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융합치료에서 고려할 사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융합치료에서 고려할 사항"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bstract

Clinicians frequently encounter cases in which the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should be selected as a treatment option while the number and location of remaining abutment teeth is limited. Dental implant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patient comfort and denture prognosis. The indication for adding implants to treatment plan of RPD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When the number of abutment tooth is insufficient or the abutment health is poor in the Kennedy class I case, implants could be installed at the posterior end of both sides and the case can be changed to Kennedy class III resulting in greater patient comfort. When the anterior residual dentition is restored adequately, more esthetic result may be caused after the implant installation immediately after the most distal abutment tooth without the help of clasp. Apart from the design in which the stress on the mucosa is dispersed with the help of implant, implants can be installed at the anterior arch as a form of anterior surveyed bridge and act as abutment teeth for RPD. Relevant literature indicated that the adjunctively-utilized implant to RPD facilitates function and longevity of RPD. The clinical guidelines for implant-assisted RPD were summarized.

Key Words: dental implant, fusion treatment, removable partial denture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융합치료에서 고려할 사항

박지만1,3, 곽재영2,3, 김성균2,3, 주지환4, 허성주2,3

1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보철과, 2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3서울대학교 치학연구소, 4서울국제학교

Consideration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Ji-Man Park1,3, Jai-Young Koak2,3, Seong-Kyun Kim2,3, Jihwan Alexander Joo4, Seong-Joo Heo2,3

1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Gwanak Dental Hospital, Seoul, Korea

2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Dent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Seoul International School, Seongnam, Korea

ISSN 1229-5418 Implantology 2015; 19(2): 104~111

Reprint requests: Seong-Joo He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101 Daehak-ro, Jongno-gu, Seoul 110-749, Korea

Tel: 82-2-2072-3820, Fax: 82-2-765-2536 E-mail: heosj@snu.ac.kr

Received for publication: June 11, 2015 Accepted for publication: June 18, 2015

교신저자: 허성주

(110-749)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Tel: 82-2-2072-3820, Fax: 82-2-765-2536 E-mail: heosj@snu.ac.kr

원고접수일: 2015년 6월 11일 게재확정일: 2015년 6월 18일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Oral & Maxillofacial Implantolog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2)

해야 하는 힘을 임플란트와 함께 분담시키고자 하는 의 도에서 비롯된 설계이다. 임플란트에서 지지를 얻는 국 소의치는 후방 조직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화되어 환자로 하여금 조금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해주며, 경우에 따라 클래스프를 생략할 수 있고 자연치 지대치의 지렛 대 현상을 줄여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능, 심미, 저작 력 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II

술식에 대한 문헌적 근거

1. 의치하방 연결술식

이 치료법에 대한 근거를 가늠할 수 있는 관련 문헌은 많이 보고되어 있다. 임상연구의 수준은 기계실험, 동물 실험에서부터 증례보고, 후향적 분석연구, 전향적 분석 연구, 코호트 연구 순으로 수준이 올라가며, 그 상위에 실험군, 대조군 설정의 무작위화를 포함한 연구의 모든 것을 미리 계획하여 통제하는 randomized clinical trial (RCT), 그리고 이제까지의 관련 연구 문헌들의 근거를 체 계적으로 정리하는 체계적 고찰연구(systematic review) 나 관련 분야에 저명한 연구자가 체계적으로 문헌을 검 색하고, 이를 분류하여 통계적인 가중치를 주어 통합분 석을 하는 메타연구(meta­analysis)까지의 거대한 삼각 형을 이루고 있다. 관심을 갖고 있는 임상 술식에 대해서 삼각형의 상위 연구가 얼마나 많이 나와 있는지에 따라 그 술식이 근거에 기반한 치료(evidence­based treat­

ment)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Maeda 등5은 하악 전치부만 남은 모형에서 보철 설계

