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산욕기 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 산부인과 1곳과 산부인과 전문병원 1곳에서 분만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 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44.40점(±10.31), 산후우울은 평균 10.34점 (±4.66)이었으며, 삶의 질은 평균 73.02점(±8.99)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학력(t=-3.06, p=.003)과 경제 상태(t=3.17, p=.002)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전문대졸 이하’집단에 비해 ‘대학교 이상’의 집단이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상태는 ‘중 이상’이라고 응답한 집단이 ‘하’라고 응 답한 집단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 산후우울 및 삶의 질 관계는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 울 간에는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r=.70, p<.001)를,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에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r=-.59, p<.001)를, 산후우울과 삶의 질 간에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r=-.56, p<.001)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모형 1에서 일반적 특성 중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학력과 경제상태를 투입 하 였을 때 회귀 모형은 유의하였으며(F=8.69, p<.001), 삶의 질에 대한 설명력은 11.3%이었다. ‘전문대졸 이하’집단에 비해 ‘대학교 이상’의 집단(β=0.22, p=.010) 이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상태 ‘하’집단에 비해 경제상태 ‘중 이 상’집단(β=0.23, p=.007)이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2에서는 학력 과 경제상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삶의 질에 대한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을 투 입하였을 때 회귀 모형은 유의 하였으며(F=28.55, p<.001), 삶의 질을 46.0% 설 명하였고 1단계에 비해서 34.7%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학력은 ‘전문대졸 이 하’집단에 비해 ‘대학교 이상’집단(β=0.15, p=.019), 경제상태는 ‘하’집단에 비해

‘중 이상‘집단(β=0.20, p=.003), 산후우울(β=-0.19, p=.038)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β=-0.44, p<.001)는 삶의 질에 가장 큰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32 -B.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을 낮출 수 있 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 한다.

2. 양육스트레스와 산후우울 이외에 산욕기 산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3. 본 연구는 초산모와 경산모 모두를 포함하였으나, 추후 연구에서는 초산모와 경산모를 구분한 삶의 질 연구를 제언한다.

4.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 산부인과 1곳과 산부인과 전문병원 1 곳에서 분만한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므로, 다른 지역의 대상자로 확대하여 반복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참 고 문 헌

34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43(1), 11-19.

3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2).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V-T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Beck, C. T. (2002). Theoretical perspective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ir treatment implication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7(5), 282-287.

Choe, M. A., Padilla, G. V., Chae, Y. R., & Kim, S. (2001). The meaning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Korean samp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8, 557-566.

Cox, J. L., Holden, J. M., & Sagovsky, R. (1987).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50, 782-786.

Coyle, S. B.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mothers: A review of the research.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30(6), 484-506 Cutrona, C. E. (1984). Social support and stress in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3(4), 378-390.

Da Costa, D., Drista, M., Rippen, N., Lowensteynl, I., & Khalife, S.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depressed wome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9(2), 95-102.

de Tychey, C., Briançon, S., Lighezzolo, J., Spitz, E., Kabuth, B., de Luigi, V., Messembourg, C., Girvan, F., Rosati, A., Thockler, A., & Vincent, S. (2008). Quality of life, postnatal depression and baby gende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3), 312-322.

Dunbar, G. C., Stoker, M. J., Hodges, T. C. P., & Beaumont, G. (1992). The development of SBQOL-a unique scale for measuring quality of life.

British Journal of Medical Economics, 2, 65-74.

Eberhard-Gran, M., Eskild, A., Tambs, K., Samuelsen, S. O., &

Opjordsmoen, S. (2002). Depression in postpartum and non-postpartum wome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a, 106(6), 426-433.

Hill, P. D., Aldag, J. C., Hekel, B., Riner, G., & Bloomfield, P. (2006).

Maternal postpartum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3), 205-220.

Luoma, I., Tamminen, T., Kaukonen, P., Laippala, P., Puura, K., Salmelin, R.,

& Almqvist, F. (2001). Longitudinal study of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child well-being.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0(12), 1367-1374.

McGovern , P., Dowd, B., Gjerdingen, D., Gross, C. R., Kenney, S., Ukestad, L., McCaffrey, D., & Lundberg, U. (2006). Postpartum health of employed mothers 5 weeks after childbirth. Annals of Family Medicine, 4(2), 159-167.

Reeder, S. J., Martin, L. L., & Koniak-Griffin, D. (1997). Maternity Nursing (18th ed.). New Yor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Symon, A., MacKay, A., & Ruta, D. (2003). Postnatal quality of life: a pilot study using the Mother-Generated Index.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1), 21-29.

Webster, J., Nicholas, C., Velacott, C., Cridland, N., & Fawcett, L. (2011).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llowing childbirth: impact of social support. Midwifery, 27(5), 745-749.

WHOQOL Group (1993).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 Quality of Life Research, 2(2), 153-159.

Zubaran, C. & Foresti, K. (2011). Investigat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ve

38

<부록 2> 설문지

40

문 항 전혀 스트레스를

42

Ⅳ. 일반적 특성

44 -

-Abstract-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Women

Se Ryung Chun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i-Ae You, RN.,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women between 1 to 6 weeks after childbirth.

The participants were 139 healthy postpartum women who deliver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and one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 in Gyeonggi province and re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he routine check-up.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July to October 2016.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includ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score of parenting stress was 44.40, postpartum depression was 10.34 and quality of life was 73.02.

The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partum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were explained 46%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It is concluded that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focus on decreasing parenting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order to improve postpartum women's quality of life.

Key words : Parenting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Postpartum women, Quality of life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