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 개발

문헌 고찰과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해 실험군에게 제공될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그림 4) 와 같다.

국·내외 문헌고찰

· 청소년의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중재 연구 분석

·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 대상의 중재연구 분석

중재프로그램 초안 개발

·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에 포함될 내용 초안 작성 (중재 프로그램에 사용될 책자 및 동영상 DVD 개발)

전문가 집단 타당도 확인

· 전문가 집단 대상의 내용타당도 평가지수 (Content Validity Index: CVI) 값 분석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 확인

가상 구현 · 중재프로그램의 가상 구현으로 프로그램 초안의 적용 가능성 확인

중재프로그램 수정·보완 및 최종안 개발

·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 최종안 개발

그림 4.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 개발 절차

4.2.1 국내외 문헌고찰

본 연구에서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척추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계획된 행위 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첫째, 청소년의 지속적인 신체활동 도모를 위한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선행문헌을 분석하였고 둘째, 특발성 척추측만 증 청소년 대상의 중재프로그램 개발 선행문헌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 문헌의 검색은 Pubmed, Cochrane Library 및 CINAHL을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국내 문헌은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 KoreaMed 및 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문헌의 선택 기준은 동료 심사를 거쳐 게재된 문헌 가운데 중재연구 및 메타분석연구와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었고, 문헌의 선정 기준은 한국어와 영어 문헌, 연구 대상자가 13∼18세 청소년인 문헌이었으며, 제외기 준은 동물실험, 수술요법 및 치료기기 개발 문헌이었다.

첫째,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척추 건강 행위의 지속적인 실천 도모를 위해, 청소년의 목표 지향적인 행위 실천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임상에서 실증적 지지를 받고 있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청소년의 지속적인 신체활동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된 중재연구 분석을 위하여 청소년(adolescent), 계획된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운동(exercise), 중재(intervention) 및 간호중재(nursing intervention)를 검색어로 문헌을 검색하여 최종 선택된 4편의 문헌 을 분석하였다.

둘째,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척추만곡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중재프로그램의 전략 및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자세(posture), 자세관리(posture management),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운동(exercise)을 검색어로 문헌을 검색하여 최종 선택된 1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4.2.2 중재프로그램 초안 개발

계획된 행위이론과 문헌고찰의 결과를 기반으로 개발될 중재프로그램의 목표와 하 위목표를 정하고 각 하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재내용, 중재활동, 중재전략 및 시기 등을 결정하여 중재프로그램의 초안 목록을 작성하였다.

4.2.3 전문가 집단 타당도 확인

중재프로그램의 내용평가를 위하여 자세관리 행위결정요인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초안은 간호학과 교수 3인, 보건교사 2인에게, 자세관리 동작 초안은 정형외과 의사 1 인, 물리치료학과 교수 2인, 간호학과 교수 2인에게 각각 책자와 동영상을 제공하여 항목별 내용타당도 평가를 의뢰하였고, 평가 질문지에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의 기 타 제언을 적도록 하여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추가로 수렴하였다.

4.2.4 가상 구현

중재 프로그램 적용에 걸리는 시간이나 동영상 상영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기술적 문제, 프로그램 운영상의 용이성 및 프로그램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1, 2회기 에 속하는 중재프로그램의 진행을 가상으로 구현하였다.

4.2.5 중재프로그램 수정·보완 및 최종안 개발

전문가 집단 타당도 결과와 제언 및 중재프로그램 가상 구현 결과를 기반으로 중재 내용의 전달 시기, 개발될 책자의 언어적 표현, 동영상 DVD에 포함될 자세관리 동작 및 전체 프로그램의 시간 계획 등을 수정·보완하여 중재프로그램의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4.3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 효과 평가

4.3.1 연구 대상자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지리적으로 접근해 있고, 중소도시로서의 지역적 특성이 유사한 W시와 J시에 소재한 중학교 가운데,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학교장과 보건교사에게 설명하고 연구의 진행을 허락하는 7개 중학교(W시 5개 중학교, J시 2개 중학교)의 보건교사를 통해 학생 건강검진 결과를 확보한 후, 척추측만증을 진단 받은 여자 중학생들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여 각 학교별로 점심시간에 해당 학생들을 보건실 에 모이게 한 후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기간 등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 로 동의하는 학생에게만 연구 설명문과 연구 동의서를 배부하였다.

연구 동의서는 학생과 부모가 모두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자필로 서명을 한 후에 각 학교의 보건교사에게 제출하도록 하였고, 연구 동의서를 제출한 학생에 한하여 연 구 대상자 선별검사를 위해 각 시에 지정된 1개의 정형외과 병원에서 흉요추 기립 전 후방 단순 X-ray를 촬영하도록 하여 X-ray 결과에서 Cobb's 각도가 10° 이상, 20°

이하에 속하는 학생들만 연구에 포함시켰다.

