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화상 후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및 심한 패혈증의 발생과 평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중화상 후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및 심한 패혈증의 발생과 평가"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8

중화상 후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및 심한 패혈증의 발생과 평가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일반외과

박 원 철․박 동 은․이 광 만

The Incidence and Assessment of Multiple Organ Dysfunction and Severe Sepsis in Major Burn

Won Cheol Park, M.D., Dong Eun Park, M.D. and Kwang Man Lee, M.D.

Department of Surgery,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 Korea

Backgrounds: Multiple organ dysfunction (MOD) and severe septic shock frequently occur in major burn, and are critical end point of progn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of development of MOD and septic shock in major burn.

Methods: 58 patients treated after major burn (≥25% of total body surface area) between January 1993 and March 2000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Five systems defined MOD syndrome:

1) the respiratory system (PO

2

/FiO

2

ratio); 2) the cardiovascular system (pressure-adjusted heart rate); 3) the renal system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4) the hepatic system (serum bilirubin concentration); 5) the hematologic system(platelet count). Maximal scores for each variable were summed to yield a multiple organ dysfunction scor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MOD (cumulative MOD score ≥6) and severe septic shock were evaluated.

Results: MOD developed in 9 (16%) and severe sepsis or septic shock developed in 12 (21%) of 58 patients. Both were associated with size of total burn and size of full-thickness burn. MOD was related to the length of treatment in intensive care unit and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D score and septic shock (p=0.003).

Conclusions: MOD and severe sepsis are related to the size of burn and size of full-thickness burn. MOD is related to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Objective assessment of the severity by MOD score may predict survival in patients with major burn.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Major burn, Multiple organ dysfunction (MOD), Severe sepsi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책임저자:이광만, 전북 익산시 신용동 344-2, 우편번호: 570-711,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일반외과 Tel: 063-850-1208, Fax: 063-855-2386

이 논문은 1999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서 연구됨.

(2)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서 론

화상환자의 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중화상으로 사망하는 환자는 적지 않다. 화상환자 에서 폐렴 및 창상 패혈증이 사망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창상감염에 의한 패혈증과 폐렴 이 결국 사망에 이르는 기전은 다발성 장기기능부 전 및 패혈성 쇼크이다. 중화상에서 어떤 경우는 조기에 사망하는 경우가 있고, 또 다른 경우는 폐 렴 및 다른 장기의 부전과 같은 많은 합병증을 동 반하고 장시간 중환자실에 입원하면서 고비용을 지불하고 결국 사망에 이른다.

1,2)

중화상에서 다발 성 장기기능부전 및 패혈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조기에 적절한 처치를 시행할 수 있고 사망률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중화상 후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및 패혈증을 객관적으로 평가해보고, 어떤 인자가 이들과 관련이 있는지 알 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원광대학병원 화상병실에서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 중 25%이 상의 중화상을 입은 환자 80명 중 타병원으로 전 원된 환자와 병력기록이 미비한 환자를 제외한 58 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병력기록을 후향적으로 분 석하였다.

화상의 면적은 2도 및 3도 화상의 면적을 체표 면적당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화염화상의 경우 에는 기도화상 여부를 조사였다. 환자의 나이, 성 별, 입원기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인공호흡기 사 용 유무 및 사용기간 등과 함께 간질환, 만성 폐질 환, 고혈압, 당뇨 등 동반질환의 유무를 조사하였 다(Table 1). 입원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촬영한 흉 부 x-선 사진과 임상소견을 검토하여 폐렴 유무를 조사하였고 창상 및 혈액 배양검사, 혈액학적 검사 등을 검토하여 창상 패혈증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입원 후 2일째부터 중환자실에서 퇴원까지 폐, 혈액, 신장, 간 그리고 심혈관계의 다발성 장기기

Table 1. Characteristics of Major Burn Patient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haracteristics Mean (range) No.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Age 38.1 (3∼79)

Sex Male 46 (79.3)

