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 학회지 >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란 무엇인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 학회지 >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란 무엇인가?"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근거가 정책 결정, 진료, 의학적 의사 결정 등의 주요한 결 정 원리로 부각하면서 질 높은 문헌 근거를 제시하는 체계 적 문헌고찰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커지고 있으며, 실제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는 양과 질적으로 엄청난 성장을 하였 다. 하지만 일차 문헌에 대한 고찰이라는 특성은 유사하지 만, 고찰의 목적이 체계적 문헌고찰과는 구별되는 여러 가지 리뷰 방법론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방법론 중 주 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이라는 연구 형식을 접하 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Grant and Booth1)의 연구에 의하 면, 체계적 문헌고찰과 유사한 14편의 고찰 유형이 있는데, 이 중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라는 것은 이용 가능한 연구 문헌 의 범위와 수를 평가하고 연구근거의 특성과 내용을 조사하 기 위해 수행되는 고찰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래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mapping review’라고도 부르며, 매핑을 한다는 것은 개념을 지도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 주제범위 문헌

고찰은 비교적 새로운 고찰 연구방법론으로, 연구자들에게 지식합성의 중요한 방법론으로 점점 관심을 받고 있는 고찰 유형이지만, 용어 명명이나 정의, 방법론 절차 등에 대한 논 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활발 히 소개되고 있지 않다.

본 원고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정의, 필요성, 방법론 적인 특성, 연구절차에 대해 기술하고 관련 예시를 제시하여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대한 방법론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본 론

용어와 정의

과거부터 체계적 문헌고찰과는 달리 넓은 범위의 질문에 대해 근거 현황, 자료원, 핵심적인 개념 등을 정리한 문헌을 다양한 용어로 불러왔다. 대표적인 것으로 scoping review, scoping studies, scoping literature reviews, scoping exer-

What is Scoping Review?

Hyun-Ju Seo

1

and Soo-Young Kim

2

1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란 무엇인가?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1,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강동성심병원 가정의학교실2

서 현 주1·김 수 영2

Received May 21, 2018 Revised May 24, 2018 Accepted May 25, 2018 Address for Correspondence:

Soo-Young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50 Seongan-ro, Gangdong-gu, Seoul 05355, Korea

Tel: +82-2-2224-2406 Fax: +82-2-2224-2409 E-mail: hallymfm@gmail.com

A scoping review can be defined as a review that quickly maps key concepts, resource sources, and evidence of a particular study area. The elements that distinguish the scoping review from the sys- tematic review are: 1) a wider range of questions and 2) informing the status rather than getting an- swers to specific questions. The scoping review i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1) identify the research questions, 2) find the relevant studies, 3) select the studies, 4) chart the data, 5) collate, summarize and report the results, and 6) consult stakeholder.

Key Words

Review literature as topic · Research design · Evidence based practice.

J Health Tech Assess 2018;6(1):16-21 ISSN 2288-5811

Copyright © 2018 The Korean Association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Review Article

JoHTA

(2)

cises 등이 있다.3)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문헌을 주제 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로 기술하도록 하겠다. 주제범 위 문헌고찰 연구를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과 분리하여 특 정 문헌 리뷰의 형태로 구체화한 사람은 Arksey와 O’Malley4) 였다. 당시 Arksey와 O’Malley는 이러한 형태의 문헌을 scop- ing studies라고 불렀다. 현재에도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지 만 Tricco 등5)이 1999년부터 2014년도까지 수행한 494편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수행과 보고에 대해 조사하였을 때 가 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는 scoping review(73.5%)였고 그다음이 scoping study(10.5%)였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대해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의는 2005년 Arksey와 O’Malley4) 제시한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제범위 문헌고찰 이란, 연구영역을 뒷받침하는 주요 개념, 주요 정보원, 사용 가능한 근거의 유형을 빠르게 매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 행되며 특히, 영역이 복잡하거나 이전에 포괄적으로 리뷰된 적이 없을 경우, 그 자체가 독립적인 프로젝트로 수행될 수 있다. 그 이후 Daudt 등6)은 Arksey와 O’Malley의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정의에서 “빠르게”라는 용어를 삭제하고 대신

“철저하고 신중하게”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수 정된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주제범위 문헌고찰 은 특정 주제나 연구영역에 관한 문헌들을 매핑하여 실무, 정책 결정,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근거의 유형, 자료 원, 주요 개념, 연구들에서의 간극을 파악할 기회를 제공하 는 것이다’’.

