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함수공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함수공간"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함수공간

함수공간, 점 열린위상

Definition 0.1. X와 Y 는 임의의 집합이고 F (X, Y )를 X에서 Y 로의 모든 함수 족이라 하자. 집합 F (X, Y )에 위상을 정의할 때 이것을 함수공간(function space) 이라 한다.

F (X, Y )는 다음과 같이 적당한 적집합과 같음을 볼 수 있다. 각 x ∈ X에 대해 Yx = Y 라 하자. 그리고

F := Y

x∈X

Yx

이라 하자. 그러면 F는 각 x ∈ X에 대해 ax ∈ Yx = Y 을 만족하는 모든 점 p =<

ax : x ∈ X >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F = F (X, Y )이다. 이제 각 x ∈ X에 대해 사상 ex : F (X, Y ) → Y 을

ex(f ) := f (x)

로 정의하자. 이 ex를 x에서의 evaluation 사상이라 한다. F = F (X, Y )이므로 ex는 F에서 Yx로의 정사영 πx와 같다.

Example 0.2. I = [0, 1]일 때 F (I, R)을 생각하자. 그리고 f (x) = x2, g(x) = 2x+1, h(x) = sin(πx)라 두면 f, g, h ∈ F (I, R)이다. F(I, R)에서 정의된 evaluation 사상 e1/2를 생각하자. 그러면

e1/2(f ) = f (1/2) = 1/4, e1/2(g) = g(1/2) = 2, e1/2(h) = h(1/2) = 1 임을 볼 수있다.

이제 함수족 F (X, Y )위에 F = F (X, Y )임을 이용하여 위상을 정의하자. F는 적집 합이므로 적위상을 도입할 수 있다. F상의 적위상의 정의부분기저 S는 x0 ∈ X와 좌표공간 Yx0 = Y 의 열린부분집합 G를 취해서

πx−10 (G) = {f | πx0(f ) ∈ G}

로 표현되는 F의 모든 부분집합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πx0(f ) = ex0(f ) = f (x0)

이다. 그러므로 S는 임의의 점 x0 ∈ X를 Y 의 임의의 열린집합 G로 사상하는 모든 F (X, Y )의 부분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F (X, Y )상의 이와 같은 적위 상을 점열린위상(point open topology)이라 한다. 다른 말로 하면 evaluation 사상 ex : F (X, Y ) → Y 가 연속이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F (X, Y )상의 위상 중에서 가장 거친 위상이 점열린위상이다.

(2)

Example 0.3. I = [0, 1]이고 F (I, R)사의 점열린위상을 T 라 하자. 그러면 T 의 정의부분기저는

{f ∈ F (I, R) | f(j) ∈ G}

형태의 모든 부분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12장에서 다룬 적공간 X =Y

i∈I

R 의 부분기저의 원소와 같음을 알 수 있다.

Example 0.4. A가 적공간 Q

α∈IXα의 부분집합이면 A ⊂Y

α∈I

πα(A)

이다. 그러면 당연히

A ⊂Y

α∈I

πα(A)

이다. 이제 A = A(X, Y )를 F (X, Y )의 부분족이라 하면 A ⊂ Y

x∈X

πx(A) = Y

x∈X

ex(A)

이다.(여기서 ex(A) = {f (x) | f ∈ A}이다.) 만일 {f (x) | f ∈ A}가 모든 x ∈ X에 대하여 콤팩트이면 치호노프 정리에 의해

Y

α∈I

πα(A) ⊂ Y

x∈X

Yx

이다.

Theorem 0.5. A를 F (X, Y )의 부분족이라 하자. A가 닫힌집합이고 모든 x ∈ X 에 대하여 {f (x) | f ∈ A}가 Y 에서 콤팩트일 때 A는 F (X, Y )상의 점열린위상에 대하여 콤팩트이다.

Proof. 위의 예를 이용하면 쉽게 증명된다.

점별 수렴, 균등 수렴

Definition 0.6. 집합 X에서 위상공간 Y 로의 함수 fn, (n ∈ N)에 대해 함수열

< fn >을 생각하자. 함수 g : X → Y 가 존재해서 모든 x ∈ X에 대해

n→∞lim f (x) = g(x)

일 때 함수열 < fn>은 g로 점별수렴(pointwise convergence)한다고 말한다.

