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3

차산업인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57.4%

에서

67.9%

로 크게 증 가하고 있다

.

제조업의

2005

년 부가가치 기준 산업 비중은

28.4%

인 데 이는 프랑스

13.0%,

독일

22.5%,

일본

20.8%,

영국

13.2%,

미국

15.7%

에 비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 GDP

구성에 있어서 한국의

제조업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매우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둘째

,

한국은 제조업의 서비스업으로의 전환이 늦다

.

전술한 바와 같이

,

총산출 기준으로 한국은

1980

2005

25

년간 제조업은

49.0%

에서

48.8%

로 큰 변화가 없는 반면 서비스업은

41.1%

에서

48.7%

로 소폭 증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

.

부가가치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제조업은

24.4%

에서

28.4%

로 역시 소폭 증가하고 있지만

,

서 비스업은 같은 기간

57.4%

에서

67.9%

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

.

부가 가치 기준으로 한국의 서비스업 비중이 다소 크게 증가한 것은 제조 업의 비중이 감소함에 따른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제

1

차산업의 비중 감소에 의한 것이다

.

다른 선진국들은 제

1

차산업의 비중 감소뿐만 아니라 제

2

차산업인 제조업의 비중 감소에 따라 서비스업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한 국은 제

1

차산업의 비중 감소에 따라 제

2

차산업인 제조업과 제

3

차산 업인 서비스업의 비중이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

가령

,

부가가치 기준으로 볼 때 프랑스는 제조업이

1980

21.7%

에서

2005

13.0%

로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업은 같은 기간

72.3%

에 서

84.6%

로 증가하고 있다

.

독일은 같은 기간 제조업이

29.7%

에서

22.5%

로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업은

66.6%

에서

76.5%

로 증가하고

있다

.

일본은 같은 기간 제조업이

28.1%

에서

20.8%

로 줄어드는 대 신 서비스업은

67.5%

에서

77.8%

로 증가하고 있다

.

영국 역시 같은 기간 제조업이

26.8%

에서

13.2%

로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업은

63.5%

에서

83.5%

로 증가하고 있다

.

미국은 같은 기간 제조업이

22.7%

에서

15.7%

로 줄어드는 대신 서비스업은

69.8%

에서

81.4%

로 증가하고 있다

.

이처럼 한국의 제

2

차산업인 제조업의 비중이 선진국에 비해 높고

,

3

차산업인 서비스업으로 전환이 늦은 것은 경쟁력 측면에서 대부 분 선진국이 서비스업을 경제성장의 중요한 축으로 하고 있음에 비 추에 한국의 성장잠재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향후 서비스업의 발전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29)

한국 산업구조의 이러한 측면을 보다 세분화된 산업에서 살펴보 면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 선진국에서 제조업 소속 산업의 총산출 또 는 부가가치에서의 비중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다

.

다만 일본은

1

차금속・금속제품

,

기계

,

전기・전자・광학 등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은 나무・나무제품・코르크

,

수송장비에서 크게 비중이 증 가하고 있다

.

특히 자동차

,

조선이 포함된 수송장비의 총산출 및 부 가가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전기・전자・광학에서는 그 비 중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

한편 서비스업 소속 업종에서는 대부분 선진국들의 비중이 증가 하고 있는 가운데 도매・소매

,

우편통신

,

금융・보험

,

부동산

,

교육

,

보 건 등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

한국의 경우 건설

,

도매・소매 수송・

29) 한국의 서비스업의 위치를 부가가치 비중 면에서 살펴보면 선진국에 비해서도 낮은 것은 물론 우리나라의 소득수준을 감안하여도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용 비중 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아직 낮지만 우리나라의 소득수준을 감안하면 적정수준을 적절한 정도 또는 조금 높은 정도이다. 아울러 한국의 서비스업은 매우 낮은 생산성을 보이고 있는데 2005년 기준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노동생산 성을 100으로 잡았을 때 미국 250.0, 일본 185.7(2004년 기준), 프랑스 192.4, 탈리아 191.0, 스페인 161.2로서 한국의 생산성 수준은 주요 선진국의 절반수준, OECD 국가 가운데 최저수준을 기록하고 있다(이태규, 2009).

보관

,

금융・보험

,

보건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

❙그림 2. 총산출 기준 산업 구조 변화

1 980 년 2 005 년

❙그림 3. 한국의 총산출 기 준 산업구조 변화 추이(1970∼2005년)

❙그림 4. 부가가치 기준 산 업구조 변화

1980 년 2005 년

❙그림 5. 주요 산업의 총산 출 비중 변화(1980∼2005년)

❙그림 6. 주요 산업의 부가 가치 비중 변화(1980∼2005년)

❙그림 7. 한국의 부가가치 기준 산업구조 변화 추이(1970∼200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