가장 최근 Colquhoun 등7)은 다음의 정의를 사용할 것을 권유하였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기존의 지식을 체계적으 로 검색, 수집, 합성함으로써, 정의된 영역이나 분야와 관련 된 연구의 주요 개념, 근거의 유형, 간극을 매핑하는데 목적 을 둔 탐색적 연구질문을 다루는 지식 합성의 한 형태이다”.

2009년의 Grant와 Booth1)의 고찰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의 엄격성과 제한점과 같은 잠재적인 연구방법론적인 비뚤 림 위험 때문에 그 자체를 일반적인 최종 연구성과물로 간 주하지 않았던 것과 달리, Colquhoun 등7)은 주제범위 문헌 고찰을 근거합성을 위한 다양한 고찰 유형 중 하나로 인정

하였다.

수행 필요성

주제범위 문헌고찰이 필요한 경우는 전통적인 체계적 문 헌고찰을 수행할지 여부에 대한 배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이다. 즉,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특정 영역에 대 한 근거의 특성 및 범위, 주요 개념을 매핑하여 향후 연구 방 향을 안내해주기 때문에, 연구자, 정책 결정자 및 임상 실무 자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근거기반 실무와 정책 결정 시 연 구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4)

영국의 National Co-ordinating Centre에 의해 관리되는 Service Delivery and Organisation Research Programme(이 하 SDO 프로그램)의 핵심 기능은 의료서비스의 서비스전달 과 조직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위임하는 것이다. 위탁연구에 대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특정 개념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정의했는지, 이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것은 무엇인 지, 정책 내용,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견해를 포함한 다양한 범위의 요소를 고려한다. 2000년부터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 하거나 제한된 경우, SDO 프로그램은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8)

방법론적인 특성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체계적 문헌고 찰연구와 다르다(표 1).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는 가장 큰 목적은 이후 이루어질 체계적 문헌고찰에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개별 연구의 결과를 상세히 기술하지 않으며, 특정 영역에 대한 문헌의 범위를 조사하고, 리뷰의 적합한 population, intervention, com- parison, and outcome 구성요소들(목표 인구집단, 중재, 비 교군, 의료결과)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며, 체계적 문헌고 찰의 잠재적인 주제범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된다.9) 제범위 문헌고찰은 결과에 중점을 두고, 포함된 문헌의 질을 보통 평가하지 않는 점, 그리고 자료합성 방법으로 문헌을 분석적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질적 분석을 사용한다는 점이 전통적인 체계적 문헌고찰이나 내러티브 리뷰(narrative re-

Table 1. Comparison between scoping and systematic review

Scoping review Systematic review

Research questions often broad Focused research question with PICO format

Inclusion/exclusion criteria can be established post hoc Pre-specified inclusion/exclusion criteria May or may not perform data extraction Elaborate data extraction

Synthesis more qualitative and usually not quantitative Quantitative synthesis often carried out

Aimed to identify parameters and gaps in a body of literature Formally evaluate the quality of studies and formulate a

conclusion related to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Adapted from BioMed Central Ltd

10)

. PICO: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and outcome

(3)

view)와 다른 점이다.2)

연구절차 및 예시

Arksey와 O’Malley4)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절차로 1) 연구질문 도출, 2) 연구 검색, 3) 문헌 선정, 4) 자료 기입(chart the data), 5) 결과 수집, 요약, 보고, 및 6) 자문의 6단계를 제 시하였다. Levac 등3)은 개별 연구 단계마다 필요한 구체적 인 사항을 권고라는 형태로 제시하였다. Arksey와 O’Malley 의 6단계와 Levac 등3)이 제시한 권고 사항은 아래와 같다. 예 시로 제시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두 편인데, 하나는 유연근 로제가 근로자의 건강 및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 범위 문헌고찰이고,9) 다른 하나는 보완대체요법과 매스미디 어의 관련성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다.11)

연구질문 도출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연구 질문들은 명확하게 기술되어 야 하며, 고찰 질문에 따른 구체적인 포함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질문을 도출할 때, 일련의 하위 질문들을 통해 매우 광 범위한 연구질문이 ‘명확하게 표현된 질문의 범위’와 결합되 도록 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연구 질문을 파악하는 것은 후속 단계에 대한 로드맵을 제공한다. 이는 검색전략으로 진 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질문과 관련된 측면을 명확하게 정의 해야 한다.

권고사항3)

■연구질문을 명확히 기술한다.

■ 효과적인 검색전략을 수립하고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초점을 명확히 하기 위한 개념, 목표 인구집단, 관심 건 강 결과를 고려한다.

■연구질문과 함께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목적을 고려한다.

