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21, No. 3, September, 2013

□ 원 저 □

1)

본 원저는 2012 국제 소아수면학회 학술대회에 포스터로 발표 되었습니다.

접수 :20133 26 ,일 수정:201399 승인 :2013918

책임저자 : 채규영, CHA의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Tel : 031)780-5230, 5264 Fax : 031)780-5239 E-mail : danielchae21@gmail.com

연령에 알맞은 충분한 양의 수면은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며 특별히 소아와 청소년의 정,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의과학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CHA

이정진 강정희 이선경 채규영

= Abstract =

Impact of Sleep Duration on Emotional Status in Adolescents

Jungjin Lee, M.D., Jeonghee Kang, M.D., Seonkyeong Rhie, M.D. and Kyu Young Chae, M.D.

Department of Pediatrics, CHA Bundang Medical Center, CHA University, Seongnam, South Korea

Purpose :South Korean adolescents have been identified as a chronic partial sleep-deprived population in several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nocturnal sleep duration by age in South Korean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emotional status factors such as subjective happiness,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s, and health-risk behaviors with the nocturnal sleep duration.

Method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the 7th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VII), a cross-sectional, annual survey of the health-risk behavior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South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ged 13 18 years, which was conducted in 2011. Out of 75,643 students from 800 schools across the nation, 75,205 stu- dents were selected by using the complex sampling design of the survey. We ana- 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uration of nocturnal sleep and emotional status (subjective happiness, stress level,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health-risk behaviors (smoking, drinking), and sleep satisfact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sleep and the emotional status. In general, happy students had the longest nocturnal sleep duration, regardless of their grades. Self-rated stress levels and depression in adolescent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nocturnal sleep duration. Health-risk behaviors such as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s were more common in sleep-deprived students (

P

˂0.001).

Conclusion :Appropriate nocturnal sleep duration is critical for emotional health as well as prevention of suicide in the adolescent population.

Key Words : Sleep deprivation,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Happiness, Adolescent

(2)

상적인 성장과 정서적 안정 인지 기능의 발달에 중, 요하다1). 청소년들에서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필연 적으로 낮 시간 동안의 과다한 졸림을 동반하며 전, 전두엽 기능(pre-frontal lobe function)을 저해시 켜 인지 기능의 장애와 수행 능력의 저하 및 학업 성 취도 저하를 유발한다2-4).또한 정서적인 불안정성과 우울증과 연관되어 불법 약물 복용과 음주 그리고, 위험 행동 증가와 사고와 부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킨 5-8).

그러나 현재 청소년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가 중되는 학업량과 인터넷 사용 또는 스마트폰 사용 등 으로 인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상태이다9, 10).잠을 잘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주어질 때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9 시간에서 시간9 30분 정도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보 고되고 있지만11) 방학이나 주말의 일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실생활에서 매일 충분한 수면을 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12).청소년들에서 충분한 수면시간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우 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청소년들도 충 분한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고13-15)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극심한 수면 부족 상태에 놓여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일부 지방 별로 보고된 한국 고 등학생들의 평균 야간 수면시간은4.9-5.7시간으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심각한 수면 결핍 상태를 잘 보여 준다16-18).따라서 청소년들의 수면시간이 극도 로 제한되어 있는 현재의 우리나라 중고등학교 시스 템에서는 극심한 수면 부족으로 인한 청소년들의 신 체적 정서적 행동학적 이상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는, , 사실을 예상할 수 있다 수면 부족은 정서적 불안정. 과 우울 스트레스 등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19, 20) 히 청소년들에서 수면부족과 자살률의 증가 사이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지만21-23) 청소년들을 위한 공 공보건 정책에서 아직까지는 만성적인 수면 부족에 의한 신체적 정서적 악영향을 개선하기 위한 실제적, 인 노력과 정책이 시행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저자. 들은 전국적 규모로 시행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청 소년들의 연령별 수면량을 파악하고 수면시간에 따,

른 정서적 상태와 자살 생각 건강 위해 행위와의 연, 관성을 분석하여 수면이 가지는 정서적 중요성을 인 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표본 추출

1.

