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간세포암 환자에서 경동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간세포암 환자에서 경동맥"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1999;33:815 - 822

10)

접수: 1998년 8월 5일, 승인: 1998년 11월 19일

연락처: 정숙향, 139-706,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215-4, 원자력병원 내과 Tel: (02) 974-2501, Fax: (02) 972-3093

※ 본 논문의 요지는 1997년 제36차 대한소화기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음.

간세포암 환자에서 경동맥 Lipiodol- 항암제 투여술 후 합병증에 대한 전향적 연구

원자력병원 내과, 진단방사선과*

김경현・송은정・최병국・김성배・양정훈・김성환・정숙향 한철주・김유철・김창민・이진오・강태웅・최두환*・이병희*

P r o s p e c t i v e An a l y s i s o f Co m p li c a t i o n s o f Tra n s a rt e r i a l Ch e m o l i p i o d o li z a t i o n i n P a t i e n t s w i t h H e p a t o c e l lu la r Ca r c i n o m a

Ky u n g H y u n Ki m , M.D., E u n J e on g S on g , M.D., B y u n g Ko o k Ch oi , M.D., S e o n g B a e Ki m , M.D., J e o n g H o o n Ya n g , M.D., S e o n g H w a n Ki m , M.D.,

S o o k -H y a n g J u n g , M.D., Ch u l J u H a n , M.D., Yo u Ch e o u l Ki m , M.D., Ch a n g -Min Ki m , M.D., J h i n Oh Le e , M.D., Tae Wo o n g Ka n g , M.D.,

D u H w a n Ch o e , M.D.* a n d B y u n g He e Le e , M.D.*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Diagnostic Radi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Aims: Transarterial chemolipiodolization (TAC) is a therapeutic option for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ypes and frequencies of post-TAC complications,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prophylactic antibiotics,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Methods: One hundred thirty five patients treated with TAC were analyzed prospectively. The patients' status was evaluated daily during the admission period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4 weeks by weekly phone interview. Results: Complications were fever in 38%, epigastric pain in 33%, right upper quadrant (RUQ) pain in 24%, nausea and vomiting in 13%, abdominal fullness in 11%, acute cholecystitis in 1.5%, liver abscess in 0.7% and hepatic failure in 0.7% of the 135 pati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were the amount of infused lipiodol and the number of treatment for fever and the location and the number of tumors for RUQ pain. Conclusions: Various post-TAC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70.4% of the patients.

However, infectious complications were rare, and thus prophylactic antibiotic treatment is not necessary. Careful clinical observation and early symptomatic management for fever and abdomina pain are desirable. (Kor J Gastroenterol 1999;33:815 - 822)

Key Words: Hepatocellular carcinoma, Transarterial chemolipiodolization, Complication

(2)

816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6 호 1999

서 론

간세포암은 우리 나라 성인의 악성 신생물에 의 한 사망 원인 중 남자에서는 1위, 여자에서는 2위를 차지하는 암으로 사망률이 인구 100,000명당 21.4명 에 이른다.1 대부분의 환자에서 간경변증이 동반되 며, 이미 진행된 병기에 진단되어 수술적 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환자는 전체의 10-30% 내외에 불과 한 실정이다.2-4 절제가 불가능한 간세포암의 치료로 널리 시행되는 경동맥 lipiodol-항암제 투여술(transar- terial chemolipiodolization, 이하 TAC라 약함)은 비 록 장기적인 생존율을 의미 있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5-8 적어도 동물 실험 및 임상 적용 예에서 종양 괴사 효과는 인정되 고 있다.5,8-10

한편 TAC 후에는 다양한 합병증들이 관찰되는데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삶의 질이 저하되며, 때로는 치료가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중단하게 하 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TAC에 관련된 문헌 고찰을 해보면 주로 시술의 방법, 치료 효과, 생존율 및 예 후인자 등에 중점을 둔 연구들이 많았고9,11-14 시술 후 합병증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나 전향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알 려진 발열과 관련된 위험인자 및 감염성 합병증의 빈도에 근거한 예방적 항생제요법의 필요성 여부와 복통의 원인 중 급성 담낭염이나 소화성 궤양의 빈 도에 대해서는 잘 밝혀져 있지 않다.15-18

