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대사회에서 근로자들의 건강 문제는 사업장의 근로환경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항이다. 이를 통해 사업장의 유해환경 등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금근로자의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 발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적 요인, 직무정신적 요인, 직무여건 요인, 유해환경 요인, 건강인식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분진 노출 빈도가 증가할수록 직업성 피부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분진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직업성 피부문제는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인식되어 연구가 부족하며, 정부의 관심 또한 크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분진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피부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 또한, 피부질환은 심각한 경우 대인기피증, 우울증, 자살 충동까지 이르게 하는 현대적 질환이기도 하며, 피부가 지닌 모든 기능을 가능한 완전하게 유지해서 건강한 피부 상태가 되도록 관리하는 것은 노화에 대한 성공적이고 적극적인 대처과정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리고 직업성 피부질환은 높은 유병률과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고려할 때 차후 직업성 질환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정부 및 산업체는 피부질환이 예방으로서 가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보건학적 가치가 있음에 근거하여, 분진과 같은 작업장 유해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노력과 함께 직업성 피부문제에 대해 전향적이고 실질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 고 문 헌

고용노동부. 1995 년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결과. 1996;88-89.

강진희, 송찬희, 옥선명, 박현정. 미세먼지와 피부. 대한가정의학회지 2014;4:116-121.

고상백, 오성수, 박준호 등. 시멘트 분진에 노출된 지역주민의 건강영향평가.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09;600-600.

김은아, 강충원, 최현정, 이승규. 한국의 직업병 감시체계.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김은아, 전희경, 김은주. 국가별 직업병분류 현황 관련 유형∙기준 콘텐츠 분석.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김치년. 화학물질 노출기준 제·개정 연구(곡물분진).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김형옥, 이준영, 정호근, 안연순. 감시체계를 통하여 보고된 직업성 피부질환의 특성에 관한 연구; 사업장, 특수건강진단기관, 피부과 의사의 보고사례를 중심으로 기술. 예방의학회지 1999;32(2):130-140.

김효철, 오경동. 피부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예방, 치료의 연구 진전.

대한피부미용학회지 2010;9(1):1-9.

노영석. 공기매개접촉피부염. 대한피부과학회지 2008;60(2):64-64.

대한안전교육협회. 분진 및 금속 교육자료. 2013.

변상훈. 유해물질 산업보건 편람(면분진). 한국산업안전공단; 2006.

송상환. 대기 중 극미세먼지로 인한 아토피 아동의 건강영향[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2.

신주연, 홍윤철, 임종한, 박신구, 이지나, 김환철. 볼리비아 로즈목에 의한 다형홍반 양상을 보인 직업성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증례.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04;220-226.

안연순. 최근 문제시 되는 직업성 질환(18) 피부질환(II). 산업보건 2001;115:4-16.

이범식, 조영채, 변정식, 김동현, 원선혜, 김정윤. 모 주물공장 근로자의 작업공정별 분진폭로량, 자각증상 및 건강진단판정 비교. 충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지 1995;13:62-75.

산업안전보건법(개정 2017.4.18, 법률 제 14788 호)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개정 2017.3.3, 고용노동부령 제 182 호)

하권철. 경남지역 지하생활공간 중 석면 및 라돈의 농도 분포 특성.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004;14(3):319-324.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목재 분진 노출 근로자의 보건관리지침. 2013.

Bailis DS, Segall A, Chipperfield JG. Two views of self-rated general health status.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56:203-217.

Cancelliere C, Cassidy JD, Ammendolia C, Côté P. Are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s effective at improving presenteeism in workers? A systematic review and best evidence synthesis of the literature. BMC Public Health 2011;11(1),395.

Park JS, Lee NR. First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 Composition between South Korea and EU. Industrial Health 2009;47:50-54.

Journeay WS, Goldman RH, Occupational handling of nickel nanoparticles: a case report.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2014;57:1073-1076.

Kim YO, Park J, Ryu SY. A Study on the Cervicobrachial Syndrome among the Microwave oven Assemblers(I): A Review on the Symptoms Investigated by the Questionnair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95;7(2):306-319.

Larese FF, Crosera M, Timeus E, et al. Human skin penetration of cobalt nanoparticles through intact anddamaged skin. Toxicol In Vitro 2013;27:121-127.

Lim HS, Jung HK, Kim SK, Kim JR. Health Hazards and Diagnostic Methods of Glass Fibe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99;11(2):181-95.

Larese FF, Bello D, Cherrie JW, Sleeuwenhoek A, Spaan S, Brouwer DH. Occupational dermal exposure to nanoparticles and nano-enabledproducts: Part I-Factors affecting skin absorp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016;219(6):536-544.

Lurie N, Fremont A. Building bridges between medical care and public health.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9;302(1):84-86.

Lushniak BD. The epidemiology of occupational contact dermatitis. Dermatol Clinics 1995;13:671-680.

Lushniak BD. The public health impact of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erica 1997;17:345-358.

Maciejewska A, Wojtczak J, Bielichowska-Cybula G, Domańska A, Dutkiewicz J, Mołocznik A. Biological effect of wood dust. Medycyna Pracy 1993;44(3):277-288.

Morris-Jones R, Robertson SJ, Ross JS, White IR, McFadden JP, Rycroft RJ. Contact Dermatitis and Allergy Dermatitis caused by physical irritants.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02;147(2):270-275.

부 록

[ABSTRACT]

The Association Between Dust Exposure and Occupational Skin Problems

Park Hyeong Gi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 Hong Chun, M.D., Ph.D.)

Purpose

Nevertheless, some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validity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caused by dust exposure, most of the studies on dust exposure were focused on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researchs on skin diseases were very few.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kin problems and the workers exposed to smoke, fume, powder or dust in the working environ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data to investigate

30,751 workers, with adjusted gender, age, education, income, working stress,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protective equipments, working period, weekly working hours, employment type, working place of high temperatures, working place of breathing in vapours, working place of skin contact with chemical products, self rated health. And then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usts and skin problems was tes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usts and skin problems was exam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frequency of exposure to dusts, the ratio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was 1.76 (p<0.05) for the "severe exposure" group,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appealing to the skin problem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dust exposure increased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In the past, policy and research focusing on respiratory diseases have been conducted on dust exposure, bu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ust exposure and occupational skin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 skin problem is a modern disease that causes severe sociophobia,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the skin health care of the workers exposed to the dusts should actively intervene not only at the workers themselves but also at the social level.

Key Word: Dust, Powder, Fume, Skin Problems,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