본 연구는2011년 제 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7 조사(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로 부터 얻어진 자료를 기반으 Survey; KYRBWS)

로 하였다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는. 2005 도 이후로 한국 질병 관리 본부에서 매년 시행하고 있으며, 2011년 조사에서는 흡연 음주 비만 및 체, , 중조절 신체활동 식습관 부상 예방 예 안전벨트, , , ( , ), 약물복용 성행위 정신건강 구강 위생 개인위생, , , , (예, 손 씻기),알레르기 예 아토피와 천식( , ),건강 형평성, 그리고 인터넷 중독 등과 같은14개의 영역을 조사 대상에 포함하였다. KYRBWS은 익명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조직화된 설문지에 자가 기입하여 건강행태 를 조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표본추출은. 2011 년도4월 기준의 전국 중고등학생을 모집단으로 하 , 2단계 집락 추출법(2 stage cluster sampling) 을 이용하였으며, 1차 추출 단위는 학교, 2차 추출 단위는 학급으로 하였다. 1차 추출은 층(strata) 로 모집단의 학교 명부를 정렬한 후 계통 추출법 으로 표본 학교를 선정하였고 (systemic sampling) ,

차 추출은 선정된 표본학교에서 학년별로 개 학급

2 1

을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표본 추출 후 학생들은 학. , 급 선생님들에 의해 아이디(ID)가 부여되었고 학생, 들은KYRBWS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참여 의사에 따 라 자율적으로 설문에 무기명 응답하였다 장기 결석. 학생이나 특수 아동 문자 해독 장애 학생은 표본 학, 생에서 제외하였다 결과적으로 전국. , 16개 시 도별, 로 중학교400개교 고등학교, 400개교 총800개 학 교에서75,643명이 추출되었고 이들 중 분석이 불가 능하였던 학생들을 제외한 총 75,205명이 분석 대 상이 되었다.

(3)

방 법 2.

저자들은 제 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의7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중 취 침 시간 및 기상 시간 평균 수면시간을 연령별 성별, , 로 구하고 수면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수면시간에, 따른 정신 건강 상태와 흡연 및 음주 등의 건강 위해 행위 사이의 연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주 중의 평균 야간 수면시간은 주중 취침 시간과 기상 시간에 대한 설문 항목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저자들은 연구 대상 학생들을 수면시간에 따라 6 간 미만 중증 수면 부족군( ; A )군 와 시간 이상 시6 8 간 미만 중등도 수면 부족군( ; B ), 8 시간 이상이나 시간 이하 적정 수면군 시간 이상 과

9.5 ( ; C ), 9.5 (

다 수면군; D )군 등의4개의 군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의 분포를 학년 연령 및 성별로 분석하였다 수면( ) . 만족도는 지난 일주일 동안 잠을 잔 시간이 피로 회 복에 충분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라는 설문에 대해 ‘매 우 충분하다 충분하다 그저 그렇다 충분하지 않다, , , , 전혀 충분하지 않다 중 한 가지를 선택함으로써 조사 되었다.

정서적 상태에 대한 설문 항목은 주관적인 행복도 와 스트레스 정도 그리고 지난, 12개월 동안의 우울 및 자살에 관련된 가지 연속 설문 항목으로 구성되5 었다 주관적인 행복도는 평상시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합니까 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불행한 편이다, 약간 불행한 편이다 보통이다 약간 행복한 편이다, , , 매우 행복한 편이다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조사되었 다 저자들은 주관적 행복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 관적 체형 인지 건강에 대한 자각 스트레스의 강도, , , 수면 충족도 최근, 12개월 동안의 우울과 절망감 최, 12개월 사이의 자살 사고 학년 성별 경제 상태, , , , 학업 성취 흡연과 음주 등의 혼란 변수들의 영향을, 보정하였다 스트레스 정도는 평상시 스트레스를 얼. 마나 받고 있습니까 라는 설문항목에 대해 대단히 많이 느낀다 많이 느낀다 조금 느낀다 별로 느끼지, , , 않는다 전혀 느끼지 않는다 등의 항목 선택으로 구, 성되었다 우울 및 자살에 대한 평가는 지난. 12개월 동안2주 내내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슬프

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는지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었는지 자살하기 위해 구체적인 계, 획을 세운 적이 있었는지 혹은 자살을 시도하였는지, , 자살 시도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는지 등 의 가지 연속 설문 항목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건강5 . 위해 행동에 관련된 항목들은 학생들의 흡연이나 음 주의 경험 여부를 질문하였으며 하루 동안의 흡연 및 음주량과 지난30일 동안의 흡연 및 음주 경험 일수 를 측정하였다.

