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척추건강 증진을 위해 질환 청소년의 지속 적인 자세관리 행위의 이행을 도모하고자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한 자세관리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은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자세관리 행위의 지속적인 이행을 도모하고자 자세관리 행위결정요인의 강화와 자세관리 동작 의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구성된 중재프로그램으로 보건교사가 효율적으로 사용하도 록 개발되었다.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 자세관리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자세관리 행위결정요인 효 과, 자세관리 행위 효과, 자세관리 신체특성 효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효과를 규명 하기 위해 단절적 시계열 비교집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로 시행되었다. 중재 기간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6월까지이며, 연구 대상은 W시와 J시에 소재하고 있는 7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경증 특발성 척추측만증 여자 청소년으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15명, 총 35명이었다. 실험군에는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을 6주 동 안 제공하고, 대조군에는 자세관리 동작 사진을 서면으로 제공하였으며, 중재프로그램 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자세관리 행위결정요인효과(자세관리행위에 대한 태도·주 관적 규범·지각된 행위통제·행위의도), 자세관리 행위효과(자세관리 행위 실천빈도) 및 자세관리 신체특성 효과(유연성, 근력, Cobb's 각도)로 각각 평가되었다. 자료 수집은 중재 전, 중재 직후 및 중재 2주후에 각각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PASW/WIN 18.0을 이용하여 χ2-test, Repeated measure ANOVA 및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 자세관리프로그램의 개발은 국내외 문헌고찰, 중재프로그 램 초안 개발, 전문가 집단 타당도 확인, 중재프로그램 가상 구현, 수정·보완 및 최종 안 구성의 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2.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 자세관리프로그램의 효과 평가는 다음의 연구가설 검증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세관리 행위결정요인 효과

① 연구가설 1: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세관리행위에 대한 태도가 증가할 것이다.”는 반복측정변량 분석결과 집단(F=4.65, p=0.038), 시간 의 경과(F=12.51, p<0.001),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F=11.56, p<0.001)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② 연구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세관리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증가할 것이다.”는 반복측정변량 분석결과 시간의 경과는 유 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3.75, p=0.029), 집단(F=2.11, p=0.155),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F=2.47, p=0.092) 유의한 차이가 없어 연구가설이 기각 되었다.

③ 연구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세관리행위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가 증가할 것이다.”는 반복측정변량 분석결과 집단(F=4.48, p=0.042), 시간의 경과(F=7.50, p=0.001),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 (F=8.07, p=0.001) 유의한 차이가 있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④ 연구가설 4: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세관리 행위의도가 증가할 것이다”는 반복측정변량 분석결과 집단(F=5.20, p=0.008), 시간의 경과 (F=5.20, p=0.008),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F=6.73, p=0.001) 유의 한 차이가 있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2) 자세관리 행위 효과

⑤ 연구가설 5: “실험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세관리 행위의 실천빈도가 증가 할 것이다.”는 실험군의 주별 자세관리 행위 실천빈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여(F=2.24, p=0.035)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3) 자세관리 신체특성 효과

⑥ 연구가설 6: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 다.” 는 반복측정변량 분석결과 집단(F=5.64, p=0.023), 시간의 경과(F=11.28, p<0.00),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에(F=16.56, p<0.001) 유의한 차이 가 있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⑦ 연구가설 7: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근력이 증가할 것이 다.”는 반복측정변량 분석결과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F=0.85, p=0.362), 시간의 경과(F=25.89, p<0.001), 집단과 시간의 경과 간의 교호작용 에서(F=24.24, p<0.001) 유의한 차이가 있어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⑧ 연구가설 8: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Cobb's 각도의 감소량이 클 것이다.”는 중 재 전과 중재 2주후의 Cobb's 각도의 차이 값을 집단 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어(t=-5.65, p<0.001)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 세관리프로그램은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자세관리 행위결정요인 효과와 자세 관리 행위 효과 및 신체특성 효과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 로 청소년기의 특성이 반영된 계획된 행위이론 기반의 자세관리프로그램을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의 척추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