 대비 부지규모는 50평 미만이 크게 감소한 반면 100~1,000평 사 이는 증가하였으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부지규모는 100~200평 수 준이다. 과거보다 다소 규모화가 진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3. 곤충 생산농가(업체)의 부지 규모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곤충사업의 경영형태는 농가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다음 이 업체형, 단체형(법인 및 작목반) 순이다. 그러나 경영형태의 비중은 변 동이 있었다. 농가형 경영형태 비중은 2012년 61.2%에서 2015년 48.4%로

12.8%p 감소한 반면 업체형은 동기간 13.8%에서 32.5%로 증가하여 곤충

2012 61.2 13.8 13.4 11.6 100.0

2015 48.4 32.5 14.7 4.4 100.0

증감p △12.8 18.7 1.3 △7.2

곤충 생산농가(업체)의 연간 매출액 분포는 대부분 3,000만 원 미만인 가운데, 1,000만 원 미만의 매출규모는 과거(2012) 대비 감소한 반면, 1,000만~

3,000만 원 수준의 매출은 증가하였다. 또한 1억 원 이상의 매출 비중도 과

거에 비해 늘어나 전체적으로 규모화되어 가고 있어 곤충 매출 상황은 호 전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2-4. 곤충 생산농가(업체)의 매출액 분포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표 2-6. 곤충 생산농가(업체)의 판매처(2015년)

자료: 농촌진흥청(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용도 직거래 곤충

판매상

유치원,

학교 생태원 기업,

대학교 기타

천적 30.8 23.1 7.7 7.7 15.4 15.4 100.0

화분매개 53.3 33.3 0.0 0.0 0.0 13.3 100.0

학습 34.6 23.6 21.9 7.6 5.5 6.8 100.0

애완 41.7 21.5 21.1 6.1 4.9 4.9 100.0

식용 35.1 26.3 19.3 7.0 7.0 5.3 100.0

약용 0.6 38.5 27.2 6.4 8.0 19.2 100.0

사료용 31.7 24.4 17.1 4.9 7.3 14.6 100.0

환경정화 50.0 0.0 0.0 0.0 0.0 50.0 100.0

행사 30.8 21.4 26.5 11.1 6.8 3.4 100.0

기타 33.3 16.7 33.3 0.0 0.0 16.7 100.0

전체 41.7 22.7 16.9 5.8 4.3 8.6 100.0

곤충 생산농가(업체)의 곤충 판매처는 직거래 비중이 41.7%로 가장 높 으며 곤충판매상(22.7%), 유치원, 학교(16.9%) 순이다. 화분매개곤충은 시 설 및 과수 농가에 직접 공급하면서 기술지도까지 하기 때문에 직거래 비 중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학습·애완 곤충은 직거래 및 곤충 판매상의 비 율도 높으나 유치원, 학교 등 교육기관에 직접 공급하기도 한다. 따라서 곤 충산업의 유통망은 매우 다양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2.2.2. 곤충 유통업체

곤충 유통업체의 용도별 취급 비중은 학습·애완용이 85% 내외로 압도적 으로 많다. 사료용, 환경정화용, 화분매개곤충의 취급 비중은 감소한 반면, 식용곤충의 비중이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곤충의 한시적인 식품원료 인정 과 최근 식용곤충의 사회적 관심 증가가 원인으로 파악된다.

그림 2-5. 곤충 유통업체의 용도별 취급 비중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2015년 곤충유통업체의 용도별 곤충의 취급 및 매출액 비중을 비교하면 학습·애완 곤충의 취급 비중이 86%로 크게 높은데 반해 매출액은 전체의 62%로 낮은 편이다.

식용곤충의 경우 취급 비중은 9%로 낮으나 전체 매출액 비중은 21%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애완곤충은 소량, 소액으로 거래되기 때문이며, 식용 곤충은 유통·가공업체 등에 납품하기 때문에 매출액 비중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화분매개 및 천적곤충은 시설농가에게 공급하는 것으로 공급단가가 높아 매출액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은 지역의 6차산업과 연계될 때 활성화될 수 있다.

표 2-7. 곤충 유통업체의 용도별 취급 비중 및 매출액 비중(2015)

단위: %

자료: 농촌진흥청(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2.2.3.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과 경남지역 두 대도시 인근지역이 감소한 반면 관광과 연계된 강원, 경북 지역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2-6.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의 지역별 분포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구분 학습

애완 사료용 식용 환경

정화

화분

매개 천적

취급 비중 85.7 3.2 8.9 0.5 1.7 0.0 100.0 매출액 비중 61.5 8.2 20.8 4.5 3.6 1.4 100.0

나머지 지역은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잠사곤충사업장, 예천 곤충연구소 등이 위치한 경북의 개소 수의 증가가 뚜렷하다.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 경영형태는 농가형과 단체형이 감소한 반면, 업체형태는 증가하여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이 과거에 비해 보다 전문 화되고 규모화되어가고 있다.

그림 2-7.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의 경영형태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그림 2-8.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의 주업 여부

자료: 농촌진흥청(2012, 2015). 󰡔곤충산업 실태조사󰡕.

곤충 생태원 및 체험학습장의 주업 여부 역시 과거 부업개념에서 점차

이 감소하였다. 최근 SNS 발달 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로 웹상의

2012 40.2 30.4 20.5 8.9 100.0

2015 35.1 22.7 27.8 14.4 100.0

표 2-11. 곤충 수출입 현황

생태원과 체험장을 방문하는 관람객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도 시근교의 체험장 수는 감소하고, 지역의 6차산업과 연계될 수 있는 강원, 경북 등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지역의 관광지를 방문하던 관광객이 곤충 체험장 및 학습장을 경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에서 경쟁력이 있는 곤충은 천적곤충으로 정부의 연구개발 투 자 및 보급 활성화에 지원이 필요하다. 한때 천적곤충에 대한 활용 및 개 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는 수출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 부의 지원이 중단되면서 천적곤충 생산 및 보급업체가 도산되고 이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수출길이 막히고 국내 천적 생산·공급에 도 차질을 빚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