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면(<표 2-1> 참조) 양육시설, 보호 종료 아동 중심이며, 연구 내용 또한 보호 종료 후의 자립 경험과 현황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퇴소 후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 정서적 자립의 어려움을 주요 결과로 제시하고 있다. 그 러나 보호 종료 후의 자립 과정에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성인기 진입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정 외 보호 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자립을 준비 하여야 하므로 아동의 자립 준비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일부 연구 가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 등의 여러 보호 체계에서 보호 중 인 아동을 포함하고 있지만(김예성 외, 2015; 이경상, 2011; 신지혜, 강 현아, 2017) 각 체계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 내용이나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 다수의 연구가 아동의 자립 생활 기술, 자립 의지 등과 같이 자립에 필요한 한 영역의 영향 요인을 밝히는 데 그치고 있다.

최근에 수행된 정선욱 외(2019)의 연구만이 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위탁가정 아동의 자립 준비를 비교하여 각 체계의 상황을 고려한 자립 지 원 서비스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 아동 개인의 생애 주기 관점에 서 보호 중인 아동의 자립 준비 지원을 체계적이고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야 보호 종료 후에 아동의 성공적 자립을 도모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 다. 한편 정선욱 외(2019)의 연구에서는 제한적인 영역에서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자립 준비 실태와 자립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분석하였으며 보호 체계의 자립 준비 지원 서비스나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립 준비 정도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제시하지 않았다.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자립 준비 실태를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 서 좀 더 포괄적으로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 각 체계에 서 아동에게 제공하는 자립 지원은 무엇이며, 이러한 지원이 아동의 자립 준비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현재의 자립 지원 제도가 아동의 자립 과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는지를 분석한 실증적, 경험적 증거에 기 반하여 우리나라 자립 지원 제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표 2-1> 선행 연구 분석 결과

2.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자립 준비 영역

McDaniel Courtney, Pergamit & Lowenstein(2014)은 문헌 고찰 을 통해 전환기 과정에 있는 가정 외 보호 아동의 핵심 발달 과업으로 다

심리사회적 기술, 그리고 주거, 의복, 금전, 건강보험 등과 같은 물질적 자원의 획득이다(p. 8). 그리고 이러한 전환기 핵심 발달 과업을 달성하 는 것은 교육, 취업, 건강과 웰빙, 관계의 안정성, 반사회적 행동, 주거 안 정과 같은 성인기의 발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McDaniel et al., 2014).

특히 Caspi et al.(1998)은 성인기 진입의 핵심 발달 과업은 취업이라 고 하였다. 취업이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사회적 통제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Jahoda, 1981; Frunham, 1994) 이를 통해 성인으로서의 아주 중요한 역할 전환을 할 수 있는 것이다(Caspi et al., 1998). 대부분의 가 정 외 보호 아동이 보호 종료 후에 언젠가 일을 하게 되지만 실업과 불완 전 고용이 자주 발생하며(Hook & Courtney, 2011) 일반 아동보다 취 업률과 수입이 상대적으로 낮다(Hook & Couteny, 2011 재인용). 따라 서 자립 준비 과정에서 가정 외 보호 아동이 취업을 위한 역량, 즉 사적, 인적, 사회적 영역에서 ‘자본(capital)’(Caspi et al., 1998, p. 426)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사적 자본은 자립에 대한 동기와 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행동 특성이나 태도를 뜻한다(Caspi et al., 1998). 인적 자본은 자립을 위해 습득한 개인의 기술이나 지식, 자원으로 교육 및 훈련 경험 등을 포 함한다(Caspi et al., 1998). 마지막으로 사회적 자본은 자립과 관련된 다양한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사회적 관계나 네트워크를 의미 한다(Caspi et al., 1998).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자본 영역은 앞 서 논의한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자립 준비 장애 요인(조기곤, 2008)과 전 환기 가정 외 보호 아동의 핵심 발달 과업(McDaniel et al., 2014)을 포 괄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자립 준비 실태를 폭 넓게 파악하여 보호 종료 후 자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지원 체계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Caspi et al.(1998)이 제시한 인적, 사적, 사회 적 자본 영역에서 가정 외 보호 아동의 자립 준비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