예시: Armstrong 등9)

유연근로제가 근로자의 건강 및 복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이라면, 연구의 질문은 ‘근로자의 유연근로제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와 유연근로제 가 근로자와 다른 관련자의 건강 결과와 건강 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가 될 것이다.

이러한 질문은 ‘유연근무제’, ‘근로자건강 및 복지’뿐만 아 니라 그러한 중재가 적용될 것으로 의도된 수혜자에 대 한 매핑을 촉진시킨다. 중재유형과 건강 결과에 대한 포 괄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는 체계적 문헌고찰의 포함기준 을 정의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문헌검색

문헌검색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주요 조직의 웹사 이트, 주요 논문의 참고 문헌 목록 조사, 주요 데이터베이스 에 색인 되지 않은 저널들에 대한 수기 검색을 통해서 수행 된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체계적 문헌고찰보다 좀 더 제한 된 정보원을 검색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예: 3개의 온라 인 데이터베이스와 3개의 주요 기관 검색). 출판 언어와 출 판일을 제한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검색의 범위도 중 요하지만 검색의 실용성도 중요하다. 시간, 예산, 연구인력 이 잠재적인 제한 요인이 되며, 이러한 제한들이 검색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사전에 결정할 필요가 있다.

권고사항3)

■ 연구를 성공적으로 완성하기 위해 내용 전문가와 방법 론 전문가로 적합한 팀을 구성한다.

■ 주제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피할 수 없을 때, 의사결정을 정당화하고 연구에 대한 잠재적인 제한점을 인정한다.

예시: Armstrong 등9)

‘슬럼 업그레이드 전략과 이들의 건강 및 사회적 결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검색은 Medline, EMBASE, WHO, UN Habitat을 포함한 주요 기관의 웹 사이트로 고려하였다.

문헌선정

문헌선정을 얼마나 엄격하게 할 것인지는 이용 가능한 검 색 자료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관련 없는 논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포함 및 제외 기준(인구, 지 역 또는 중재 유형별로 좁히는 것과 같은)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다. 대체로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의 경우보다는 넓은 포함 기준을 가지게 된 다. 문헌선정은 사후에 수정된 최종 포함 및 배제기준에 따 라 수행되며, 고찰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결정 과정 에 대한 적절한 기록을 통하여 투명성과 재현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4)

권고사항3)

■ 문헌선정 포함 및 배제기준에 관한 결정을 토의하기 위해 회의를 해야 한다.

■ 적어도 2명의 검토자가 초록을 독립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 문헌선정 시작, 중간, 끝나는 시기에 선정과 관련된 문 제와 불확실성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하는 것이 좋 다. 필요에 따라, 검색전략을 수정할 수 있다.

■ 적어도 2명의 검토자가 전문을 검토해야 하며, 문헌선 정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제3의 리뷰어가 최종 선정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 Weeks와 Strudsholm11)

문헌선정을 위해 표준화된 양식을 사용하였는데, 선정기 준은 다음과 같다. 1)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의 매 스 미디어의 유형과 관련된 연구, 2) International Society for Complementary Medicine Research 핵심목록에 있 는 보완대체요법이나 제품, 3) 영어로 출판된 논문. 다른 주제범위 문헌고찰과 유사하게 연구의 질을 포함기준으 로 사용하지 않았다. 다양한 검색을 통하여 확보된 문헌 제목의 목록은 두 명의 검토자에 의해 선별되었으며, 각 문헌에 대해 “포함”, “배제”, “불확실”로 분류하였다. 제 목만으로 의사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에, 전문을 검색하 여 선정 여부를 결정하였다.

자료 기입

주제범위 질문에 중점을 둔 관련 자료를 기입(추출)하기 위해 스프레드시트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리뷰 어는 이를 통해 문헌들의 공통점, 주제(themes), 간극을 조 사할 수 있다. 자료 기입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

다: 저자, 출판년도, 연구가 수행된 지역, 연구 유형(예: 무작 위대조연구, 비교군이 있는 전후연구), 연구 인구집단(예: 지 역사회 거주, 특정 인구집단), 표본 크기, 중재유형과 비교군 (가능한 경우), 중재 기간(가능한 경우), 연구 목적, 연구방법 론 개괄, 결과 측정방법, 주요 연구결과 등이다.12) 각각의 연 구에서 자료를 추출하기 위해 자료 기입 형식은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내러티브 리뷰(narrative review) 나 기술적 분석법(descriptive analytical’ method) 등의 자료 를 통해 개별연구의 문맥적 특성에 대한 정보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이런 문헌을 과정 지향적 자료(process-oriented data)라고 한다. 추출된 결과는 ‘중재 유형’, ‘연구 집단’, ‘중 재 기간’, ‘목적’, ‘채택된 방법론’, ‘주요 결과’, ‘연구에서의 간 극’과 같은 고찰의 목적이나 초점에 따른 주요 개념 범주 (main conceptual categories)로 분류될 수 있다,