이에 저자들은 간세포암 환자에서 TAC 후 발생 하는 합병증의 종류 및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 감염 성 합병증의 빈도에 따른 예방적 항생제요법의 필요 성을 확인하며, 합병증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1997년 5월 1일부터 1997년 10월 31일까지 원자 력병원에서 절제 불가능한 간세포암으로 진단받고 TAC를 받은 1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들의 임상적 특징 및 종양의 방사선학적 특징은 Table 1로 나타내었다.

2. 연구 방법

TAC 시술은 Seldinger 방법으로 대퇴부동맥을 천 자 후 복강 동맥 또는 상장간막동맥을 통한 혈관 조 영술을 시행하여 간세포암의 크기, 형태, 위치, 혈류 분포, 혈전 유무와 문맥 순환을 확인한 후에 Yashiro 5F 도관(Terumo, Japan)을 좌, 우 간동맥 혹은 고유 간동맥에 위치시키거나, 필요한 경우 초선택적으로 3F 미세도관(Cook, Denmark)을 종양의 영양 동맥에 위치시켜 항암제와 lipiodol을 혼합한 현탁액을 서서 히 주입하였고, 시술 후 천자 부위는 모래주머니로 8 시간 이상 압박하여 지혈하였다. 사용된 lipiodol의 양은 1-15 mL (평균 5.29 mL)이었으며, 사용된 항암 제는 doxorubicin (30 mg 131예, 60 mg 1예), mito- mycin C (7 mg 1예, 10 mg 131예), cisplatin (50 mg 1예)이었다(131예에서 doxorubicin과 mitomycin C를 같이 사용).

합병증으로서 발열, 우상복부 및 심와부 동통, 구 토, 오심, 출혈, 마비성 장폐색, 간부전, 담낭염, 간농 양, 폐색전, 서혜부 혈종 등의 목록을 만들고 매일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135)

Clinical characteristics Numbers Age (range, median)

Sex

Male:Female Etiology

HBV:HCV:Alcoholic Child-Pugh class

A:B:C Okuda stage

I:II:III Tumor location

Left:Right:Bilateral Vascular invasion

None:LPV:RPV:MPV

22-78, 50 109:26 111:14:10

83:43:9 81:49:5 22:77:36 96:7:20:12 LPV, left portal vein; RPV, right portal vein;

MPV, main portal vein.

(3)

김경현 외 13인. 간세포암 환자에서 경동맥 Lipiodol-항암제 투여술 후의 합병증 817

문진, 신체검사 및 필요시 혈액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의 발생 여부와 정도를 전향 적으로 관찰하였다. 퇴원 후에는 매주 환자 및 보호 자와의 전화 통화에 의해 합병증 발생 여부를 시술 후 4주째까지 확인하였다.

액와부 체온으로 38℃ 이상의 발열이 24시간 이 상 지속되면 문진 및 신체검사를 통하여 감염의 증 거를 찾고자 하였으며 그 증거를 찾기 어려운 경우 일반혈액검사, 요검사, 흉부 X-선검사, 혈액배양검 사를 시행하고 항생제 투여 없이 관찰하였다. 그 이 후 72시간 이상 발열이 지속되면 다시 일반혈액검 사, 요검사, 흉부 X-선검사, 혈액배양검사, 복부 초 음파를 시행하였다. 상기 검사 및 임상적으로 감염 의 가능성이 없어 보이면 아세트아미노펜 600 mg을 8시간 간격으로 투여하면서 1-2일간 관찰 후 퇴원하 도록 하였다. 경과 관찰 중 감염의 증거가 있거나 감 염이 의심될 경우(3예, 2.2%)는 항생제(cefotaxime과 tobramycin, 1예에서 metronidazole 추가)를 감염의 증거가 없어질 때까지 투여하였다.