(3)

위 정의에서 Y 가 거리공간이면 점별수렴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모든  > 0와 모든 x ∈ X에 대해

∃ n0 ∈ N such that n > n0 =⇒ d(fn(x), g(x)) <  일 때 < fn>은 g에 점별수렴한다.

Example 0.7. < fn >을 I = [0, 1]에서 R로의 함수열이라 하자. 여기서 fn(x) := xn

으로 정의 하자. 함수 g : I → R을

g(x) :=

0 if 0 ≤ x < 1, 1 if x = 1

으로 정의하면 < fn >은 g에 점별수렴한다. 각 함수 fn이 연속일지라도 극한함수 g는 연속이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Theorem 0.8. F (X, Y )에 속하는 함수열 < fn >이 F (X, Y )상의 점열린위상에 관하여 g ∈ F (X, Y )로 수렴하기위한 필요충분조건은 < fn >이 g로 점별수렴하는 것이다.

Proof. F (X, Y )상의 점열린위상의 정의에 의해 함수열 < fn >이 F (X, Y )상의 점열린위상에 관하여 g ∈ F (X, Y )로 수렴한다는 것은 모든 사영 πx에 대해

< πx(fn) >=< ex(fn) >=< fn(x) >

πx(g) = ex(g) = g(x)

로 수렴한다는 것과 동치이다. 따라서 모든 x ∈ X에 대해

n→∞lim f (x) = g(x)

이 성립하는것과 동치이다. 즉, < fn>이 g로 점별수렴하는 것과 동치이다.

Definition 0.9. 집합 X에서 거리공간 Y 로의 함수열 < fn >을 생각하자. 모든

 > 0에 대해

∃ n0 ∈ N such that n > n0 =⇒ d(fn(x), g(x)) < , ∀x ∈ X

이 성립할 때 < fn >은 함수 g : X → Y 에 균등수렴한다(uniform convergence)고 말한다.

(4)

Theorem 0.10. < fn >은 위상공간 X에서 거리공간 Y 로의 연속함수열이라 하 자. < fn>이 함수 g : X → Y 로 균등수렴하면 g도 연속이다.

Proof.

Example 0.11. I = [0, 1]에서 R로의 함수열 < fn = xn >을 생각하자. 그러면

< fn >은 연속함수열이다. 그리고 < fn >은

g(x) :=

0 if 0 ≤ x < 1, 1 if x = 1

으로 정의되는 함수 g 점별수렴한다. 그러나 g는 연속이 아니다. 따라서 < fn>은 g로 균등수렴하지 않는다.

Example 0.12. < fn >을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F (R, R)에 속하는 함수열이라 하자.

fn(x) =

1 −n1|x| if |x| < n, 0 if |x| ≥ n

그러면 < fn >은 함수 g(x) = 1에 점별수렴한다. 그러나 균등수렴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 1/2에 대해

fn(x0) = 0, ∀n ∈ N 을 만족하는 점 x0 ∈ R가 존재해서

|f (x0) − g(x0)| = 1 >  이기 때문이다.

Theorem 0.13. 집합 X에서 거리공간 (Y, d)로의 모든 유계함수족을 B(X, Y )라 하자. 그리고 e를

e(f, g) := sup{d(f (x), g(x)) | x ∈ X}

으로 정의되는 B(X, Y )상의 거리라 하자. < fn >을 B(X, Y )에 속하는 함수열이 라 하면 < fn >이 거리 e에 관하여 함수 g ∈ B(X, Y )에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 분조건은 < fn >이 g에 균등수렴하는 것이다.(여기서 e에 의해 유도된 위상을 균등수렴위상(topology of uniform convergence)이라 한다.)

Proof. (=⇒)  > 0이라 하자. < fn >이 e에 관하여 g에 수렴하므로

∃ n0 ∈ N such that n > n0 =⇒ e(fn, g) <  이 성립한다. 따라서

n > n0 =⇒ d(fn(x), g(x)) ≤ sup{d(fn(x), g(x) | x ∈ X}

(5)

= e(fn, g) < , ∀x ∈ X 임을 알 수 있다. 결국 < fn>은 g에 균등수렴한다.

