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지역 교과서 개발에 따른 준비, 집필, 검토 과정 및 편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지역 교과서 편찬에 같이 참여하는 집필자 선정과 편집자의 팀워크, 그리고 학생들을 위한 무엇인가 보람된 일을 한 번 해야겠다는 집필진의 마음가짐이 질 좋은 지역 교과 서를 편찬하는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또 그런 일을 잘 하려면 관계 기관에서 충 분한 예산 지원과 기술적 지원 아래 사전에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필요한 것을 충분 히 지원하여 필요한 내용을 집필진이 마음껏 편찬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이 되어야 한 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은 교육 과정이 분권화, 다양화, 효율화에 따른 교육 과정 운영의 자율 재량권 확대를 통한 지방 교육 관계자의 교육에 대한 책무성과 전문 성 신장을 위해서도 모든 지역 교과서 편찬에 대해 관계 있는 분들의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겠다.

본 논문에서 제6차교육과정은 개정 중점으로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 다양화, 효율 화가 강조되었다. 그리하여 교육부가 전담하던 교육과정 편성권을 지방 자치화 시대에 발 맞춰 각 시․도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 편성 운영 지침을 작성하고, 교과서에 제시 된 내용을 참고로 하여 자기 고장과 관련한 학습을 하도록 교육과정을 지역의 실정에 맞게 구체화하였다.

사회학습에서는 자기가 경험하는 지역의 일을 통하여 학습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 라는 필요성까지 느껴 제주도에서도 지역화 자료인 사회과 탐구 4-1 ‘아름다운 제주도’

를 개발하게 되어 그에 따른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사회과 학습 내용을 분석하고 지역학습 단원 및 제재를 추출하여 지역학습의 내용 요소를 분명히 제시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사회과 지역교과서 개발을 위해서는 반드시 개발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철저한 사전 준비가 있어야 한다.

셋째, 개발의 기본 지침에 따른 절차 및 일정을 체계적․능률적으로 계획하고 인적 조직 및 교육청, 학교, 학급 운영을 고려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역 및 학교 실정에 맞는 학교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으로 체험활동이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사회 교과서 내용 모두가 생활 경험과 가까운 지역 실정에 맞게 구안된 것이 어서 아동들의 학습 동기를 자극하여 학습에 흥미를 높일 수 있었다.

여섯째, 지역학습을 위한 지역교과서 개발은 아동들로 하여금 지역의 현실을 이해하 고 관심을 갖게 한 것뿐만 아니라 우리 지역을 사랑하는 마음과 지역 발전에 기여하려 는 마음이 싹 틀 것이 기대된다.

일곱째,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이 확보되고 교과용 도서 편찬 전문 인력의 양성과 확 충이 계속되고 지속적인 지역교육과정을 연구하게 될 것이다.

여덟째, 교사 자신들도 지역에 관심이 높아지고 학습을 재미있게 전개하려고 노력하 여 지역학습에 적극 참여할 것이다.

지속적이고 고무적인 지역교과서 개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교과서를 개발할 수 있는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학습을 위한 교사들부터 우리 지역을 잘 알기 위하여 교사 연수 및 우리 지역을 바로 알 수 있는 참고 책들이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연구활동이 많아야 한다. 학년 수준에 알맞는 용어 및 어 휘, 문제의 사용 제시와 서술방법, 적절한 지명과 인명의 사용, 사실, 개념, 일반화의 제 시와 구성 방법을 포함하는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 개발 과정과 행정, 교과서의 편집, 인쇄, 발달사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 히 이루어지고, 연구 결과가 나와서 전문가뿐만 아니라 교과서를 사용하는 교사, 학부 모의 관심과 참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다섯째, 교과서를 절대시하는 인식의 변화이다. 그 방법으로는 다종의 교과서 발행, 다양한 학습자료의 제시와 교수․학습 방법의 사용 등이 포함되는데 이들을 교과서와 어떻게 연결시켜 발전시키느냐 하는 것이 과제이다.

여섯째, 교과서 발행, 제작 여건의 개선이다. 현재 초․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는 모두 1종 도서로 단일본만 발행되며, 개발 기간이 1년 정도이고, 연구 개발비용이 선진국에 비해 너무 빈약하다.

일곱째, 교과서 활용 방법의 개선이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과서를 절대시하 여 너무 의존하지 말고 교과서 중심의 암기식 학습에서 탈피하는 일이다. 즉, 교과서만 읽고, 쓰고, 베끼게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러나 교과서를 학생용 교과 도서로서 장기간 많은 연구와 노력 끝에 개발된 것이 니 만큼 그 내용을 철저히 분석하고 효율적인 지도와 활용이 되어야 한다.

※ 참 고 문 헌

강상철(1987), 「지역성을 바탕으로 한 학교교육」, 새교육 5월호.

고용찬(1998), “사회과 지역화 교육과정 수업목표 분석”, 석사학위 논문, 제주대 학교 교육대학원

곽병선,김재복(1989), 국민학교 교육과정 운영론, 배영사.