플란트의 도움을 얻는 융합 국소의치 임상술 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를 지칭하는 용어 들을 문헌에서 살펴보면 2008년에 Chikunov 1이 implant­retained partial overdenture (IRPOD)로, 같은 해 Ohkubo 등2이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SRPD)로 소개하였다. 전자는 임플란트 를 의치의 탈락을 방지하는 유지에 초점을 맞춘 개념으 로, 의치의 지지는 전적으로 의치상에 의지하고 임플란트 에는 유지의 기능만을 기대하는 O­ring & ball 형태의 부 착장치를 사용할 경우에 한정되며, 후자는 locator와 같 은 부착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임플란트에서 의치를 지지 하는 역할도 함께 꾀할 수 있는 개념이다. 최근에는 술자 들이 선호하는 부착장치의 변화로 인해, 다수의 실험 및 임상연구 논문들에서 ISRPD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왔다.

Schneid 등3은 미국의 국소의치 교과서로 사용되는 Stewart’s Clinical Removable Partial Prosthodontics에 implant­assisted RPD (IARPD)라고 소개하고 있으며, 이 용어가 국소의치에 임플란트를 활용하는 경우를 모두 포 괄하기 때문에 IARPD가 가장 합리적인 용어라고 판단된 다. 다른 표현으로는 이후 문헌 중에 implant­enhanced RPD (IERPD)라고 지칭한 문헌4도 있었다.

IARPD의 임상적용 방식은 임플란트를 의치 하방에 두 며 부착장치를 통해 이를 활용하는 ‘의치하방 연결술식’

과, 임플란트 지지 상부 보철물을 서베이드금관의 형태 로 만든 후 그 위에 통상적인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서베 이드금관 활용술식’의 두 가지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다.

융합치료의 치료전략 중에서 부착장치를 통해 의치 하 방에서 임플란트의 도움을 받는 국소의치의 설계에는 후 방연장 무치악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국소의치의

(3)

Review Article

에 따른 유한요소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임플란트를 소구 치 부위보다는 최후방에 식립하여 국소의치 하방으로 위 치시키는 경우 교합력 지지(occlusal support)에 유리하 다고 보고하였다. Ohkubo 등6은 후방연장 국소의치모형 에서 #37, #47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의치상 하방 에 연조직을 1 mm (thin), 2 mm (thick)로 재현하여 #34,

#44, #36, #46 부위에 감지장치를 달아 5 kg의 하중이 가 해졌을 때의 압력을 분석하였다. 이 기계실험 결과 두 경 우 모두 ISRPD가 conventional RPD보다 연조직에 더 적 은 압력을 나타내었고, 최후방 임플란트 유무에 따라 연 조직에 전달되는 압력의 차이가 유의하게 있었다고 보고 하였다. RCT 바로 하단 수준의 임상 연구로서 같은 저자 들이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는데, 5명의 환자들 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ISRPD가 conventional RPD에 비해 교합력 측정장치(T­scan)에서 측정된 교합력이 증 가되었고, 교합력의 중심도 보다 후방으로 이동하였다고 하였다2. 후향적 의무기록 고찰과 몇 개의 증례를 함께 보고한 Grossmann 등7의 연구에서는 1996~2005년까지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 95.2%의 생존율을 보였다. Kaufmann 등8은 대학병원 내의 코호트에 포함 된 60명의 환자에서 8년 추적조사를 하였는데, 상악에서 임플란트 세 개가 실패해서 96.8%의 성공률을 보고하였 다. 메타분석에서는 임플란트 생존율이 97.1%로 치주질 환이 있는 자리에 식립한 고도 흡연자(heavy smoker)의 임플란트 두 개가 탈락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9. 최근에 보고된 체계적 고찰연구를 보면, 98개 임플란트 중에 한 개의 임플란트가 실패했으며, 대부분 보철적 문제가 발 생하는데, 치유지대주를 사용할 경우 표면거칠기가 증가 하거나 풀려서 파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10. 종합해 볼 때, 기계적 보철적 문제를 제외하고 는 다양한 연결장치를 통해 국소의치의 기능을 돕는 이 러한 융합치료에서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여타의 임플란 트 치료에서의 성공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판

단할 수 있다11.

