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장내시경에 의한 직장 천공에 동반된 기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장내시경에 의한 직장 천공에 동반된 기흉"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71 -

■ S-17 ■

대장내시경에 의한 직장 천공에 동반된 기흉, 종격동기종, 피하공기증, 후복막공기증 1예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임주견, 박성남, 이준상, 김영묵, 정현광

대장내시경 검사에 의한 합병증은 드물지만 출혈이나 천공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천공은 진단 내시경과 치료내시경에 서 각각 0.03%에서 0.8%, 0.15%에서 3%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직장의 천공은 내시경 후굴 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빈도는 10,000 대장내시경당 1.02회 정도의 비율을 보인다. 대장 천공은 복막내로도 발생하지만 복막뒤공간으로도 일어날 수 있고 이 때 발생한 공기 유출은 내장 공간(visceral space)를 따라 종격동, 피하조직으로 이동하여 종격동기종, 피하공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격동흉막의 파열로 기흉이 발생할 수도 있다. 대장내시경 중 천공은 수술을 필요로 하기도 하지만 선택된 환자에서는 비수술적 치료도 할 수 있으며 특히, 복막뒤공간으로의 천공과 복막반전(peritoneal reflexion) 아랫부분 직장에서의 천공은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종격동기종, 피하공기증, 기흉은 그 치료가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지 않다. 저자들은 대장내시경 검사 중 직장에서 후굴 후 발생한 천공에 의해 복부 증상이 동반되지 않은 기흉, 종격동기종, 피하기종, 공기후복막증 환자에서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으나 대장내시경 추적 검사에 서 직장 천공이 확인되어 클립으로 봉합한 증례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S-18 ■

Relationships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of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n Korean Population

1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Institute of Gastroentor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Institute of Gastroenterology, Brain Korea 21 Project for Medical Scien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ardiovascular Genome Center, 3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Yonsei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for Aging, Seoul, Korea

*Eun Suk Jung1, Seung Won Kim2, Chang Mo Moon1, Dong-Jik Shin3, Nak-Hoon Son3, Eun Soo Kim1, Hyun Jung Lee1, Sung Pil Hong1, Tae Il Kim1, Won Ho Kim1,2, Jae Hee Cheon1,2

Background: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1 (TREM-1) has been shown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pag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REM-1 expression is up-regulated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We hypothesized that TREM-1 genetic polymorphisms might be associated with IBD development and its phenotypes. Methods: We genotyped three TREM-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rs2234237, rs3789205, and rs9471535) and evalu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SNPs and IBD development and phenotypes. Results: We found that TREM-1 SNP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testinal Behcet’s disease (rs9471535: odds ratio (OR)=1.637, p=0.025; rs3789205: OR=1.668, p=0.019; rs2234237: OR=1.691, p=0.016), and in particular with skin involvement (rs9471535: OR=2.723, p=0.009; rs3789205: OR=2.477, p=0.017; rs2234237: OR=2.278, p=0.030) and the risk of azathioprine use (rs9471535: OR=2.722, p=0.021; rs3789205: OR=2.493, p=0.032; rs2234237: OR=2.638, p=0.026).

However, TREM-1 SNPs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rohn’s disease or ulcerative colitis. Conclusions: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TREM-1 SNP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testinal Behcet’s disease and may have modest effects on disease severity.

참조

관련 문서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tein requirement for maximum growth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may be higher than 40%, and an increase of dietary lipid level

CAL, coronary artery lesion; D/C, discharge... of infectious disease was higher than in other age groups, which may have impacted inflammatory marker levels. In the present

Collectively, our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m -3M3FBS-induced apoptosis in Caki cells may result from the activation of caspase, down-regulation of XIAP

The trends observed from the results of both survivability and serviceability conditions may be explained by the fol- lowing points: a) wake-induced effects may be relevant in

• 대부분의 치료법은 환자의 이명 청력 및 소리의 편안함에 대한 보 고를 토대로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노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은 인플루엔자에 대한 합 병증의 위험이 높아서 매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논란이 되기는 하지만 평생 1회

12) Maestu I, Gómez-Aldaraví L, Torregrosa MD, Camps C, Llorca C, Bosch C, Gómez J, Giner V, Oltra A, Albert A. Gemcitabine and low dose carboplatin in the treatment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