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토의

문서에서 에 너 지 경 제 연 구 (페이지 31-40)

매 2년마다 수립되고 있는 국가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에너지 다소비 제조 산업 중심의 우리나라 사회·경제·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인 중요 사안이기에 많은 전문가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신정부의 탈원전·

탈석탄·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골자로 한 에너지 정책이 주목을 받으면서 일 반 대중들에게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많은 관련 전문가 들과 함께 비용 효율성, 전력시장 수급 안정성, 온실가스 및 환경오염 물질 배출량 등 다양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국가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의사결 정을 내리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련 전문가 및 단체들이 서로 다른 의견을 내 논란의 중심에 있는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시될 것으로 예상되는 전원구성 계획의 수급 안정성 및 적정 예비율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원자 력 및 석탄 발전의 비중이 대폭 줄어들고 신재생 에너지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새로운 전원구성 계획의 특성을 고려하였다. 그동안 비중이 크지 않 아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던 신재생 에너지의 공급 불확실성이 전력시장의 수급 안정성 및 적정 예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명시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 뮬레이션 기반의 새로운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평가 모형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전력 수요와 전원구성 확장 계획이 모두 ‘제7차 전력수급기본 계획’을 따른다고 하더라도, 신재생 에너지의 공급 불확실성은 계획기간의 후 반부(2024년 이후)에 전력 시장의 수급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급 안정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약 4GW 이상의 수급 안정성에 도움이 되는 발전 설비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필 요함을 분석할 수 있었다. 앞으로 수립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8차 전력수급기 본계획’의 경우를 살펴보면, 하향 조정된 수요 전망으로 인해 평균 예비율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신재생 에너지의 불확실성에 의하여 목 표 공급 신뢰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급 안정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발전 설비용량을 추가로 확보해야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력 시스템의 최신 자료를 활용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신재생 에너지의 공급 불확실성에 대한 타당한 고려 없이 장기 전원구성 계획을 수 립할 경우 우리나라 전력 시장의 수급 안정성에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전력 시장의 수급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추가로 확보해야할 발전 설비용량에 대한 의사결정 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모형의 활용 타당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제안모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계산 효율을 고려하여 4단계의 블록화 된 부하 지속곡선을 이용하였다. 부하지속곡선의 블록을 보다 세밀하게 구성함으로써 우리나라 전력 수요의 특성을 보다 자세하게 반영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가정한 분포를 보다 현실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발전원의 고장정지확률을 독립 이항분포로 가정하였으나, 이항분포 의 독립성을 수정함으로써 발전설비의 이질성을 반영할 수 있다.

접수일(2017년 10월 18일), 게재확정일(2017년 11월 9일)

◎ 참 고 문 헌 ◎

노동석, 조성진, 박찬국, 김종인, 남재현. 2013. 「원자력발전의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문영석, 노동석, 조상민. 2011. 에너지믹스 변화의 비용 추정: 신재생확대 시나리오, 에너지경제연구, 10(2), 169-186

산업통상자원부. 2014. 「제4차 신재생 에너지기본계획」

산업통상자원부. 2015.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에너지경제연구원. 2017. 「신정부 전원구성안 영향 분석」

이상림, 이지웅, 김양수. 2015. 「7차 전력수급 기본계획하에서 배출권거래제가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경제연구원 수시연구보고서

이유수, 정용훈, 김영산. 2012.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한 전원믹스 계획읠 분석, 에너지 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이정인, 한석만, 김발호. 2009.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제도 도입에 따른 국내 장기 전원구성 변화에 관한 연구, 전기학회논문지, 58(3), 467-477

이창훈, 이미숙, 조공장, 조연경, 김지은, 이수철, 김종환. 2013. 「화석연료 대체에너지원의 환경·경제성 평가 I - 원자력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환경정책연구 보고서

전력거래소. 2014. 전력통계정보시스템(http://epsis.kpx.or.kr) 전력거래소. 2016. 「2015년 발전설비현황」

정재우, 민대기. 2012. 불확실성을 고려한 장기 전원 포트폴리오 평가, 한국경영과학회지, 37(3), 135-149

조성진, 박찬국, 노동석, 최봉석, 김양수, 박호정, 김윤경. 2015. 「원자력발전의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 적정 전원믹스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기본연구 보고서