Female 12 (20.7)

Size of burn (%BSA*) 44.8 (25∼90)

Size of full-thickness burn (%BSA*) 22.3 (1∼87)

Length of ICU stay (days) 11.8 (0∼65)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days) 3.2 (0∼27)

Combined diseases None 53 (91.4)

Liver cirrhosis 1 (1.7)

CVA 2 (3.4)

Diabetes 1 (1.7)

Miscellaneous 1 (1.7)

Incidence of inhalation injury 17 (29.3)

MOD

score 3 (0∼11)

Incidence of MOD 9 (15.5)

Incidence of septic shock 12 (20.7)

Death 19 (32.8)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BSA*: Body surface area, MOD

: Multiple organ dysfunction

(3)

능부전(multiple organ dysfunction, MOD) 정도를 점 수(scores)로 평가하였다(Table 2). 심혈관계부전은 혈압조정 심박수(pressure-adjusted heart rate, PAR=

HR×(CVP/MAP), HR=heart rate, CVP=central venous pressure, and MAP=mean arterial pressure)로 평가하 였다. 폐기능부전은 동맥혈산소분압(PaO

2

)/흡기내 산소분획(FiO

2

)으로 평가하였다. 혈청 빌리루빈, 크 레아티닌 및 혈소판을 측정하여 각각 간, 신장, 혈 액학적 기능부전을 평가하였다.

3)

다발성 장기기능 부전 점수(MOD score)는 중환자실 입원 기간에 측 정한 각 장기의 최고 점수를 합해서 계산하였다 (Table 3). 중추신경계 기능부전의 평가는 진정제 및 신경근육차단제의 효과를 배제하기 어렵고 주 관적인 평가의 가능성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제외 하였다.

각 장기의 MOD 점수의 합이 6 이상일 경우를 다발성 장기기능부전(MOD)으로 하였다. 패혈증은 ACCP/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SCCM)의 정의에 따라 진단하였다.

4)

다발성 장기기능부전과 패혈성 쇼크의 발생 및 사망이 어떤 인자와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통 계처리는 개인용 컴퓨터의 SPSS 프로그램을 이용 하였으며 다발성 장기부전 및 패혈성 쇼크의 발생 과 각 인자들의 상관관계는 logistic 회귀분석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중화상을 입은 환자의 평균연령은 38.1세이었으 며 성별은 남자가 79.3%로 많았다. 화상의 범위는 평균 44.8%이었고 25∼90%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피부전층화상의 범위는 1∼87%였다. 중환자실에 서 치료받은 기간은 평균 11.8일이었으며 기계적 호흡의 기간은 평균 3.2일(0∼27일)이었다. 5예에 서 간경변증, 당뇨병, 뇌혈관질환 등 동반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Marshall의 방법

3)

에 따라 MOD 점수를 산출한 결과 0∼11점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 MOD 점수는 Table 3. Incidence of Organ Dysfunction after Major Burn (n=58)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MOD score

Organ system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None) 1 (Mild) 2 (Moderate) 3 (Severe) 4 (Failure)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Respiratory (%) 33 (56.9) 8 (13.8) 8 (13.8) 8 (13.8) 1 (1.7)

Renal (%) 43 (74.1) 13 (22.4) 0 2 (3.4) 0

Hepatic (%) 49 (84.5) 7 (12.1) 1 (1.7) 1 (1.7) 0

Cardiovascular (%) 30 (51.7) 15 (25.9) 6 (10.3) 7 (12.1) 0

Hematologic (%) 38 (65.5) 6 (10.3) 6 (10.3) 7 (12.1) 1 (1.7)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Table 2. Multiple Organ Dysfunction Score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core

Organ system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0 1 2 3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Respiratory (PaO