총 75명의 학생이 연구 대상자 선별검사를 받았으나 대상자 선별검사에서 Cobb's 각도가 10° 미만으로 척추측만증을 진단할 수 없는 23명과 Cobb's 각도가 20°를 초과 하여 재활치료 및 보조기 착용 등의 전문의의 검진 및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8명을 제외하고 선별된 44명만이 연구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44명 가운데, 실험군은 W시에 위치한 3개 중학교에 서 각 학교별로 1차 실험에 12명, 2차 실험에 12명, 3차 실험에 4명 총 28명이 편의 추출되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프로그램에 4회 이상 결석(결석률이 20% 이상)한 6명 과 2차 X-ray 측정을 거부한 2명, 총 8명이 탈락하여 최종 20명만이 자료분석에 사용 되었다. 실험군 대상자의 탈락 이유는 ‘하교 후 학원시간 때문에’라고 응답하였다.

대조군은 W시의 2개 중학교에서 8명과 J시의 2개 중학교에서 8명 총 16명이 편의

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따라서 최종 연구결과 분석에 사용된 연구 대상자의 수는 총 35명으로, 표본크기 산출 프로그램인 G-power 3.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 시간의 경 과에 따른 중재의 효과 평가를 위한 Repeated measure ANOVA, within factors에서 유의수준=0.05, 검정력=0.80∼0.95, 중간 유효크기=0.25, 집단 수=2, 측정 횟수=3, 측정 변수간 상관관계=0.5로 설정했을 때 산출되는 각 군당 14∼22명을 충족시켰다.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①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② 흉요추 기립 전후방 단순 X-ray검사 상 Cobb's 각이 10° 이상 혹은 20° 이하인 자

③ 현재 특발성 척추측만증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자

④ 특발성 척추측만증 이외의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자

⑤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청소년과 보호자의 연구동의가 있는 자

연구대상자 모집 과정을 도식화한 흐름도는 (그림 7)과 같다.

대상자 선별검사 총 75명

대상자 선정기준 부적합자 Cobb's<10° = 23명 Cobb's>20° = 8명

대상자 선정기준 적합자 총 44명

실 험 군 28명 대 조 군 16명

W시 3개 중학교 W시 2개 중학교

J시 2개 중학교

8명 탈락 1명 탈락

6명 (4회 이상 결석)

2명 (2차 X-ray 측정거부) 1명 (2차 X-ray 측정거부)

총 20명 총 15명

그림 5. 연구 대상자 모집 과정 흐름도

4.3.2 연구의 윤리적 고려

연구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기 위하여 Y 대학교 간호대학의 연구윤리심사위원회 로부터 연구 진행 승인을 받은 후(IRB 승인번호: IRB 2011-1013)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학교장과 보건교사의 협조 하에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 적과 방법, 그리고 응답한 자료는 연구에만 쓰일 것과 연구 참여는 언제든지 거부할 수 있으며 수집된 자료는 익명성이 보장됨을 설명한 후 동의서를 배부하여 청소년과 보호자가 동시에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약을 한 대상자에 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록 1).

연구 대상자 선별 과정에서 연구 참여에 동의하나 흉요추 기립 전후방 단순 X-ray 결과 상 (1) Cobb's 각 10° 미만으로 특발성 척추측만증 진단(Hockenberry & Wilson, 2007)에 부합하지 않는 대상자에게는 척추측만증 진단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질환의 변화 상태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함을 교육한 후 연구 대상자에서 제외시켰다.

(2) Cobb's 각 20° 이상으로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중증도 분류상 중등증 이상에 속하 는 대상자에게는 진단 기준에 따라 재활치료 및 보조기 착용 등의 의학적 치료가 필 요함을 청소년과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전문의를 방문하도록 권장하였다.

연구 도중에 탈락하여 충분한 중재를 제공받지 못한 청소년을 위하여 해당 청소년 과 보호자에게 지속적인 자세관리 행위 실천의 필요성과 척추건강 상태에 대한 관찰 의 중요성을 전화로 구두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 선별과정에서 제외되었거나 실험에서 탈락한 청소년의 질환 관련 특성에 대한 정보는 각 학교의 보건교사에게 서 면보고와 전화로 구두 보고하였으며 척추건강 상태에 대한 계속 관찰을 요청하였다.

특히, 대조군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 대조군은 연구 종료 후에 실험군 에 제공된 중재와 동일한 중재를 제공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사전 및 사후조사 시에 발생되는 외래 진료비와 방사선 촬영 비용을 연구자가 지불하여 연구 대상자의 비용 지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