최봉석, 박찬국, 조성진, 노동석, 윤태연, 권오상, 허혜진, 이홍림. 2014. 「원자력발전의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 전원별 외부 비용 추정」 에너지 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한국전력공사. 2017. 「제86호 (2016년) 한국전력통계」

한국원자력학회. 2017. 「보도자료: 탈원전·탈석탄 확대 정책과 적정 전력 설비 예비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14. 「에너지시스템 분석 모형을 활용한 신재생 에너지 그리드 패리티 분석 연구」 KIER 기술정책 Focus

한국전기연구원. 2006.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정책 개선방안 연구」

Anderson, D. 1972. “Models for determining least-cost investments in electric supply”

Bell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Science 3(1): pp267-299

Aghaei, J., Akbari, M.A., Roosta, A., Gitizadeh, M. and Niknam, T. 2012. “Integrated renewable-conventional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using multiobjective framework”

IET Generation Transmission & Distribution, 6: pp773-784

Aghaei, J. Akbari, M.A., Roosta, A., and Baharvandi, A. 2013, “Multiobjectiv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considering power system adequacy”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102: pp8-19

Bessiere, F. 1970. “Investment ‘85’ model of electricite de France” Management Science 17(4): pp192-211

Billington, R. and Allan, R. 1984. “Reliability evaluation of power systems”, New York, Plenum Press

Birge, J. R., and Louveaux, F. 2011. “Introduction to stochastic programm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Black and Veatch. (2012). “Cost and performance data for power generation technologies.”

Technical Report Prepared for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Bloom, J.A. 1982. “Long range generation planning using decomposition and probabilistic simulation” IEEE Transaction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PAS-101(4):

pp797-802

Choi, D.G. and Thomas, V.M. 2012. “An electricity generation planning model incorporating demand response” Energy Policy 41: pp429-441

Choi, D.G., Park, S.Y., and Hong, J.C. 2015. “Quantitatively exploring the future of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 the Korean electricity sector via a bottom-up energy model”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50: pp793-803

Cote, G. and Laughton M.A. 1980. “Prediction of reserve requirements in generation plan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and Energy Systems 2(2): pp87-95 Farghal, S.A. and Aziz, M.R.A. 1988.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including the

renewable sources”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s 3: pp816-822

Feng, Y. and Ryan, S.M. 2013. “Scenario construction and reduction applied to stochastic power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Computers and Operations Research 40: pp9-23 Gitizadeh, M., Kaji, M., and Aghaei, J. 2013. “Risk based multiobjectiv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considering renewable energy sources.” Energy, 50: pp74-82.

Hobbs. B.F. 1995. “Optimization methods for electric utility resource planning”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83: pp1-20

Hu, Z. and Jewell, W.T. 2013. “Optimal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with integration of variable renewable and bulk energy storage systems” Proceedings of IEEE

Conference on Technologies for Sustainability, pp1-8

Kim, Y.-C., and Ahn, B.-H. 1993. “Multicriteria generation-expansion planning with global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40(2): pp154-161

Jin, S., Ryan, S.M., Watson, J.P. and Woodru, D.L. 2011. “Modeling and solving a large-scal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problem under uncertainty” Energy Systems 2: pp209-242

Jonghe, C.D., Delarue, E., Belmans, R. and D'haeseleer, W. 2011. “Determining optimal electricity technology mix with high level of wind power penetration” Applied Energy 88: pp2231-2238

Meza, J.L.C., Yildirim, M.B., Masud, A.S.M. 2007, “A model for the multiperiod multiobjective power generation expansion problem” IEEE Transaction on Power

Systems 22(2): pp871-878

Min, D. and Chung, J. 2013. “Evaluation of the long-term power generation mix: The case of South Korea's energy policy” Energy Policy 62: pp1544-1552

Min, D., Ryu, J. and Choi, D.G. 2017. “A long-term capacity expansion planning model for an electric power system integrating large-size renewable energy technology”