심와부 동통이 발생한 경우 3일간의 제산제 및 H2 길항제 경구 투여를 시행하여 증상의 호전이 있는 경우 퇴원하도록 하였고,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우상복부 동통이 발생한 경우 시술 후 3일 이상 동통이 지속되면 복부 초음파를 시행하여 급성 담낭 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이는지 확인한 후 급성 담낭염 의 증거가 있는 경우 금식 및 항생제요법(cefotaxime 과 tobramycin을 담낭염의 증거가 없어질 때까지 투 여)을 시행하였으나, 급성 담낭염의 증거가 없는 경 우 진통제를 투여하여 증상 완화를 도모하였다.

3. 통계적 분석

통계 처리는 윈도우즈용 통계 프로그램인 SPSS 로 하였고 통계학적인 의의는 p값이 0.05 미만인 것 으로 정의하였다. 합병증 발생에 관여하는 위험인자 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단변량 분석으로 종양의 면 적(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종양이 간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는지의 여부), 종양의 위치(좌엽성, 우 엽성, 혹은 양엽성), Child-Pugh 분류, 시술의 횟수 (첫 시술인지 2회 이상의 시술인지 여부), 병인,

Okuda 병기, 성별, 혈관 침범 같은 범주형 변수의 경 우 chi square test를 시행하였고, 연령, 종양의 개수, 종양의 직경, 항암제와 lipiodol의 주입량 같은 연속 변수의 경우 simple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다변량 분석으로는 단변량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변수에 대해 forward stepwise mul- 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T A C 후 합병증의 종류 및 빈도

TAC 후 생기는 합병증의 종류 및 빈도를 살펴보 면, 발열이 51예(37.8%), 심와부 동통이 45예(33.3%), 우상복부 동통이 33예(24.4%), 오심 및 구토가 18예 (13.3%), 복부 팽만감이 15예(11.1%), 복수 4예(3.0%), 서혜부 혈종 3예(2.2%), 간성 뇌증 2예(1.5%), 급성 담낭염 2예(1.5%), 마비성 장폐색 1예(0.7%), 간농양 1예(0.7%), 급성 간부전에 의한 사망이 1예(0.7%)였 으며 그 외에 혈청 amylase치, aminotransferase치, bilirubin치의 유의한 상승, 시술과 연관된 상부위장 관 출혈은 없었고, TAC를 시술받은 환자의 70.4%에 서 한 가지 이상의 합병증을 경험하였다(Table 2).

발열의 지속 기간은 1에서 9일로 평균 1.2일이었

Table 2. Frequencies of Post-TAC Complications

Complications Numbers (%) Fever

Epigastric pain RUQ pain

Nausea and vomiting Abdominal fullness Ascites

Inguinal hematoma Hepatic encephalopathy Acute cholecystitis Paralytic ileus Liver abscess Acute hepatic failure Total

51 (37.8) 45 (33.3) 33 (24.4) 18 (13.3) 15 (11.1) 4 ( 3.0) 3 ( 2.2) 2 ( 1.5) 2 ( 1.5) 1 ( 0.7) 1 ( 0.7) 1 ( 0.7) 95 (70.4) RUQ, right upper quadrent.

(4)

81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6, 1999

고, 심와부 동통의 지속 기간은 1에서 14일로 평균 1.4일이었다. 심와부 동통이 발생했던 45예 중 30예 에서 경험적 항궤양제 사용으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 고, 증상의 호전이 없어 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한 나머지 15예 중 급성 위, 십이지장궤양이 증 명된 예는 없었고 대부분이 미란성 위염 등의 소견 을 보였다. 우상복부 동통을 호소하였으나 급성 담 낭염의 증거가 없는 환자들에서는 meperidine 등의 투여로 증상 호전이 있었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복 수와 간성 뇌증을 보인 6예는 모두 시술 전 Child- Pugh 분류에서 B 이상이었고 간부전에 의한 사망 예는 Child-Pugh 분류에서 C이며 미만성 간암인 예 이었다.