2. 서베이드금관 활용술식

임플란트의 상부구조를 국소의치 삽입로와 각종 구성 요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설계로 제작하여 RPD의 지대치 로 활용하는 보다 적극적인 설계가 있다. 의치하방 연결 술식의 경우는 문헌 보고가 다양해 근거가 충분하다고 말 할 수 있으나, 서베이드금관 활용술식에 대한 문헌은 증 례보고들이 대부분으로 임상연구 결과는 많지 않다12­15. 하지만 후자에 대한 긍정적인 보고가 나오고 있으며, 보 험임플란트 적용이 되려면 상부 보철물 제작이 필수이기 때문에 후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III

융합국소의치 술식의 임상적 고려사항

1. 의치하방 연결술식: 임플란트 식립 시 고려 사항

1) 융합치료에서 유리한 임플란트의 선택과 식립 위치 후방연장 국소의치의 후방부에 임플란트를 심고 임플 란트를 금관 형태로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활용하는 것과 의치하방에 넣어 지지하게 하는 것을 유한요소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전자의 경우에서 임플란트가 받는 스트레 스와 변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후방에 심을 경 우 지지형식으로 이용하는 것이 힘의 분배에서 유리하다 고 하였다16. Verri 등17은 유한요소법을 통해 구치부에 심 은 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가 클수록 힘이 잘 분산된다 고 하였다. 따라서 임플란트의 선택은 더 굵고, 더 긴 임 플란트가 유리하며, 치조골이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큰 범주의 임플란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유한 요소분석에서는 임플란트를 심음으로써 conventional

(4)

RPD보다는 치조골에 가해지는 힘이 적어 골의 흡수가 적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는데, 하중을 버티는 임플란트의 가장 효과적인 위치는 교합력이 가장 큰 부위인 제1대구 치 근처라고 하였다18. 잔존치조골의 높이가 허용하는 범 위 내에서 가능한 위치를 선정해서 식립할 수 있다. 국소 의치나 피개의치 모두 이상적인 지지와 유지를 얻기 위 해서는, 지대 자연치아와 추가되는 임플란트가 최대한 넓은 네 개의 꼭지점을 가진 사다리꼴이 되어야 한다. 전 치부나 구치부, 또는 좌우측에 치우친 좁은 사다리꼴에 서는 멀리 떨어진 잔존치조제나 단일치아에 안좋은 영향 을 미치는 외팔보 효과(cantilever effect)가 생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에는 잔존 지대치의 위치에 따라 그 식립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19.

2) 사용할 수 있는 부착장치의 종류

국소의치 하방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지지를 얻는 치 료법을 적용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부착장치는 Shahmiri 와 Atieh11의 체계적 고찰연구를 살펴보았을 때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형태가 치유지대주(healing abutment)나 locator이며, 이 외에도 O­ring이나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치유지대주를 사용한다면 임플란트는 지 지의 역할만을 담당하고, locator는 지지와 유지를, ball &

O­ring은 유지를, magnet은 지지와 유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계적 보철적 문제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연결 장치를 통해 국소의치의 기능을 돕는 이러한 융합치료에 서 임플란트의 성공률은 여타의 임플란트 치료에서의 결 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외에 자석부착장치도 임플란트 국소의치에서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자석부착장치의 가장 큰 단점은 총의 치 증례에서 잔존치조골 흡수가 심해서 의치의 수평안정 성이 떨어질 때, 자석과 키퍼가 측방으로 조금만 편위되 어도 금방 유지력을 잃고 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임플 란트 국소의치에서는 잔존지대치가 있어 측방적 움직임

이 가로막혀서 총의치에 비해 작으므로, 유지력 저하는 크지 않다. 임플란트 주위 치은조직이 증식하는 것을 방 지하고, 부가적인 의치 안정성을 위해 자성키퍼가 달린 지대주는 3~5 mm 높이의 부품을 적용한다. 특히 장애 가 있거나 고령의 환자의 경우 자석 지대주가 유리하다.