통 계 3.

각 자료의 가중치는 한국 질병 관리 본부에서 산출 하였으며 이 가중치는 추출률 역수와 응답률 역수를, 곱한 것으로 가중치 사후 보정률을 곱하여 얻어졌다.

이를 통해 중학생 응답자 수 38,474명과 고등학생 응답자 수37,169명은2011년 월을 기준으로 각각4 전국의 중학생1,898,769명과 고등학생1,934,030 명을 대표하였다 통계분석은 층. (Strata), 집락(Clu- 의 복합 표본 추출로 이루어진 자 ster), (Group)

료의 특성상 복합 표본 분석(Complex sample ana- 을 이용하였고 수면시간 그룹 간의 차이 평

lysis) , ,

균치 및 비율 비교에는 일원 배치 분산 분석을 수면, 시간과 수면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및 상호 영향에 대 한 보정을 위하여 상관 분석 단순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년에 따른 주관적 행복도 및 수면, 시간에 따른 주관적 행복인지도 수면시간과 우울감, 및 자살 생각 건강 위해 행동의 분석은 교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다중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학년의. 증가와 야간 수면량 변화가 주관적 행복도와 스트레 스에 미치는 영향에의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통. 계 분석에는 SPSS 통계 프로그램 20.0 (SPSS

을 이용하였다 Inc, Chicago, IL, USA) .

한국 청소년들의 주중 야간 수면시간 1.

설문 조사에 동의한79,202명의 학생 중95.5% 명이 설문조사에 응하였다 전국 개 시의

75,643 . 16

(4)

개의 학교에서 추출된 명 중 남학생은

800 75,643

명 가중치 여학생은 명 가중

37,873 ( 52.7%), 37,770 ( 47.3%)이었다 학년은 중학교 학년부터 고등학. 1 교 학년까지 연령별로는3 12세에서18세 사이로 분 포되어 있었고 성별과 학년에 따른 대상의 분포는, 과 같다 한국 청소년들의 전체 평균 수면시 Table 1 .

간은6.35 1.39± 시간이었고 남학생, 6.54 1.39± 시간, 여학생6.16 1.36± 시간으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 다 수면시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 면시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는 학년에 관계없이 일 정하게 보였으며 이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자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년의 차이는 취침 및 기상 시간과 총 (Table 1).

주중 수면시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쳐 고학년이, 될수록 평균 주중 수면시간이 감소하였고 중학교, 3 학년부터는 주중 평균 야간 수면시간이 시간 미만으7 로 짧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면서 더욱 심화되어 중 학교 학년에서 고등학3 교 학년이 되면서 야간 수면1 이 약0.79시간 감소하였고 수면시간은 중학생에서, 평균7.06 1.67± 시간 고등학생에서 평균, 5.69 1.50± 시간이었다 수면시간은 평균적으로 한 학년이 올라. 갈 때마다 약0.39시간씩 줄어들었다.

학생들을 수면시간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었을 때,

시간 이상 시간 미만의 수면시간을 가지는 군이

6 8 B

로 가장 많았고 다음 시간 미만의 수면을 취

46.2% 6

하는A군이43.5%를 차지하여 전체 대상 청소년들 89.7%가 수면 부족 상태에 있음을 보였다. 8 간 이상9.5시간 미만의 적정 야간 수면시간을 가지 는 학생들은 전체의9.7%에 불과하였고9.5시간 이 상의 과수면을 취하는 학생들은0.7%였다(Fig. 1).

수면시간에 따른 군별 분포는 학년에 따라 많은 변화 를 보였는데 수면 부족군인, A군과 B군은 고학년이 될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청소년기 적정 수면시. 간을 가진 C군은 중학교 1학년에서 25.4%을 차지 하였으나 고등학교 3학년에서는 1.8%만을 차지하

Table 1. Demographics of Sleep Habits in South Korean Adolescents

Grade M1 M2 M3 H1 H2 H3

Sleep hour

7.39 1.15 ± 7.08 1.19 ± 6.73 1.22 ± 5.94 1.21 ± 5.73 1.15 ± 5.43 1.21 ±

Numbers (%)

12,728 (16.0%)

12,903 (16.7%)

12,843 (16.9%)