2. 감염성 합병증의 빈도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였던 경우는 전체 135예 중 담낭염이 2예, 간농양이 1예로 2.2%였으며 발열로 인해 혈액배양 검사를 시행한 36예에서 미생물이 동 정된 경우는 1예도 없었다. 급성 담낭염이 생긴 2예 중 1예는 시술 중 lipiodol-항암제 혼합액이 담낭 동 맥으로 역류하여 발생한 예로 시술 후 단순복부촬영

에서 담낭벽에 lipiodol 침착이 확인되었다. 간농양이 발생한 1예는, 시술 후 3주경에 발열을 주소로 응급 실로 내원하여 복부 초음파 시행 결과 기존의 간세포 암 부위에 발생한 농양으로 진단되어 경피적 배농술 과 항생제요법을 병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되었으며 농양의 세균 배양 결과 대장균이 동정되었다.

3. 합병증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

가장 흔한 합병증인 발열 및 복통의 발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인 인자들은, 발열의 경우 단변량 분석에서 lipiodol의 주입량과 시술의 횟수이었다. lipiodol의 주입량이 많을수록 발열의 빈도가 높았으며, 처음 시행받은 환자가 두 번 이상 시행받은 환자에 비해 발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 결과로는 lipiodol의 주입량 만이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다(Table 3). 심와부 동통의 발생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된 위험 인 자는 찾을 수 없었고, 우상복부 동통의 발생과 관련 된 위험인자는 단변량 분석에서 종양의 위치 및 종 양의 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간우엽에 위 치하거나 종양의 수가 많을수록 우상복부 동통의

Table 3.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for Fever and Risk Factors

Risk factors Univariate (p value) Multivariate (p value) Categorical variables

Sex Etiology Child-Pugh class Okuda stage Tumor area Tumor location Vascular invasion Number of TAC courses Continuous variables

Age

Tumor number Tumor diameter Amount of lipiodol Amount of doxorubicin Amount of mitomycin C Amount of cisplatin

0.60 0.33 0.63 0.84 0.05 0.89 0.35 0.03 0.25 0.22 0.01

<0.01 0.70 0.80 0.80

0.37

0.57

<0.01

(5)

Kim et al. Complications of Transarterial Chemolipiodolization in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819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분석에 서는 종양의 위치가(간우엽에 발생한 종양의 경우) 우상복부 동통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Table 4).

고 찰

간세포암에서 TAC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으로 는 발열, 심와부 및 우상복부 동통, 간경색, 간파열, 간내 담관 손상, 간농양, 패혈증, 상부위장관 출혈, 복수, 간성 뇌증, 오심 및 구토, 서혜부 혈종, 담낭 경색, 비장경색, 폐색전, 척수동맥색전, 간부전 등이 보고되어 왔다.5,12-14 프랑스의 간세포암치료연구회5 에 의하면 Gelfoam을 사용한 148예의 연구에서 구 토 57%, 복통 55%, 발열 49%, 혈청 총 bilirubin치 상승 32%, 혈청 aminotransferase치 상승 31%, 복수 4%, 위장관 출혈 3%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었고, 그 외 11예의 전이암과 4예의 담관암종을 포함한 362 명의 연구에서 간기능 저하 17%, 색전술 후 증후군 15%, 급성 간부전, 패혈증, 상부위장관 출혈, 폐색 전, 담낭경색 등이 각각 2%라고 보고하였으며,