O­ring 부착장치는 교체가 어렵고, 의치 제작에 필요한 교합간격 제한이 커서 최근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3) Healing abutment vs. stud-type abutment의 선택 기본적으로는 locator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de Freitas 등10의 2012년 문헌고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 플란트와 의치 사이에 완충이 안되면 치유지대주 풀림, 파절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추가 적으로 고려할 것은 환자의 의치 탈착능력인데, 임플란 트가 세 개보다 많으면 의치를 환자 본인이 탈거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지지부, 유지부로 구분하여 치유지대주와 locator를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전반적으로 환자의 연령이나 장애 여부 등의 의치탈착 가능도에 따 라 선택하여야 한다. 고령이나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자석 지대주를 사용할 수 있다. O­ring 부착장치는 교체 가 어렵고, 제작 시 요구되는 교합간격 조건이 높아서 사 용에 제한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는다.

4) Retentive element의 사용 시기와 권장되는 구성요소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에서 locator를 사용할 때에 추 천되는 부품은 1.5 lb로 가장 힘이 적은 파란색 또는 검은 색 기공용 부품을 새것으로 교체하면서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자 본인이 의 치를 얼마나 잘 장착 및 철거할 수 있는가이며, 치료실에 서 실제로 환자 본인이 직접 시연하도록 하여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강한 부품을 쓰면, 힘조절이 어려워 서 환자 본인이 센 힘으로 의치를 빼다가 클래스프가 휘

(5)

Review Article

거나 잔존 지대치에 위해한 힘이 가해질 위험이 있다.

2. 서베이드금관 활용술식: 국소의치 금속구 조물 설계 시 고려사항

부분무치악 증례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surveyed crown을 활용했을 때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때 서베이드 금관 및 국소의치 금속구조물의 설계에 대해서 문헌에서 명확하게 알려진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 다. 일반적인 치과 상식을 가진 수준에서 임상에 실제 적 용한 증례보고 혹은 유한요소 분석으로 평가한 보고들을 바탕으로 종합해보면, 기본적으로는 통상적인 국소의치 의 기본 개념들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 단된다. Chronopoulos 등15에 의하면 부분무치악이라는 상황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증례에 따라 다르게 적용 되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교합력이 임플란트 수복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레스트(rest) 등의 국소의치 구성요 소는 충분히 두껍게 설계하여야 한다.

IV

융합국소의치 술식의 예후와 임상적 고려사항

임플란트­지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부분 무치

학 환자의 예를 바탕으로 이러한 술식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1. 의치하방 연결술식 I (하악 양측성 구치부 결손부위에 임플란트-지지 가철성 국소 의치를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

20

하악 국소의치 재제작을 주소로 내원한 61세 남성 환자 로, 기존 의치는 적합도 및 유지력이 떨어져 있었고, 대 합치는 자연치아 전체가 남아 있었고, 국소의치 레진치 아가 마모되어 있었다. 기존 국소의치를 복제하여 수술 용 형판을 제작하고 좌우측 최후방 구치부에 임플란트 (TS III 5.0×7 mm; OSSTEM, Seoul, Korea) 한 개씩을 식립하여 치유지대주를 장착하였다. 상부에 국소의치를 제작하고 의치상 레진의 치유지대주 측방 부위를 공간을 부여하여 수직적 하중만 가해지도록 하여 치료를 마무리 하였다. 식립한 임플란트의 치유 양상은 Fig. 1과 같았 다.

최후방구치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stud type으 로 활용하였는데, 치료계획 시점으로 돌아가서 임플란트 를 2개만 식립해야할 경우 가장 좋은 선택이었는지 고려 해 볼 수 있다. ISRPD는 오래전부터 시도되어 왔고, 많 은 보고들이 있는 좋은 치료방법이다. 주어진 상황에서 후방연장 국소의치의 다양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

A B C

Fig. 1.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se.20 (A) Panoramic X-ray after implant placement. (B) Periapical view 5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and before the final denture delivery. (C) Periapical X-ray after 35 months after implant insertion. Reused from the article of Shin et al.20 (J Korean Acad Osseointegration. 2012; 4: 35-41) with original copyright holder's permission.