12,569 (17.2%)

12,508 (16.7%)

12,092 (16.6%)

Gender M F M F M F M F M F M F

Numbers (%)

6,548 (8.3%)

6,180 (7.7%)

6,413 (8.7%)

6,490 (8.0%)

6,589 (8.9%)

6,254 (8.0%)

6,386 (9.1%)

6,183 (8.1%)

5,954 (8.9%)

6,554 (7.8%)

5,983 (8.8%)

6,109 (7.8%) Bedtime 23.4±

1.1

23.8±

1.2

23.8±

1.1

24.1±

1.2

24.1±

1.2

24.5±

1.2

24.5±

1.2

24.8±

1.2

24.8±

1.1

24.9±

1.1

25.1±

1.2

25.1±

1.2 Wake

Time

7.05±

0.82 6.91±

0.85

7.05±

0.83 6.9±

0.82

7.08±

0.82 6.9±

0.87

6.64±

0.88 6.47±

0.87

6.64±

0.89

6.49±

0.87

6.62±

0.89 6.47±

0.90 Sleep

hour

7.64±

1.10

7.12±

1.15

7.33±

1.14 6.83±

1.19

6.97±

1.18 6.47±

1.21

6.14±

1.17 5.71±

1.20

5.86±

1.14 5.58±

1.14

5.5±

1.21 5.34±

1.20 Abbreviations : M, middle school; H, high school; 1, first grade; 2, second grade; 3, third grade

Fig. 1. Distribution of sleep groups according to sleep duration in South Korean adolescents.

This diagram clearly shows that most of adolescents (90%) were suffered from chronic sleep deprivation.

(5)

였다(Fig. 2).

수면 만족도 2.

수면 만족도는 예상대로 수면시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졌으며 야간 수면시간이 감소될수록 낮아졌다, (

P

˂0.001).교차분석을 시행한 결과 수면시간 군별 로는 D C B A˃ ˃ ˃ 군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만족도가 높았다(

P

˂0.001).

청소년들의 수면시간과 정서 상태 3.

주관적 행복도와 수면시간 1)

교차분석으로 수면시간에 따른 수면군별로 주관 적인 행복도를 분석하였을 때 적정 야간 수면시간을 가진 군의 행복 인지도 매우 약간 행복하다 가C ( / ) 64.7 로 가장 높았으며 시간 이상의 긴 수면시간을

% 9.5

가진D군이 52.7%로 가장 낮았다(

P

˂0.001). 불행 매우 약간 불행 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시간 미만

( / ) 6

의 수면시간을 가진A군에서 14.7%로 가장 높았고

Fig. 3. Self-rated emotional status by sleep group (nocturnal sleep duration). (A) Distribution of subjective happiness. (B) Severity of stress. Note the fact that adoles- cents with appropriate sleep duration (group C)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feeling of happiness (very/pretty) and the least proportion of severe stress (extreme/severe).

However, adolescents with severely restricted sleep duration (group A) showed the opposite result.

Fig. 2. Distribution of sleep group by grade. This graph shows that mean nocturnal sleep duration was decreased when students promoted into the upper grades.

(6)

적정 수면시간을 가진 군에서C 8.8%로 가장 낮았다 (

P

˂0.001)(Fig. 3). 주관적 행복도는 수면 부족군 A군과B군이 적절한 수면시간을 가진 C군에 비 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

˂0.001), 이러한 결과 는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도가 야간 수면량과 밀접 한 관계가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 준다 이는 또한 한. 국 청소년의 대부분이 수면 부족 상태로 인해 주관적 행복 인지도가 저하되어 있는 사실을 반영한다.

주관적 행복도는 또한 학년에 따라 매우 분명한 차 이를 보였다(R2=0.068,

P

˂0.001). 중학교 학년에1 서 행복 매우 약간 하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 ) 61.3%

로 전체 학년 중 가장 높았으나 학년이 (n=374,525)

올라갈수록 그 비율이 낮아져 고등학교 학년에서는3 행복한 학생들의 비율이53% (n=336,299)로 가장 전체 학년 중 가장 낮았다 반대로 행복하지 않다. , (약 간 불행한 편이다 매우 불행한 편이다 고 대답한 군/ ) 은 중학교 학년에서는1 11.1% (n=67,945)로 가장 낮았던 반면 고등학교 학년에서3 13.2% (n=83,876) 로 높아져 불행하다고 느끼는 학생들의 비율은 학년, 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P

˂0.001) (Fig. 4).