(⇐=)  > 0이라 하자. < fn >이 g에 균등수렴하므로

∃ n0 ∈ N such that n > n0 =⇒ d(fn(x), g(x)) < 1

2, ∀x ∈ X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n > n0 =⇒ sup{d(fn(x), g(x) | x ∈ X} ≤ 1 2 < 

을 얻는다. 즉, n > n0이면 e(fn, g) < 이므로 < fn >은 e에 관하여 g에 수렴한 다.

<연습1> I = [0, 1]이라 하고 < fn>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F (I, R)의 함수열이 라 하자.

fn(x) :=









4n2x if 0 ≤ x ≤ 1/2n,

−4n2x + 4n if 1/2n < x, 1/n 0 if 1/n ≤ x ≤ 1 이 때 < fn>은 상수함수 g(x) = 0에 점별수렴함을 보여라.

(풀이)

fn(0) = 0, ∀n ∈ N 이므로

n→∞lim fn(0) = g(0) = 0

이다. 한편 x0 > 0에 대해 1/n < x0을 만족하는 n0 ∈ N가 존재한다. 그러면 이 n0 에 대해

n > n0 =⇒ fn(x0) = 0 =⇒ lim

n→∞fn(x0) = g(x0) = 0 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fn>은 영함수에 점별수렴한다.

주의:이 문제에서 머든 n ∈ N에 대해 Z 1

0

fn(x)dx = 1 이지만

Z 1 0

g(x)dx = 0 이다. 따라서

n→∞lim Z 1

0

fn(x)dx 6=

Z 1 0

n→∞lim fn(x)dx

(6)

임을 볼 수 있다.

<연습2> I = [a, b]이라 하고 < fn >은 F (I, R)의 연속함수열이라 하자.< fn >이 함수 g ∈ F (I, R)에 균등수렴하면

n→∞lim Z b

a

fn(x)dx = Z b

a

g(x)dx 임을 보여라.

(풀이)  > 0이라 하자. < fn >이 g에 균등수렴하므로

∃ n0 ∈ N such that n > n0 =⇒ |fn(x) − g(x)| < ?(b − a), f orallx ∈ [a, b]

이다. 따라서 n > n0이면

Z b a

fn(x)dx − Z b

a

g(x)dx

=

Z b a

(fn(x) − g(x))dx

≤ Z b

a

|fn(x) − g(x)|dx

<

Z b a

/(b − a)dx =  이므로 증명은 끝난다.

균등연속, 균등유계

C[0, 1]은 I = [0, 1]에서 R로의 모든 연속함수족이다. f ∈ C[0, 1]에 대해 노름

||f || := sup{|f (x)| | x ∈ I}

을 정의하면 C[0, 1]은 노름 벡터공간이 된다.

Theorem 0.14. f ∈ C[0, 1]이면 모든  > 0에 대해 δ > 0가 존재해서

|x − y| < δ =⇒ |f (x) − f (y)| < , ∀x, y ∈ I 을 만족한다. 즉, f 는 균등연속이다.

Proof. I가 콤팩트 공간이므로 당연히 성립한다.(2학년 해석학 참조) Theorem 0.15. C[0, 1]은 완비노름벡터공간이다.

(7)

Proof. < fn >을 C[0, 1]속하는 코시함수열이라 하자. 그러면 모든 x ∈ I에 대해

< fn(x) >는 R에서 코시열이고 R은 완비이므로 수렴한다. 함수 g : I → R을 g(x) := lim

n→∞fn(x)

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 fn >은 g에 균등수렴하고 따라서 g는 연속이다. 즉, g ∈ C[0, 1]이다. 결국 C[0, 1]은 완비이다.

Theorem 0.16. 모든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연속함수 f ∈ C[0, 1]기 존재한다.

Proof. 이 정리의 증명은 학부생에게는 공부할 의미가 없어 생략한다.