Ji-Man Park et al. : Consideration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Implantology 2015

(6)

법으로 이를 선택하였지만 대합치를 고려한다면 예후가 보장되지는 않을 수 있다. 임플란트 식립 직후에는 치조 골 상태가 좋았으나, 5개월 후의 최종 의치 장착 시에는 임플란트 주위골의 흡수가 관찰되었다. 이는 수술 후 임 시의치 사용 여부 및 기간과 임플란트 식립 당시 치조골 의 상태를 바탕으로 인과관계를 추론해볼 수 있다. 임플 란트 식립 후 4개월 2주간 치유지대주를 가장 낮은 것으 로 체결하고 기존 틀니를 재이장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후 5 mm 높이로 바꾼 후 최종 의치를 장착한 과거력이 있었고, 하악 좌측 치조골의 경우 발치 전에 이미 골수염 증상을 동반하여 좋지 않았다. 따라서 임플란트 식립 후 기존 의치 사용 과정에서 공간 부여를 하였지만 임플란 트에 해로운 힘이 가해졌던 것이 가장 큰 원인이며, 추가 적으로 처음 하악의 이를 뽑게 된 원인이 식립 부위 주위 의 만성 치주염으로, 수술 당시 골폭이 좁아 bony hous­

ing에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들어가지 못한 것도 골소 실에 영향을 준 요소였다고 생각된다. 35개월 후 관찰 결 과 특별한 불편감은 없었으나, 이 기간 동안 치유지대주 가 풀려서 내원한 적이 있었다. ISRPD의 장기적 평가에

관한 문헌을 보면 치유지대주의 풀어짐과 표면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만약 지지의 효과만을 노려야 해서 치유지대주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본체와 나 사가 2중으로 되어 있고, 나사산 개수가 충분한 2­piece 형의 치유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2. 의치하방 연결술식 II (국소의치의 유지암을 생략한 임플란트의 융합치료 증례)

21

치추질환으로 인해 #12, #11 및 상악 좌우측 대구치만 잔존하게 된 40세 여성 환자로서 Kennedy class III 증례 지만 전치부 상실 부위가 넓어 국소의치의 예후가 가장 좋지 않은 경우였다. 잔존한 전치 두 개에 명확한 cingu­

lum 레스트 시트(rest seat)를 형성하고, 임플란트를 잔 존 대구치의 치축, 즉 교합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자 임플란트 수술용 컴퓨 터가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좌우측 견치부에 식립하였 다. Locator 부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국소의치의 지지 와 유지를 증진시켰으며, 23개월 후 자연치와 임플란트 에서 임상적인 동요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

A

A B

C D

Fig. 2.

Claspless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se.21 (A) Panoramic X-ray after implant placement. (B) Periapical view 8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C) Periapical X-ray after 23 months after implant insertion. (D) Definite cingulum rest seats were prepared to prevent from unwanted labial force by denture. Reused from the article of Park and Park21 (J Digitalized Dent. 2014; 5: 54-61) with original copyright holder's permission.

Ji-Man Park et al. : Consideration fo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and Implant.

Implantology 2015

(7)

Review Article

전치부 modification 부위에 임플란트로 지지와 유지를 증진시켜 예후가 좋아졌지만, 두 개의 임플란트를 반대 측 전치부(#21~#23)에 surveyed bridge의 형태로 수복하 고, 좀 더 유리한 Kennedy class III의 통상적인 국소의치 나, 심미성을 위해서라면 회전삽입로를 가진 국소의치를 하는 치료선택도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11, #12는 순측 경사를 가진 전치이므로 치아 장축방향으로만 교합력이 전달되게 하기는 쉽지 않다. 즉 클래스프 생략으로 brac­

ing part가 사라져 잔존 지대치에 tipping force가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 전치부 설측에 명확한 레 스트 시트를 형성하였고, 국소의치 지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국소의치가 침하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식립하려 고 가상의 공간에서 수술 계획을 세운 뒤에 가이드를 제 작했다. 이를 이룰 수 있는 가장 전방 부위인 양측 견치부 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고, 국소의치를 넣고 뺄 때 loca­

tor 탈착 방향과 국소의치 탈착방향이 일치하는 것이 좋 은데, 국소의치 탈착 방향과도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다.