Computers & Operations Research In Press

Noonan, F. and Gigolio, R.J. 1977. “Planning electric power generation: a non-linear mixed integer model employing Benders Decomposition” Management Science 23(9):

pp946-956

Park, S.Y., Yun, B.-Y., Yun, C.Y. Lee, D.H., Choi, D.G. 2016. “An analysis of the optimum renewable energy portfolio using the bottom-up model: Focusing on the electricity generation sector in South Korea”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53: pp319-329

Peterson, E.R. 1973. “A dynamic programming model for the expansion of electric power systems” Management Science 20(4): pp656-664

Pisciella, P., Vespucci, M.T., Bertocchi, M.. and Zigrino, S. 2016. “A time consistent risk averse three-stage stochastic mixed integer optimization model for power generation capacity expansion” Energy Economics 53: pp203-211

Sanghvi, A.P., Balu, N.J., Lauby, M.G. 1991. “Power system reliability planning practices in north America” IEEE Transactions Power Systems 6(4): pp1485-1492

Scherer, C.R. and Joe, L. 1977. “Electric power system planning with explicit stochastic reserve constraint” Management Science 23(9): pp978-985

Stremel, J.P. 1982. “Production costing for long-range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studies” IEEE Transaction on Power Apparatus and Systems PAS-101(3): 526-536 Tekiner, H., Coit, D.W., and Felder, F.A. 2010. “Multi-period multi-objective electricity

generation expansion planning problem with Monte-Carlo simulation”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80: pp1394-1405

부 록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설비예비율 (%)

공급예비율

(%) LOLP (%) 설비예비율 (%)

공급예비율

(%) LOLP (%)

2014 16.02 7.64 0.180 16.02 7.68 0.197

2015 11.53 3.49 4.627 11.53 3.52 4.310

2016 19.28 10.60 0.000 19.28 10.64 0.007

2017 23.73 14.80 0.000 23.73 14.82 0.000

2018 21.90 13.47 0.000 21.90 13.46 0.000

2019 20.69 12.47 0.003 20.69 12.46 0.007

2020 21.35 13.35 0.003 21.35 13.37 0.000

2021 22.62 14.73 0.000 22.61 14.75 0.000

2022 23.09 15.59 0.000 23.09 15.58 0.000

2023 20.71 13.73 0.010 20.71 13.74 0.003

2024 17.87 11.42 0.157 18.96 12.44 0.047

2025 16.70 10.66 0.540 19.10 12.94 0.043

2026 16.79 11.07 0.437 16.16 13.30 0.037

2027 16.85 11.47 0.463 19.19 13.68 0.037

2028 16.90 11.80 0.440 20.24 14.99 0.013

2029 16.98 12.23 0.523 19.88 14.95 0.013

<표 A1> 분석결과 – 시나리오 1 & 2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설비예비율

(%)

공급예비율

(%) LOLP (%) 설비예비율 (%)

공급예비율

(%) LOLP (%)

2014 16.02 7.67 0.123 16.02 7.66 0.150

2015 16.75 8.35 0.073 11.53 3.49 4.347

2016 18.48 9.87 0.007 19.28 10.65 0.003

2017 27.29 18.13 0.000 23.73 14.81 0.000

2018 30.80 22.10 0.000 22.97 14.78 0.000

2019 28.96 20.95 0.000 21.02 13.48 0.003

2020 27.44 20.18 0.000 19.11 12.32 0.163

2021 23.13 16.69 0.003 14.75 8.75 4.923

2022 20.42 14.93 0.140 11.26 6.16 14.443

2023 20.26 15.55 0.080 11.33 6.99 14.583

2024 20.31 16.38 0.167 10.82 7.22 15.583

2025 20.62 17.35 0.147 10.84 7.87 15.720

2026 20.53 18.05 0.250 10.62 8.29 16.067

2027 21.01 19.15 0.163 10.73 9.08 16.257

2028 20.74 19.59 0.297 9.82 8.76 17.000

2029 20.83 20.42 0.290 9.03 8.69 19.367

<표 A2> 분석결과 – 시나리오 3 & 4

문서에서 에 너 지 경 제 연 구 (페이지 3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