2

/FiO

2

ratio) >300 226∼300 151∼225 76∼150 ≤75

Renal (serum creatinine), mg/dl <1.1 1.1∼2.3 2.4∼3.9 4.0∼5.6 >5.7

Hepatic (serum bilirubin), mg/dl ≤1.2 1.3∼3.5 3.6∼7.0 7.1∼14 >14.1

Cardiovascular (PAR) ≤10.0 10.1∼15.0 15.1∼20.0 20.1∼30.0 >30.0

Hematologic (platelet count ×10

3

/mL) >120 81∼120 51∼80 21∼50 ≤20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3점이었다. MOD 점수가 6점 이상이었던 다발성

장기기능부전(MOD)은 58예 중 9예로 15.5%를 차 지하였으며 패혈성 쇼크는 12예(20.7%)에서 발생 하였다. 사망예는 19예로 32.8%이었다(Table 1).

남녀 성별은 사망률과 무관하였다(p=0.398). 중 화상 후 합병증으로 폐렴이 9명(15.5%), 창상감염 증이 20명(34.5%)에서 발생하였고 이들은 환자의 사 망률과는 관련이 없었다. 흡입화상은 17명(29.3%)에 서 동반되었으며 이 경우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p=0.014). 다발성 장기부전은 9명, 패혈성 쇼크는 12명에서 발생하였고 이들 중 19명(90.0%)이 사망 하였다.

MOD의 발생에 관련된 인자로는 인공호흡기 사 용기간(p=0.002), 피부전층 화상의 범위(p=0.004), 중환자실에서 치료한 기간(p=0.006), 그리고 화상 의 면적(p=0.01) 등이었으며 환자의 연령은 MOD 발생과 무관하였다(Table 4). 패혈성 쇼크의 발생에

관련된 인자들로는 피부전층 화상의 면적(p<0.001) 과 화상의 총면적(p=0.001) 등이었으며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중환자실 치료기간, 환자의 연령 등은 무관하였다(Table 5).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점수 (MOD score)가 높을수록 MOD (p=0.03) 및 패혈성 쇼크(p=0.003)의 발생률이 높았다.

고 찰

다발성 장기기능부전(multiple organ dysfunction, MOD)은

5)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 있어서 유병 율 및 사망의 주된 원인이다.

6∼9)

MOD의 특징은 전신성의 항상성에 대한 급성 치료 후 두 개 이상 에서 점진적인 생리적 기능부전이 발생하는 것이 다.

5)

MOD의 발생에 관련된 인자로는 감염, 비감 염성 염증상태, 외상이나 화상, 허혈, 독소노출 및 면역계 활성화 등 다양하다.

7∼12)

Table 5. Risk Factors of Severe Sepsis/Septic Shock in Major Bur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Severe sepsis/Septic shock

Risk factor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 value

Yes (n=12) No (n=4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ize of full-thickness burn* 50 (12∼87) 15 (1∼80) <0.001

Size of burn* 63 (38∼90) 40 (25∼90) 0.001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5 (0∼27) 3 (0∼22) 0.2

Length of ICU stay* 16 (5∼50) 11 (0∼65) 0.224

Age* 43 (4∼78) 37 (3∼79) 0.34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Mean (range)

Table 4. Risk Factors of Multiple Organ Dysfunction in Major Burn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MOD

Risk factor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 value

Yes (n=9) No (n=4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12 (3∼22) 2 (0∼27) 0.002

Size of full-thickness burn* 47 (12∼80) 18 (1∼87) 0.004

Length of ICU stay* 27 (6∼65) 9 (0∼50) 0.006

Size of burn* 62 (30∼90) 42 (25∼90) 0.01

Age* 46 (26∼70) 37 (3∼79) 0.208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Mean (range)

(5)

Marshall과 Dimick

2)

은 화상 후 MOD에 대하여 보고하였는데 40% 이상의 화상범위를 가진 환자 를 대상으로 심혈관계, 폐 및 신장의 부전을 객관 적으로 평가하였다. 그후 Marshall등

13)

은 MOD를 7 개의 장기 즉 호흡기, 신장, 간, 심혈관, 혈액, 위장 관 및 중추신경계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는데 MOD 점수가 높을수록 중환자실 사망률이 높다고 보고 하였다(9∼12점; 25%, 13∼16점; 50%, 17∼20점;

75%, 20점 이상; 100%). 본 연구에서도 MOD 점수 가 높을수록 중환자실 사망률이 증가하였고, MOD 및 패혈성 쇼크의 발생률이 높았다.