3. 서베이드금관 활용술식

만약 임플란트를 surveyed fixed bridge로 상부보철물 을 제작한 후 국소의치를 제작할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 에 대해 살펴본다면, 임플란트 선택에 있어서는 두 개 이 상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합치의 상태와 교합 평면의 평탄도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예후가 충분히 보 장된 경우에 시행하는 것이 좋다. 서베이드 금관 제작과 관련해서는 최근 지르코니아 재료의 선호도가 높아져서 서베이드 금관을 지르코니아로 제작할 수 있다.22 코발트 크롬 합금 재질의 하부구조 유도면과 서베이드금관의 해 당 지르코니아 접촉 부위 사이의 마찰력과 내마모도 차 이 때문에 문제가 생길 소지가 있다. 실제로 2007년 Marchack 등23의 증례보고를 보면, 지르코니아와 접한 금속프레임워크 부위의 마모를 잠재적인 위험요소로 강 조한 바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하겠

다. 국소의치의 설계와 관련해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에 서의 원칙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치주인대가 있 어 완충이 되는 자연치와 접하는 통상적인 국소의치와 달리 전적으로 임플란트 서베이드금관에 의지하는 증례 의 경우, 장기적인 기능력에 대해서 금속 구조물의 피로 파절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장기간 사용 시 국소의치 금속 하부구조의 파절에 대비하여, 레스트 시트의 깊이 와 레스트의 두께를 충분히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와 관련하여 Magne 등24은 임플란트 지대주와 상부보철 물을 레진 재료로 제작할 경우, 치주인대가 있는 자연치 아에서와 같은 정도의 완충효과(damping effect)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앞으로는 지르코니아에 폴리머 가 함께 들어간 합성재료도 서베이드 수복물이나 임플란 트 지대주의 재료로 조심스럽게 사용해 볼 수 있을 것이 라고 판단된다.

V

결 론

1. 지지를 위해 임플란트를 후방의 전략적 위치에 식립 하여 유리단 국소의치를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로 변화 시킴으로써 얻는 이점이 많다.

2. 최후방 자연치아에 인접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하면 자연치아 보존 및 클래스프 유지장치의 생략으로 인한 심미적 이점을 누릴 수 있다.

3.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수복물을 국소의치 하방에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의치 구성요소를 충분히 두껍게 설계해야 한다.

4. 이들 술식은 최근 근거 또한 뒷받침되고 있어 추천 되는 치료이다. 다만 정확한 치료계획과 꾸준한 유지관 리가 요구된다.

(8)

References

1. Chikunov I, Doan P, Vahidi F. Implant-retained partial overdenture with resilient attachments. J Prosthodont. 2008; 17: 141-148.

2. Ohkubo C, Kobayashi M, Suzuki Y, et al. Effect of implant support on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vivo assess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8; 23: 1095-1101.

3. Schneid T, Mattie P.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Phoenix RD, Cagna DR, DeFreest CF, eds. Stewart’s clinical removable partial prosthodontics. Chicago: Quintessence; 2008. p. 259-277.

4. Carpenter JF. Implant-assisted unilateral removable partial dentures.

Dentistry Today. Jan 2014 [cited 2015 Jun 11]. Available from: http://

digi.dentistrytoday.com/article/Implant-Assisted_Unilateral_Removable_

Partial_Dentures/1595223/189960/article.html

5. Maeda Y, Sogo M, Tsutsumi S. Efficacy of a posterior implant support for extra shortened dental arches: a biomechanical model analysis. J Oral Rehabil. 2005; 32: 656-660.

6. Ohkubo C, Kurihara D, Shimpo H, et al. Effect of implant support o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vitro assessment. J Oral Rehabil. 2007; 34: 52-56.

7. Grossmann Y, Levin L, Sadan A. A retrospective case series of implants used to restor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31-month mean follow-up results.