Gelfoam을 사용한 170예의 연구에서 심와부 및 우 상복부 동통 51%, 혈청 aminotransferase치 상승 50%, 발열 41%, 고혈당 18%, 혈청 amylase치 상승 5%, 간농양 3%, 혈복강 및 식도정맥류 출혈이 각각 1%라고 보고하였다.12,13 또 전이암을 포함한 314예 의 연구에서 간농양 2%, 간부전 1% 등으로 보고하 였다.14 본 연구와 이전 연구와의 차이점은, 이전 연 구들은 대부분 Gelfoam을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항 암제의 종류 및 용량에 차이가 있고, 이전 연구들 중 일부에는 원발성 간세포암 외에 전이암의 경우도 포 함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로도 보고 된 바 없는 새로운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고 빈도 또한 이전 연구들과 큰 차이가 없었다.

가장 흔한 합병증인 발열의 경우, 전체의 37.8%

에서 경험하였지만 지속 기간은 평균 1.2일이었고 1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없었다. 발열의 원인은 대부분의 경우 간세포암 조직의 괴사에 동반된 흡수 열로 생각되고,12,18 실제 감염성 합병증의 발생 빈도 는 2.2%에 불과하였다. 발열과 관계된 인자들의 단 변량 분석에서 lipiodol의 주입량이 많을수록, 또 처 Table 4.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for RUQ Pain and Risk Factors

Risk factors Univariate (p value) Multivariate (p value) Categorical variables

Sex Etiology Child-Pugh class Okuda stage Tumor area Tumor location Vascular invasion Number of TAC courses Continuous variables

Age

Tumor number Tumor diameter Amount of lipiodol Amount of doxorubicin Amount of mitomycin C Amount of cisplatin

0.49 0.49 0.56 0.70 0.44

<0.01 0.33 0.18 0.11 0.03 0.29 0.20 0.55 0.80 0.82

<0.01

0.62

RUQ, right upper quadrant.

(6)

820 대한소화기학회지 : 제 33 권 제 6 호 1999

음으로 시술을 받은 예에서 두 번째 이상인 경우보 다 발열이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시술인 경우에 두 번째 이상에 비해 일반적으로 종 양 조직의 괴사가 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열의 빈도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어 보이나 다변량 분석에 서 lipiodol 주입량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 로 나타났다. lipiodol의 주입량이 많은 경우와, 종양 이 있는 간분절에만 선택적으로 혼합액을 주입한 경 우에 종양 괴사율이 더 높지만, 동물 실험에서 정상 간조직에 만성 염증성 세포 침윤을 나타내는 조직 손상은 주로 lipiodol의 색전 효과로 인해 발생한다 는 보고와 과량의 lipiodol이 주입된 경우 lipiodol이 정상 간조직에 축적되어 손상을 가져온다는 보고가 있다.19,20 Lipiodol의 주입량이 많을수록 종양 괴사 효과가 증대되므로 가능한 한 많은 양의 lipiodol 주 입이 필요하다. 그러나 과량의 lipiodol은 정상 간조 직 손상과 관련 있으므로 lipiodol의 주입량 결정시 종양의 크기, 종양 조직 내의 신생 혈관 발달의 정 도, 종양의 수와 분포, 간조직의 위축 또는 비대 정 도, 간기능 등을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하고, 가능하 면 종양이 있는 분절에만 선택적으로 주입하는 방법 을 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Lipiodol 주입량의 기준으로, 종양 직경이 5 cm 이하인 경우 lipiodol의 양(mL)은 종양 직경(cm)보다 많게 주입하고, 종양 직경이 5 cm을 초과할 경우는 lipiodol의 양을 종양 직경보다 약간 적게 하고 최대 10 mL로 한다고 제 시하였고, lipiodol 주입량의 상한선을 20 mL로 함이 좋다고 하였다.12,18 그러나 실제로 시술시 경험에 따 르면 종양의 특성에 따라 lipiodol 주입량은 환자마 다 차이가 나므로 일률적으로 lipiodol 양을 정하기 는 어려울 것이다.

