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

3.1 개요

에너지원에 대한 수요 대응 필요: 러시아 캄차카 반도나 시베리아 자원 개발, 캐나다 극지 에너지공급 사업, 아프리카나 폴리네시아 군도와 같은 오지나 도서 지역 에너지 공급 사업 시장조사 필요

- 기존의 부유식 화력발전소에서의 전력공급시스템 특성 조사 필요.

○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의 용도 및 시장성 관점

- 해양자원 채굴설비 동력원, 극지와 도서 지역 에너지공급, 대규모 부유 식구조물(Very Large Floating Structure, VLFS) 기반 에너지공급 정거 장(VLFS Energy Station)의 동력원,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와 같은 해양플랜 트의 동력원 등을 적용분야 및 주요 시장으로 고려 할 수 있음

-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의 극지 적용은 접근성 및 수요 관점에서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됨

-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의 도서지역이나 전력 인프라가 빈약한 오지 적용은 동남아 시장이나 아프리카나 중미 시장을 고려할 때 시장성이 크다고 추정됨

-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을 석유나 가스 채굴용인 FPSO 설비의 동력원 으로 적용하는 것은 현재 생산 에너지의 자체 소모 필요성 때문에 시장 성이 없어 보이고, 대신에 노후화된 부유식 화력발전소를 부유식 해양원 전으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음

○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의 장단점

- 쓰나미나 지진 대응설계에 유리하고, 부지시설 확보가 용이하고, 모듈식 공장 제작이 가능하여 전체 시공일정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적용지점(현지)의 산업 인프라와 무관하게 공급 가능성 (완성된 시스템 을 현지로 이송하여 운용하는 개념)

- 연근해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개념이라면 착저식 해양원전시스템이 유리 할 수 있으므로 부유식의 장점을 살리는 비즈니스 모델 도출 필요. 예로

동성(mobility)이 필요한 경우 등.

-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 부지에서의 어업 조업권, 국제 해양법상 규제 요건, 항로 간섭문제 및 관광산업 등 해양 환경문제 해결이 필요하고, 원 자력시스템의 안전성 확보와 사고 대응책 마련 등 사회적 수용성 문제 해결이 필요함.

- 해양원자력시스템의 핵심적 장점은 온실가스 무 배출 에너지원이며 별 도의 연료저장 공간이 필요 없다는 것임.

상기한 협의 결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부유식 해양원자력시스템의 시장성을 조사 한 결과, 도서 및 연안지역 대상의 소규모 분산 전력망에 적용할 소형 부유식 해양 원전(FNPP)이 가장 시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소형 부유식 해양원전의 동력원으로 탑재될 참조 원자로(reactor)는 출력규모, 적용성, 기술 완성도, 인허가 성, 그리고 경제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최근 세계원전시장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 는 소형모듈원자로(Small Modular Reactor, SMR)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 다. 따라서 SMR을 탑재한 소형 부유식 해양원전을 조선해양 및 원자력산업계의 융복합 R&BD 사업으로 개발하여 목표시장(target market) 에 진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기로 하였다.

SMR을 탑재한 소형 부유식 해양원전의 비즈니스 모델 도출은 시장성 분석, 경 제성 분석, 그리고 기술성 분석과 기술개발 로드맵 제시로 구체화될 것이다. 아울 러 이를 추진할 추진체계 및 전략, 사업 추진기간 및 예산, 사업 리스크 회피전략, 그리고 SWOT 분석결과를 순차적으로 제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