교육부(1992),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3-1,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1992),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4-1,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1993),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4), 「교육부의 사회과 탐구 교과서 구성방향」(사회과 탐구편찬 연수자 료), 교육부.

(1995), 「사회과 교사용지도서-실험용」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3), 「1종도서 연구개발 추진계획」, 교육부, 연구개발기관회의자료.

(1998), 「교육월보」2월호, 통권 194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교육부(1994), 「사회과 탐구 편찬 연수자료」, 교육부, 사회과 연수자료.

교육부사회과학편수관실(1994), 사회과 교과서의 단원 구성, 1종도서연구개발담당자 연 수자료.

교육학 사전편찬위원회(1975), 「교육학 대사전」, 교육과학사.

구연무(1984),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의 지역화와 그 문제점”, 「사회과교육」제17호, 김만곤(1998), 「교육월보」 2월호(통권 124호), 교육부.

김광호(1997),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 「교육제주」제97호, 제주도교육청, 김만곤(1997),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지역교과서 편찬”, 「제8차 전국향토사연구학술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김양태(1993), “국민학교 사회과 개발 지역단원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경북 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용만(1986),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이론적 배경과 접근법”, 「사회과교육」제 19호.

김인식(1984), “교육과정의 준거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재복외(1989), 「국민학교 교육과정 운영론」, 배영사.

김회목외(1987), 「국민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사.

부산직할시교육청 1종도서연구개발위원회, 사회과 교과서 개발안, 부산직할시교육청, 손웅(1991),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의 실제”, 「사회과교육」 제24호.

시․도1종도서연구개발협의회(1994), 「사회과 교과서의 연구 개발」, 1종도서연구개발 담당자 연수자료.

오성배(1998),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교과서 내용 분석”,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 교 교육대학원

이경섭(1989), “지역화 교육과정 운영”, 「지방화 시대의 학교교육」, 교육과학사.

이용환(1993), “지역화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전남대교육연구」18호, 전남 대연구소.

이해준(1997), “지역 교재편찬 현황과 과제”, 「제8차 전국향토사연구학술심포지엄 자료 집」,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인정옥(1988),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정광중(1997), “초등학교 지역교과서의 각종 자료에 대한 분석”, 「제주교육대학교논 문집」제26집, 제주교육대학교.

정병기외(1995), 「신간 사회과 교육론」, 교육출판사.

제주도교육청(1996),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성신인쇄사.

(1996), 「제주도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 일신옵셋인쇄사.

(1998), 「사회과탐구(4-1) 교사용지도서」 ‘아름다운 제주도’, 성신인쇄사.

최국인(1990), “국민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석진(1990), “학교교육의 지역화 학습”, 「지방자치」제18호.

최석진외(1996), “제6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연구”,「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한승덕(1996), “사회과 지역교과서 편찬의 실제”, 「교육과정 지역화 연구」창간호, 한국지역교과서연구회.

Courtis.S.A., "Curriculum-Construction at Detroit", The twenty-sixty Yearbook of the national saciety for the study for Educational. P.190.

Harap.H., The Technique of Curriculum Marking, New york: The Macmillan Co.,1928.

Hopking.L.T., Curriculum Principles and Practucem New york : Benj. H.

Sanborn&Co., 1929.

Hopkins,L.T., "Curriculum Marking: General",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 o l . 1,No.1.,1931.

Nicholls.A. and A.H.Nicholls, Developing a Curriculum: a Practical Guide 2nd eds, London: George Allen&Unwin,1978.

Oliver.A.I., Curriculum Improvement: A Guide to Problems, Principles, and Procedures, Dodd: Mead&Company, Inc.1965.

Oliver.R,C., Curriculum Improvement: Decision Marking and Process, 3rded.Boston:Allyn and Bacon, Inc.,1974.

Stratemeyer.l.F.B., et.al.,op.cit.

Stratemeyer.F.B., H.L.Forkner,M.G.Mckim&A.H.Passow, Developing a Curriculum for Modern Living, New york: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age, Columbia University, 1957.

Taba.H.,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Harcourt, Brace&World,1962,P.455.

Tyler.R.W.,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1949.

Wheeler.D.K.., Curriculum Process, London: University of London Press,1974.

<Abstract>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 Social Studies Textbook - With an Emphasis on "Beautiful Cheju Province" to be used for the First

Semester of Elementary School 4th Grade

-Yang, Bo-Hyun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Hang-Won

The sixth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focused on the systematic presentation of teaching directions actually needed for teaching Social Studies classes. This thesish, based on training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first-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presented by the of Education Ministry, aims to realize the localization of education procedu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local textbooks, promote the quality of classes and help students to have deeper understanding of local society.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quiry which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particular intends have to be integrative experience centered, having one story, in which each subject has independent contents. In order to comply with this educational aim, this study analyzes various documents and papers for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achieving such an educational goal through subjects connected to one another.

This paper analyzes local units and subjects of Social Studie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developed and used in 15 cites and provinces in order to

This paper analyzes local units and subjects of Social Studies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developed and used in 15 cites and provinces in order to

문서에서 사회과 지역교과서 개발 연구 (페이지 87-11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