TAC 후 생긴 위, 십이지장 궤양 및 위장관 출혈 의 빈도는 이전 연구에서 위장관 출혈 3%, 상부위장 관 출혈 2%, 식도정맥류 출혈 1%, 위궤양 2%, 십이 지장궤양 1%라고 각각 보고하였다.5,12,13,21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심와부 동통이 있던 45예에서 위, 십 이지장 궤양이 확인된 경우는 없었고 시술 후 4주경 에 위정맥류 출혈이 확인된 1예가 있었으나 출혈과 시술과의 기간이 길어 연관성은 희박하리라 생각된 다. TAC 후 생기는 위, 십이지장 합병증은 시술 과

정에서 간동맥으로부터 기시하는 우위 동맥 및 위십 이지장 동맥으로 lipiodol-항암제 혼합액이 역류되어 발생하고, 이는 위장관점막세포에 대한 항암제의 직 접적인 독성으로 인해 점막세포의 괴사 및 세포 증 식의 억제로 점막 장벽의 변화를 초래해 손상에 대 한 저항력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2 따라 서 도관을 초선택적으로 삽입하여 시술하거나 시술 시 투여 약제의 역류를 최소화하도록 도관 위치 및 약제 주입 과정을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그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우상복부 동통의 경우 33예에 서 경험하였지만 실제 복부 초음파를 시행한 결과 담낭염의 소견을 보여 항생제요법을 시행한 경우는 2예였다. 그 중 1예는 시술 중 lipiodol-항암제 혼합 액이 담낭 동맥으로 역류하여 시술 후 담낭벽에 lipiodol 침착이 확인된 예였다. 일반적으로 TAC 후 생기는 우상복부 동통은 담낭염보다는 시술 후 종양 조직의 괴사로 인한 허혈성 동통으로 생각된다.12

급성 간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 1예는 시술 전 Child-Pugh 분류에서 C이고 미만성 간암인 환자로 시술 후 간부전이 진행하여 시술 후 19일째에 사망 하였으며, 시술 전 간 상태가 이미 비대상성인 상태 에서 TAC로 인한 비종양조직의 허혈성 괴사가 간부 전을 악화시킨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경우는 TAC 시술시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 135예 중 담낭염과 간농양을 포함한 감염성 합병증은 3예에 불과했고 3예 모두 성공적으로 치료 되어 패혈증 등으로 진행되지는 않았다. 감염성 합 병증에 대비한 예방적 항생제요법에 대하여 이전 연 구들을 살펴보면, amoxicillin-clavulanic acid와 me- tronidazole을 시술 1일 전부터 8일간 투여하였거나 3세대 cephalosporin 혹은 quinolone을 7일간 투여하 였으며,5,7 몇몇 연구에서는 시술 후 감염성 합병증이 비교적 흔하고 예방적 항생제요법으로 그 빈도를 줄 일 수 있으므로 예방적 항생제요법이 필요하다고 주 장하였다.14-17 그러나 다른 연구18에서는 시술 후 발 열의 원인은 균혈증보다는 종양 조직의 괴사 때문이 라고 했다. 본 연구 결과에서도 감염성 합병증의 빈 도가 매우 낮고 또한 감염성 합병증이 발생했다 하 더라도 발생 이후에 적절한 항생제 투여를 하면 성 공적으로 치료되는 것으로 보아 일반적으로 TAC 시

(7)