일원배치 분산 분석으로 각 학년 별로 주관적 행 복 인지도에 따라 수면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매우, 행복하다고 대답한 학생들의 수면시간은 학년에 관 계없이 가장 길었고 매우 불행하다고 대답한 학생, 들의 수면시간이 가장 짧았다(

P

˂0.001). 이러한 관 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면시간이 감소하여도 유지되었다(Fig. 5).

스트레스 정도와 수면시간 2)

스트레스 인지 정도를 야간 수면량에 따른 그룹에 따라 교차 분석을 하였을 때 적절한 수면시간을 가, 지는C군의 스트레스 인지율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 많이 받는다 이) 30.4%로 가장 낮았고, 6시간 미만의 수면시간을 가지는A군의 스트레스가50.1%로 가장 높았다(

P

˂0.001)(Fig. 2). 스트레스 정도 또한 학 년에 따라 매우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 학년이 올라. 감에 따라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받는다고 대답한( / ) 응답자의 비율이 의미 있게 상승하여 고등학교 학, 3

Fig. 4. Distribution of self-reported happiness and stress level by grades. (A) subjective happiness. (B) stress level

Fig. 5. Mean sleep duration according to the subjective happiness on the grades. This figure clearly showed that adolescents with the feel- ing of happiness (very/pretty) had the longest nocturnal sleep duration regardless of their grades. By contrast, unhappy students (very/

pretty) had shorter sleep duration in all grades (one way ANOVA, P=.0000).

(7)

년에서 50.5%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 1학년에서 로 가장 낮았다

36.9% (

P

˂0.001)(Fig. 4).

각 학년 별로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수면시간을 조 사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전혀 없거나 별로 느끼지, 않는다고 대답한 학생들의 야간 수면시간은 학년에 관계없이 길었고 대단히 많거나 많이 받는다고 대답, 한 학생들의 수면시간이 가장 짧았다(

P

˂0.001). 러한 관계 역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전체적으로 수 면시간이 감소하여도 그대로 유지되었다(Fig. 6).

우울감 및 자살 생각과 수면시간 3)

우울 또는 절망감에 대한 경험은 극심한 수면 결핍 을 가진A군에서38.1%로 가장 높았고 적정 수면량 을 가진 C군에서24%로 가장 낮았으나 수면시간이 시간 이상으로 가장 길었던 군에서 다시 증가

9.5 D

하여 전체적으로U모양을 보였다(

P

˂0.001) (Fig.

자살에 대한 생각 또한 수면 군에 따라 차이를 보 7).

였는데 적정 수면을 취하는, C군에서 자살 생각이 로 가장 낮았으며 극심한 수면 결핍이 있는

15.1% ,

군에서 로 가장 높아 자살 생각 역시 야간 수 A 22.5%

면량이 감소할수록 의미 있게 높음을 보였다(

P

˂

0.001) (Fig. 7).

우울감에 대한 경험 또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증 가하여 중학교 학년에서1 27.7%가 경험하였으나 고 등학교 학년에서는3 38.0%가 우울감을 경험하였다 고 대답하였다.

건강 위해 행동과 수면시간 4.

흡연 및 음주와 같은 건강 위해 행동 또한 청소년 들의 야간 수면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교차분석. 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근 한달 동안 매일 흡연한다 고 대답한 비율은 극심한 수면 결핍을 가진A군에서 가장 높았고(Table 2,

P

˂0.001),그 다음은 과수면 을 취하는D ,군 다음B ,군 마지막으로 적정 수면량 을 취하는 C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한. 번도 흡연을 경험하지 않은 비율은C군에서 92% 가장 높았다 이와 유사하게 한 번도 음주를 경험하. 지 않은 비율 역시C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최근 한, 달 동안 매일 음주를 했다고 대답한 비율은D군에서 가장 높았고 이후A , C , B 군 순으로 보였다(

P

˂ 0.001).

이 연구는 대규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기반으로 하여 최근의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중 야 간 수면량을 전국 규모로 조사하고 수면시간과 정서 상태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이전에 일. 부 지방별로 발표된 보고에서 부분적으로 알려진 바

Fig. 6. Mean sleep duration according to the stress severity on the grades. This figure also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ctur- nal sleep duration and subjective stress seve- rity in adolescents. Note the fact that the longer sleepers had no or minimal stress in their life but the shorter sleepers had a lot of stress (extreme/severe) regardless of grades.