화상환자에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화상의 범위, 창상의 깊이, 환자의 나이, 흡입화상 유무, 뇌 또는 폐합병증의 발생 유무, 화상 후 쇼크 발생 유무 등이 있는데,

14)

MOD의 높은 점수와 관 련이 있는 인자는 나이, 화상면적, 흡입화상, 그리 고 패혈증의 존재 등이다.

15)

위급한 환자가 중환자 실에 입원하는 시간에 장기기능장애의 정도는 다 양하고, 그 비정상의 정도는 최후의 중환자실 생존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16)

비록 MOD 점수는 우 선 과정상의 수치이지만 입원시 장기 기능장애의 정도를 점수로 측정함으로써 중환자실 생존율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중환자실 치료에 대한 반응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13)

Cumming등

15)

은 20% 이상의 화상환자에서 중추 신경계와 위장관을 제외한 5개의 장기를 대상으로 MOD와 패혈증의 평가를 시행하였는데, 심한 MOD 와 심한 패혈증(패혈성 쇼크)이 각각 28%와 14%에 서 발생하였으며 대부분의 환자(71%, 67%)에서 생 존하였다고 보고하면서, 양측 모두에서 중환자실 입원기간 및 인공호흡기의 사용기간과 관련이 있 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한 MOD와 심 한 패혈증을 동반한 환자의 대부분에서 사망하였 으며, 인공호흡기의 사용기간 및 중환자실 입원기 간은 MOD만 관련이 있었고 패혈성 쇼크와는 관 련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 MOD 점수가 다른 논문 과 비교하여 낮은 이유는 본 연구가 후향적으로 기록에만 의존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향후 전향 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Cumming등

15)

과 같이 중추신경계 를 배제시켜 본래의 MOD 점수 산출방법을 변형 시켰다. Marshall등

13)

은 Glasgow Coma Score (GCS) 가 생존자보다 비생존자에서 더 낮고 GCS가 감소 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중추신경계 기능장애를 평가하기가 어렵고, GCS 는 주관적인 편견을 배제하기 어렵다. 또한 중추신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투여시 전신적인 염증 반응과 혈역학적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기가 어렵 다는 단점이 있다. 수상 후 처음 48시간 동안은 장 기기능이 신속하게 가역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MOD 점수에서 제외시켰고, 적극적인 치료를 중단 한 후에 더 악화되는 점수는 반영하지 않았다.

여러 보고들

14,17,18)

에 의하면 흡입화상이 동반된 경우 사망률이 증가하는데 본 연구에서도 같은 결 과를 보였다(p=0.014). 단 패혈성 쇼크가 흡입화상 과 관련이 있고(p=0.018), MOD는 관련이 없었다 (p=0.773). 그러나 연구대상의 수가 적기 때문에 앞 으로 더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된다.

결 론

다발성 장기기능부전(MOD)과 패혈성 쇼크는 전 체 화상범위 및 3도화상의 범위가 클수록 발생 빈 도가 증가하며, 인공호흡기 사용 일수가 증가하고 중환자실 입원기간이 증가할수록 MOD의 발생이 증가한다. MOD 및 패혈성 쇼크의 발생은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점수(MOD score)가 높을수록 증가한 다. 따라서 심한 화상환자에서 장기기능장애의 심 각한 정도를 MOD 점수로 평가함으로 생존율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중환자실 화상치료 에 대한 반응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참 고 문 헌

1) Saffle JR, Sullivan JJ, Tuohig GM, Larson CM: Multi- ple organ failure in patients with thermal injury. Crit Care Med 21: 1673, 1993

2) Marshall WG, Dimick AR: The natural history of major

(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burns with multiple subsystem failure. J Trauma 23:

102, 1983

3) Marshall JC: Descripters of organ system dysfunction for the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MODS).