김경현 외 13인. 간세포암 환자에서 경동맥 Lipiodol-항암제 투여술 후의 합병증 821

술 전 예방적 항생제요법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Gelfoam을 투여하는 경우에는 허 혈성 괴사의 정도가 더 심하고 Gelfoam을 조작하는 과정이 추가되므로 예방적 항생제요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따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간세포암에서 TAC는 비록 생존율 향상에 대하여는 논란이 있지만 우수한 종양 괴사 효과로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뿐만 아니라 수술 전 보조 요법으로도 이용되며,10 주문맥 침범이 있는 경 우에도 시술 전 간기능 보유 정도와 측부 혈관 발달 의 정도에 따라 비교적 안전하게 시술될 수 있다.23 본 연구 결과 시술 후 흔한 발열이나 복통에 대하 여 감염의 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나, 대부분 조기에 해열제나 진통제를 투여하여 증상의 완화를 도모하는 것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치료 효과가 좋을 경우 환자가 계속적인 시술을 받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목적: 간세포암은 진행된 병기에 발견되는 경우 가 많아 경동맥 lipiodol-항암제 투여술이 널리 시행 되고 있다. 저자들은 TAC 후 발생하는 합병증의 종 류, 빈도 및 예방적 항생제요법의 필요성을 확인하 고, 합병증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5월부터 10월까지 원 자력병원에서 경동맥 lipiodol-항암제 투여술을 받은 135예의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분 석하였다. 합병증의 종류와 빈도를 확인하고 발열 및 우상복부 동통의 경우 혈액검사 및 방사선학적 검사 등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고, 심와부 동통 이 지속되면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통계 처리는 각각의 위험인자에 대해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합병증은 발열 38%, 심와 부 동통 33%, 우상복부 동통 24%, 오심 및 구토 13%, 복부 팽만감 11%, 담낭염 1.5%, 간농양 0.7%

이었다. 심와부 동통이 지속되어 상부위장관 내시경 을 시행한 예 중 궤양이 확인된 경우는 없었다. 통계 적으로 유의한 인자들을 보면, 발열에 대해서는 lipiodol의 용량, 시술 횟수였고, 우상복부 동통에 대

해서는 종양의 위치, 종양의 개수였다. 결론: 시술 후 합병증은 비교적 흔하지만 실제 감염의 발생은 매 우 적어서 예방적 항생제요법은 필요하지 않고 주의 깊은 임상적 관찰로 충분하며 조기에 대증요법으로 증상 완화를 도모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색인단어: 간세포암, 경동맥 lipiodol-항암제 투여술, 합병증

참 고 문 헌

1. 대한민국 통계청. 사망 원인 통계 연보 1997;17:20- 33.

2. 양진모, 양시영, 이상헌 등. 원발성 간암 환자에 대한 경도관간동맥화학색전술과 병용한 전신적 FAM 화학 요법의 치료 효과. 대한내과학회지 1991;41:43-52.

3. 이정애, 강윤구, 김창민, 이진오, 강태웅. 원발성 간세 포암 환자에 대한 AP (Doxorubicin, Cisplatin) 복합 화학요법의 치료 효과. 대한암학회지 1997;29:103- 107.

4. 김성수, 이창돈, 최상욱 등. 간암 환자에서 간동맥 색 전술 후 예후 및 예후인자. 대한소화기학회지 1997 30:72-80.

5. Groupe d' Etude et de Traitement du Carcinome Hépatocellulaire. A comparison of lipiodol chemo embolization and conservative treatment for un 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N Engl J Med 1995;332:1256-1261.

6. Savastano S, Feltrin GP, Neri D, et al. Palliative treat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transca theter arterial embolization. Acta Radiol 1993;34:

26-29.

7. Bronowicki JP, Vetter D, Dumas F, et al. Transca theter oily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Cancer 1994;74:16-24.

8. Ikeda K, Kumada H, Saitoh S, Arase Y, Chayama K. Effect of repeated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 tion on the survival time in patients with hepato cellular carcinoma. Cancer 1991;68:2150-2154.

9. Oi H, Kishimoto H, Matsushita M, Katsushima S Tateishi H, Okamura J. Antitumor effect of trans

(8)

822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Vol. 33, No. 6, 1999

catheter oily chemo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ssessed by computed tomography: role of iodized oil. Semin Oncol 1997;24(suppl 6):S6-56 S6-60.

10. Harada T, Matsuo K, Inoue T, Tamesue S, Inoue T Nakamura H. Is preoperative hepatic arterial chemo embolization safe and effectiv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nn Surg 1996;224:4-9.