권고사항3)

■ 자료 기입은 연구자가 개별 논문으로부터 자료를 반복 적으로 추출하면서, 자료 기입 형식을 업데이트하는 숙고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2명의 리뷰어는 독립적으로 자료 기입 형식을 이용하 여 5~10편의 개별 연구를 대상으로 자료를 추출한 뒤 그들의 자료추출 방식이 연구질문과 목적에 일치하는 지를 결정하기 위한 회의를 한다.

■ 과정 지향 자료 분석을 위한 추가 계획이 필요할 수 있 다. 질적인 내용분석방법이 제안된다.

결과 수집, 요약, 보고

주제범위 문헌고찰이 체계적 문헌고찰과 중요한 차이점 은 포함된 연구의 질을 평가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주로 기 존의 문헌의 개괄을 제공하여, 자료합성을 최소화한다는 것 이다. 일부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에 질 평가 단계를 포함시켜

예시: Weeks와 Strudsholm (Adapted from BioMed Central Ltd11))

(1) 자료 기입 결과표 Author,

year

Author’s home discipline(s)

Article type

Study design

Type of media

Type of media research

Country of media origin

Disease focus

CAM focus

Adelman,

2003 Medicine Letter to the editor

Content analysis

News

papers Representation

Canada,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Alzheimer’s

disease Vitamin E

Koper, 2006

Law, Marketing, Economics, Business, and Pharmacy

Original research

Content analysis

News

papers Representation

Canada,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None Herbal

remedies

CAM: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5)

야만 한다고 주장하지만, 질 평가를 하지 않는 중요한 이유 는 자원 제한이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은 결과가 보고되는 형식을 결정한다. Levac 등3)은 보다 폭넓은 연구, 정책, 실무 맥락 내에서, 주제범위 문헌고찰 결과들에 대한 함의를 고려 하여 결과를 해석하도록 권유한다. 분석적 틀(analytic frame- work)이나 주제별 구조화(thematic construction)가 문헌의 범위를 개괄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합성은 아니다. 일반적으 로 표나 차트를 이용하여 연구의 범위와 특성에 대한 수적인 분석을 먼저 제시하고, 이후 주제 분석(thematic analysis)을 제시한다. 결과를 제시할 때는 명확성과 일관성이 잘 실현되 도록 하여야 한다.

권고사항3)

■ 연구자는 이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해야 한다.

① 분석(기술적, 양적 요약분석 및 질적 주제 분석)

② 전반적인 목적이나 연구 질문에 고려하면서 결과에 대한 보고

③ 전체 연구 목적과 관련된 결과의 의미를 고려하여, 향후 연구, 실무, 정책을 위한 함의를 논의한다.

선택적 자문

전문가 회의는 연구질문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의 범위를 조사하는 데 도움을 받기 위해 개최하도록 한다. 다음에 대 해 자문그룹에게 자문을 받을 수 있다.

•기존 연구들에 대한 그들의 지식

•정의와 범위를 포함하여, 주제에 대한 그들의 지식

•연구 검색을 위한 주요 기관 확인

이와는 별도로 소비자와 이해관계자가 추가로 참고문헌 을 제안할 기회를 제공하도록 하면, 문헌에 있는 것 이상의 통찰력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권고사항3)

■ 자문에 대한 목적을 명확하게 수립한다.

■ 예비 결과는 자문회의의 회의 자료로 제시한다.

■ 자문을 요청할 이해관계자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기술 하고, 자료수집, 분석, 보고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 며, 전반적인 연구 결과 내에서 통합된 방법을 명확히 기술한다.

■ 해당 분야의 이해관계자들이 지식을 전달하고 교환 (knowledge transfer and exchange)하도록 한다.