In: Clinical Trials for the Treatment of Sepsis. Vin- cent J-L, Sibbald WJ (Eds). Berlin, Springer-Verlag, pp 122, 1995

4) Bone RC. Let's agree on terminology: definition of sepsis. Crit Care Med 19: 973, 1991

5)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Society of Cri- tical Care Medicine Consensus Conference: Defini- tion for sepsis and multiple organ failure and guidelines for the use of innovative therapies in sepsis. Crit Care Med 20: 864, 1992

6) Baue AE: Multiple, progressive, or sequential systems failure: A syndrome of the 1970's. Arch Surg 110:

779, 1975

7) Carrico CJ, Meakins JL, Marshall JC: Multiple-organ- failure-syndrome. Arch Surg 121: 196, 1986 8) Tran DD, Groeneveld ABJ, van der Meulen J: Age,

chronic disease, sepsis, organ system failure, and mortality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18: 474, 1990

9) Deitch EA: Multiple organ failure: Pathophysiology and potential future therapy. Ann Surg 216: 117, 1992 10) DeCamp MM, Demling RH: Posttraumatic multisystem

organ failure. JAMA 260: 530, 1988

11) Beal AL, Cerra FB: Multiple organ failure syndrome in the 1990'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and organ dysfunction. JAMA 271: 226, 1994

12) Marshall JC: Multiorgan failure. Chapter II-13. In: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Care of the Surgical Patient. Volume 1: Critical Care. Wilmore DW, Brennan MF, Harken AH, et al (Eds). New York, Scientific American Medicine, pp 1-20, 1991

13) Marshall JC, Cook DJ, Christou NV, Bernard GR, Sprung CL, Sibbald WJ: Multiple organ dysfunction score: A reliable descriptor of a complex clinical outcome. Crit Care Med 23: 1638, 1995

14) Rittenbury MS, Maddox RW, Schmidt FH, Ham WT Jr, Haynes BW: Probit analysis burn mortality in 1831 patients. J Trauma 5: 587, 1965

15) Cumming J, Purdue GF, Hunt JL, O'Keefe GE: Ob- jective Estimates of the incidence and consequences of multiple organ dysfunction and sepsis after burn trauma. J Trauma 50: 510, 2001

16) Knaus WA, Draper EA, Wagner DP: Prognosis in acute organ system failure. Ann Surg 202: 685, 1985 17)

김봉배, 최보율, 고응린, 김이수, 최원진: 화상환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외과학 회지

46: 23, 1994

18) Tobiasen J, Hiebert JH, Edlich RF: Prediction of burn

mortality. SGO 154: 711, 1982

수치

Table  1.  Characteristics  of  Major  Burn  Patients
Table  5.  Risk  Factors  of  Severe  Sepsis/Septic  Shock  in  Major  Burn

참조

관련 문서

The auditory threshold level, critical ratio and hearing index of amberjack were determinded by conditioning method using a sound coupled with electric shock

Multiple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Funding and Performance Measures for Major Programs.. Meager, Nigel

Basic aspects of AUTOSAR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Safety mechanisms supported by AUTOSAR.. Technical safety concepts supported by AUTOSAR Relationship to ISO

GDP impact of COVID-19 spread, public health response, and economic policies. Virus spread and public

Severe disease activity and cy- tomegalovirus colitis are predictive of a nonresponse to infliximab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Major improvements on the contract are offered. First, a broader menu of gas supply services is called for including interruptible and priority services. In

“Innovation policy and creative economy are very critical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in the era of global economic slowdown for not only developing countries

For establishing appropriate treatment plans and prognosis, the estimated valu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hard and soft tissues is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