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라. 여성ㆍ보육, 가정정책

IV. 결론

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GDP 증가 측면에서는 기초연금이 비용대비 GDP 감소 효과가 작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다음은 기초생활보장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취 약계층은 고용뿐만 아니라 GDP도 가장 큰 폭으로 감소시킬 전망이다. 다음으로는 중 증질환,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단위당 GDP 감소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가 주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부정책의 목표가 GDP와 고용 증대에 있다면 주택지원에 대한 지출을 확대하는 대신 기타 복지지출은 축소할 필요 가 있다. 소득재분배에 중점을 둔다면 저소득층의 수혜비중이 높은 취약계층 및 기초 생활보장정책을 강화하되 주택에 대한 지출을 늘리거나 기타 복지정책을 축소함으로 써 고용감소효과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소득재분배에 크게 기 여하지 못하면서 고용과 성장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가 큰 반값 등록금, 고교무상교육, 4대 중증질환, 노인장기요양보험, 무상보육 정책은 규모와 속도조절이 요구된다.

<그림 2> 지니계수에 대한 누적효과

<그림 3> 고용에 대한 누적효과(%)

<그림 4> GDP에 대한 누적효과(%)

 소득재분배 고용증대 경제성장

정책 

단위당 지니계수

변화

위   정책 단위당

고용

위   정책 단위당

GDP

1 취약계층 -0.1189 1 주택 0.072 1 주택 0.056

2 기초생활보장 -0.1058 2 기초생활보장 -0.035 2 기초연금 -0.060

3 기초연금 -0.0497 3 노인장기요양 -0.037 3 기초생활보장 -0.062

4 무상보육 -0.0187 4 4대 중증질환 -0.044 4 무상보육 -0.066

5 주택 -0.0059 5 기초연금 -0.048 5 고교무상교육 -0.076

6 노인장기요양 -0.0027 6 고교무상교육 -0.057 6 반값 등록금 -0.078

7 4대 중증질환 -0.0022 7 반값 등록금 -0.060 7 노인장기요양 -0.085

8 고교무상교육 -0.0016 8 무상보육 -0.067 8 4대 중증질환 -0.086

9 반값 등록금 -0.0014 9 취약계층 -0.093 9 취약계층 -0.115

<표 38> 현 정부 복지정책의 우선순위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자의적인 판단에 기초하여 복지지출의 수혜를 소득계층별로 배분하고 있다. 편익접근 법을 이용하여 재정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분석하는 모든 연구가 이러한 비판으로 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지만 보다 합리적인 근거를 만드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 는 노동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세부 항목별 복지정책의 배분기준을 설정하였으나 실 제 현실에서 발생하는 소득계층별 귀착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 히 노인장기요양보험과 4대 중증질환 정책의 배분기준을 ‘매우 아프다’고 응답한 가 계 및 노인의 비중을 기준으로 배분한 것은 현실과 큰 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소비세를 통해 복지재원을 조달한다고 가정하고 분석한 점도 현실과 괴리 가 있다 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공행정 및 국방과 같은 순수공공재를 축소하 거나, 소득세 및 법인세 인상을 통한 재원조달 방안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박기백, 김 진, 전병목, 『재정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04. 12 성명재․박기백, “조세․재정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소비세 및 현물급여”, 재정학연

구 제 1권 제 1호(통권 제56호), 2008.

성명재․박기백, “Effect of Taxes and Benifits on Income Distributions in Korea”, 국제재정학회(IIPF) 제65차 연차총회 발표집, 조세연구원, 2009.

심상달, "정부지출의 수혜분포분석“, 『국가예산과 정책목표』, KDI, 1988.

조경엽, “재정지출의 형평성과 효율성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경제학연구 제56집 제2호, 2008.

조경엽․유진성, “무상복지의 소득재분배 효과”, KERI 정책연구 12-09, 한국경제연 구원, 2012.

Aaron, Henry and Martin McGuire, "Public Goods and Income Distribution," Econometrica, vol. 38, 1970, pp. 907~920.

Meerman, J. 『Public Spending in Malaysia: Who Benefit and Wh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79.

Selowsky, M. "Who Benefits form Government Expenditures? A Case Study of Colombia,"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