결 론

보건의료연구와 실무에서 근거 합성연구는 실무자와 정 책 결정자에게 풍부한 일차 연구의 결과들을 체계적이고, 투 명하며, 재현 가능한 접근법을 통하여 최상의 이용 가능한 근거의 형태로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중에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2012년도 이후부터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점점 더 관심을 받고 있는 근거합성 방법론으로 출판물의 수가 꾸준히 증가 되고 있다.5)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광범위한 양적 합성이나 내적 타당도에 관한 연구의 질 평가 수행 없이 현존하는 문 헌에 대한 지도나 단면(snapshot)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다 른 문헌 고찰 유형과 구별된다. 또한, 주제범위 문헌고찰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는 데 가치 있는 배경 정보를 수 집하는 구조화된 접근법이기 때문에 연구 의제에 대한 우선 순위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원고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연구방법론으로 Arksey 와 O’Malley4)에 의해 개발된 6단계의 연구방법론 틀을 토대 로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제시한 Levac 등3)의 권고사항을 반 영하여 수행할 것을 권장한다.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수행 및 보고에 대한 보고 지침은 아직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 다.4) 정책 결정자와 실무자는 방법론적으로 엄격한 주제범 위 문헌고찰 결과를 통하여, 특정 보건의료분야 연구의 주요 개념 및 근거의 유형을 파악하고, 간극을 매핑하여, 향후 연 구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 민간경상보조사업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Grant MJ, Booth A. A typology of reviews: an analysis of 14 review types and associated methodologies. Health Info Libr J 2009;26:91- 108.

2) Davis K, Drey N, Gould D. What are scoping studies? A review of the nursing literature. Int J Nurs Stud 2009;46:1386-1400.

3) Levac D, Colquhoun H, O’Brien KK. Scoping studies: advancing the methodology. Implement Sci 2010;5:69.

4) Arksey H, O’Malley L. Scoping studies: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Int J Soc Res Methodol 2005;8:19-32.

5) Tricco AC, Lillie E, Zarin W, O’Brien K, Colquhoun H, Kastner M, et al. A scoping review o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scoping re- views. BMC Med Res Methodol 2016;16:15.

6) Daudt HM, van Mossel C, Scott SJ. Enhancing the scoping study methodology: a large, inter-professional team’s experience with Ark- sey and O’Malley’s framework. BMC Med Res Methodol 2013;13:48.

7) Colquhoun HL, Levac D, O’Brien KK, Straus S, Tricco AC, Perrier L, et al. Scoping reviews: time for clarity in definition, methods, and reporting. J Clin Epidemiol 2014;67:1291-1294.

8) Anderson S, Allen P, Peckham S, Goodwin N. Asking the right ques-

(6)

tions: scoping studies in the commissioning of research on the organisa- tion and delivery of health services. Health Res Policy Syst 2008;6:7.

9) Armstrong R, Hall BJ, Doyle J, Waters E. Cochrane Update. ‘Scoping the scope’ of a cochrane review. J Public Health (Oxf) 2011;33:147- 150.

10) Brien SE, Lorenzetti DL, Lewis S, Kennedy J, Ghali WA. Overview of a formal scoping review on health system report cards. Implement Sci 2010;5:2.

11) Weeks LC, Strudsholm T. A scoping study of research on comple- 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and the mass media: look- ing back, moving forward. BMC Complement Altern Med 2008;

8:43.

12) Peters MD, Godfrey CM, Khalil H, McInerney P, Parker D, Soares

CB. Guidance for conducting systematic scoping reviews. Int J Evid

Based Healthc 2015;13:141-146.

참조

관련 문서

가능한 (tradable) 부문으로 상당히 특화되어 있다.. 한국 농촌에서 교역 가능한 부문의 비중이 높으나 비교역부문은 교역가능한 부문보다 더욱 노동집약적이다. 또한

식의 채택을 가속하고 지속 가능한 전통 영농체제의 재활을 위해 지속 가능한 농업과 협력 파트너십을 통한 기후 변화에 대응을 촉진하고 학제 간 접근을 장려하며 지속 ,

매년 참여를 원하는 회원국들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 Commission)에 비축물량 중 이용 가능한 한도 내에서 필요량만큼 신청한다. 또한 고 령층이나 장애인의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보고금융기관이 보유한 정보 또는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에 근거하여 계좌보유자가 보고대상 인이 아니라고 합리적으로 판단할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 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에

※ 기업의 네트워크 환경/공급자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는 DDoS 서비스가 다를 수 있으므로 이용 가능한 DDoS 서비스를 사전에 검토하여 대응

l 암호문의 통계적 특성과 암호 키 값과의 관계를 가능한 복잡하게 하는 l 암호문의 통계적 특성과 암호 키 값과의 관계를

• 범죄 현장에서 확보한 시스템이나 전자 장비에서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증거물 에 대해 보존, 수집, 확인, 식별, 분석, 기록, 재현, 현출 등을 과학적으로 도출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