Quintessence Int. 2008; 39: 665-671.

8. Kaufmann R, Friedli M, Hug S, et al. Removable dentures with implant support in strategic positions followed for up to 8 years. Int J Prosthodont. 2009; 22: 233-241.

9. Grossmann Y, Nissan J, Levin L. Clinical effectiveness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trospective case evaluation. J Oral Maxillofac Surg. 2009; 67: 1941- 1946.

10. de Freitas RF, de Carvalho Dias K, da Fonte Porto Carreiro A, et al.

Mandibular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distal extension: a systematic review. J Oral Rehabil. 2012; 39: 791-798.

11. Shahmiri RA, Atieh MA. Mandibular Kennedy class I implant-tooth- borne removable partial denture: a systematic review. J Oral Rehabil.

2010; 37: 225-234.

12. Jang Y, Emtiaz S, Tarnow DP. Single implant-supported crown used as an abutment for a removable cast partial denture: a case report. Implant Dent. 1998; 7: 199-204.

13. Pellecchia M, Pellecchia R, Emtiaz S. Distal extension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connected to an anterior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0; 83: 607- 612.

14. Starr NL. The distal extension case: an alternative restorative design for implant prosthetic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1; 21: 61-67.

15. Chronopoulos V, Sarafianou A, Kourtis S. The use of dental implants in combination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a case report. J Esthet Restor Dent. 2008; 20: 355-364; discussion 365.

16. Pellizzer EP, Verri FR, Falcón-Antenucci RM,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retention systems on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associated with an osseointegrated implant. J Craniofac Surg.

2010; 21: 727-734.

17. Verri FR, Pellizzer EP, Rocha EP, et al. Influence of length and diameter of implants associated with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Implant Dent. 2007; 16: 270-280.

18. Cunha LD, Pellizzer EP, Verri FR, et al.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location of osseointegrated implants associated with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s. Implant Dent. 2008; 17: 278-287.

19. Zitzmann NU, Rohner U, Weiger R, et al. When to choose which retention element to use for removable dental prostheses. Int J Prosthodont. 2009; 22: 161-167.

20. Shin JH, Cho YE, Park JM, et al.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reatment on bilaterally edentulous posterior mandible: case report. J Korean Acad Osseointegration. 2012; 4: 35-41.

21. Park JM, Park EJ. Combination of implant and RPD in partial edentulous area: a case report. J Digitalized Dent. 2014; 5: 54-61.

22. Carracho JF, Razzoog ME. Removable partial denture abutments restored with all-ceramic surveyed crowns. Quintessence Int. 2006; 37:

283-288.

23. Marchack BW, Chen LB, Marchack CB, et al. Fabrication of an all- ceramic abutment crown under an exist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CAD/CAM technology. J Prosthet Dent. 2007; 98: 478-482.

24. Magne P, Silva M, Oderich E, et al. Damping behavior of implant-

supported restorations. Clin Oral Implants Res. 2013; 24: 143-148.

수치

Fig. 1.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case. 20 	(A)	Panoramic	X-ray	after	implant	placement.	(B)	Periapical	view	 5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and	before	the	final	denture	delivery.	(C)	Periapical	X-ray	after	35	months	after	implant	 ins

참조

관련 문서

P.( Kidney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of prosthesis using wide two implant versus standard three implant on mandibular

For an exacting investigation of the distance from root apex to outer surface of buccal cortical bone of mandibular first molar with 2R2C (2 separate

Quality life assessment of bone-anchored fixed partial denture patients with unilateral mandibular distal-extension edentulism.. Kent G, Johns R..Effects

A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of gold-tite square abutment screws in cement-retained implant restorations.. An abutment screw loosening study of a Diamond

Longitudinal study on torque transmitted from a denture base to abutment tooth of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circumferential clasps..

A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of fixed partial dentures (FPDs) prepared by dental school students: a retrospective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 A connected multigraph has an Euler path A connected multigraph has an Euler path A connected multigraph has an Euler path A connected multigraph has an Euler path (b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