Definition 0.17. A을 집합 X에서 정의된 실함수족이라 하자. 주어진 f ∈ A에 대해

∃ M ∈ R such that |f(x)| < M, ∀x ∈ X 을 만족할 때 A은 균등유계(uniformly bounded)라고 한다.

Example 0.18.

A = {f1(x) = sin x, f2(x) = sin(2x), f3(x) = sin(3x), · · · }

이라 하자. | sin(x)| ≤ 1, ∀x ∈ R임을 이용하면 A는 균등유계임을 알 수 있다.

Example 0.19. A ⊂ C[0, 1]를

A = {f1(x) = x, f2(x) = 2x, f3(x) = 3x, · · · }

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A의 각 함수는 유계이나 A는 균등유계가 아니다. 왜냐하면 M 을 아무리 큰 실수로 잡아도 n0 > M 이 되는 n0 ∈ N이 존재하여

fn0(1) = n0 > M 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 풀이

1. < fn >을 위상공간 X에서 거리공간 Y 로의 연속함수열이라 하고 < fn >이 함수 g : X → Y 로 균등수렴한다고 하자. 그러면 g는 연속임을 보여라.

(풀이) x0 ∈ X이고  > 0이라 하자. 그러면 x0을 포함하는 열린집합 G ⊂ X가 존재해서

x ∈ G =⇒ d(g(x), g(x0)) < 

(8)

을 만족함을보이면 g가 x0에서 연속임을 보이는 것이 된다. < fn >은 g에 균등수 렴하므로

∃ m ∈ N such that d(fm(x), g(x)) < 1

3, ∀x ∈ X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삼각부등식을 적용하여

d(g(x), g(x0)) ≤ d(g(x), fm(x)) + d(fm(x), fm(x0)) + d(fm(x0), g(x0))

< d(fm(x), fm(x0)) + 2 3

을 얻는다. 그리고 fm은 연속이므로 x0을 포함하는 열린집합 G ⊂ X가 존재해서 x ∈ G =⇒ d(fm(x), fm(x0)) < 1

3 이다. 위의 두 식을 함께 적용하면

x ∈ G =⇒ d(g(x), g(x0)) <  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g는 연속이다.

2. (학생들 풀이) < fn >은 C[0, 1]에 속하는 코시함수열이다. 각 x0 ∈ I에 대해 점렬 < fn(x0) >은 R에서 코시열임을 보여라.

3. (학생들 풀이) F (R, R)에 속하는 함수열 < fn>은

fn(x) :=

1 − n1x if |x| < n, 0 if |x| ≥ n

으로 정의된다. 이 때 < fn >은 콤팩트집합상에서 상수함수 g(x) = 1에 균등수렴 함을 보여라.

4. (학생들 풀이) < fn >은 C[0, 1]에 속하는 함수열이고 fn(x) := nx(1 − x)n으로 정의된다.

(1) < fn>은 상수함수 g(x) = 0에 점별수렴함을 보여라.

(2) < fn>은 상수함수 g(x) = 0에 균등수렴인지를 확인하여라.

(3)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n→∞lim Z 1

0

fn(x)dx = Z 1

0



n→∞lim fn(x) dx

참조

관련 문서

서 가공하면 제조원가가 발생되고 마지막에는 제품으로 완성된다. 원가흐름의 셋째

A가 B보다 보상점 및 광포화점, 호흡량이 모두 높은 것으로 보아 A는 양지 식물, B는

이때 두번째 해를 찾는 방법이 있으며 두번째 해는 로그항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면 두번째 해를

시대변화에 발맞춰 최고의 인재와 확보된 핵심 기술력을 바탕으로 Smart-Solution개발 및 기 확보된 핵심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 육성시 켜 Smart-Infra및

비밀키 K를 A의 공개키로

정산표의 작성과정 및 이를 통한 회계순환 전반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위치를 다른 점에 대한 상태 위치로 나타내는 고정벡터. 여기서 B는

• 다른 장애영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시각장 애학생들은 통합교육보다는 특수학교, 특히 기숙제 특수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교육을 받는 경우가 많음. • 대부분의 시각장애학생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