11. 이창형, 권영오, 김성국, 최용환, 정준모. 간세포암에 대한 간동맥 색전술 후 생존율에 관여하는 인자. 대한 소화기학회지 1996;28:57-65.

12. 박재형, 정진욱, 한준구 등. 간암화학색전요법의 합병 증에 관한 고찰.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31:839- 845.

13. Farinati F, De Maria N, Marafin C, et al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in cirrhosis:

survival, prognostic factors, and unexpected side effects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 tion. Dig Dis Sci 1996;41:2332-2339.

14. Berger DH, Carrasco CH, Hohn DC, Curley SA Hepatic artery chemoembolization or embolization for primary and metastatic liver tumors: post-treat ment management and complications. J Surg Onco 1995;60:116-121.

15. Reed RA, Teitelbaum GP, Daniels JR, Pentecost MJ Katz MD. Prevalence of infection following hepatic chemoembolization with cross-linked collagen with administration of prophylactic antibiotics. J Vasc Interv Radiol 1994;5:367-371.

16. Tarazov PG. Hepatic chemoembolization: are pro phylactic antibiotics necessary? J Vasc Interv Radio

1995;6:658-659.

17. Sternlicht M, Daniels JR, Sales SF, Daniels AM Effect of antimicrobial protection on tolerance to hepatic chemoembolization with a fibrous collagen carrier. Radiology 1989;170:1067-1071.

18. Castells A, Bruix J, Ayuso C, et al. Transarteria embolization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ntibio tic prophylaxis and clinical meaning of postembo lization fever. J Hepatol 1995;22:410-415.

19. Matsuo N, Uchida H, Sakaguchi H, et al. Optima lipiodol volume in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 bolo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study based on lipiodol accumulation patterns and histopa thologic findings. Semin Oncol 1997;24(suppl 6):S6- 61-S6-70.

20. 문태용, 이석홍, 심문섭, 조 몽, 김창원, 김 석. 토 끼 고유간동맥에 주입한 Adriamycin과 Cisplatin- Lipiodol 유상액에 의한 간손상에 관한 연구. 대한소 화기학회지 1998;31:73-81.

21. Chuang VP, Wallace S, Stroehlein J, Yap HY, Pat YZ. Hepatic artery infusion chemotherapy: gastro duodenal complications. Am J Roentgenol 1981;137:

347-350.

22. Wells JJ, Nostrant TT, Wilson JAP, Gyves JW Gastroduodenal ulcerations in patients receiving selective hepatic artery infusion chemotherapy. Am J Gastroenterol 1985;80:425-429.

23. 김주성, 최일주, 이효석, 정진욱, 박재형, 김정룡. 주문 맥이 폐쇄된 간세포암 환자에서 간동맥 색전술의 안 전성과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1996;28:641-647.

수치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135)
Table 2. Frequencies of Post-TAC Complications
Table 3.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for Fever and Risk Factors

참조

관련 문서

[r]

[r]

지방의회의 자주입법기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현행법상 제약되어 있는 조례제정 권의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지방자치법 제15조 단서에

본 연구는 무용교육을 받은 유아와 무용교육을 받지 않은 유아의 두 집단 간 사 전,사후검사를 비교하여 창의성 개발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유아 무용교육이 창의

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수행도와 관련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다 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인식도,수술 전 감염 여부 확인 후

대부분의 난소종양은 초음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일부 연구자들은 초음파의 형태학적 지수를 통해 난소종양에서 악성의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 자 하였다. 15

치과 수술 전 항균제로 구강 내를 소독하는 것은 수술 후 감염의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이는 일시적으로 구강내 세균을 제거하여 상주균총의 수준을 낮춤으로써

이상의 연구결과 수술 후 자가 통증조절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수술 전 체계적 인 자가 통증조절 장치에 관한 교육을 실시 한 후에 환자의 자가 통증조절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