(one way ANOVA, P=.0000).

Fig. 7.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in the past 12 months by sleep group.

(8)

와 같이 이 연구는 전체 한국청소년들의 약, 90% 만성 수면 결핍에 심각하게 노출되어 있음을 보여 주 었다 한국 청소년들의 야간 수면량은 학생들이 고학. 년으로 진급할수록 감소하여 중학교 학년이 될 때부3 터 주 중의 평균 야간 수면량은 시간 미만 고등학7 , 교 진학 이후에는 시간 미만으로 급격한 감소를 보6 였다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주중 평균 수면량은. 7.06±

시간 고등학생들은 평균 시간으로

1.67 , 5.69 1.50±

조사되었고 이는 청소년들에서 필요한 권고 수면량, 시간 과 비교해볼 때

(8-9.25 ) 24) 우리나라 중학생들 은 하루 평균 약 1-2.25시간 그리고 고등학생들은, 2-3.25시간 정도의 수면 부족(Sleep dept)이 예 상된다 이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비교적 경도에서. 중등도의 수면 부족 상태에 놓여 있는데 비해 고등, 학생들은 매우 심각한 수준의 중증 수면 부족 상태에 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청소년기에 적정량의 수면을 취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중학교 학년에서1 25.4% 차지하였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급격히 감소하여 고 등학교 학년에서는3 1.8%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실.

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하루 수면량을 이번 연구에 서 조사된 주중 야간 수면시간으로만 인식해서는 부 족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필연적으로 낮 시간 동안의 과다한 졸림과 함께 낮잠 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번KYRBWS연구 디자인에는 낮 시간 동안의 수면시간과 주말 수면시간에 대한 조 사가 누락되었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초등학교. 5 년에서 고등학교 학년 사이의 서울 및 경기 남부 지3 방 초 중 고등학생ㆍ ㆍ 3,379명을 대상으로 한 이전의 연구에서 고등학생의 단지 5.6%만이 수업시간에 졸 지 않는데 비해45.7%의 학생들은 시간 이내1 , 42.4 시간 시간 정도의 낮잠을 수

% 1-3 , 6.2% 3-5

업 시간 중 자고 있어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만성적 인 야간 수면 박탈로 인해 극심한 주간 졸림 상태에 있음을 보고하였다18).비록 이번 차7 KYRBWS를 통 한 연구에서는 원 자료에서 낮잠 시간과 주말 수면시 간이 포함되지 않은 관계로 인해 실제 총 수면량을 밝히지는 못했지만 주 중의 수면량이 이전의 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아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수면 행태는 이전의 상황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청소년들에. Table 2. Sleep Duration and Health Risk Behaviors

Group

Population A B C D Total

Daily smoker

Non smoker

Daily drinker

Non drinker  

N weight %

N weight %

N weight %

N weight %

2,011 7.7 23,659 86.6 94 0.4 20,130 74.2

1,391 4.7 27,122 89.7 63 0.2 25,049 83.1

189 2.8 6,184 92 15 0.3 5,934 88.6

28 5.3 415 85.2 7 1.2 413 86.5

3,619 5.8 57,380 88.6 179 0.3 51,526 79.8 Group A: less than 6 hours of sleep duration (SD)

Group B: 6 SD 8hours ˂ Group C: 8 SD 9.5 hours ˂

Group D: more than 9.5 hours of SD Abbreviation: N, number

The proportion of the daily smoking was the highest in students with severe sleep deficiency (Group A) followed by prolonged sleep duration (Group D), mild sleep deficiency (Group B), and proper sleep duration (Group C) in order (P˂0.001). By contrast, non-smoking experience was the highest in students of group C as 92% of respondents had never smoked in their lives. SiP milarly, non-drinking experience was the highest in group C students but daily drinking was the most in group D students followed by group A, group B, and group C in order (P˂0.001).

(9)

서의 만성적인 수면 부족은 정서적 불안 우울 과잉, , 행동의 증가와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25).이번 연구에서도 수면량이 적을수록 스트레 스 인지율이 증가하였고 적정 수면량을 가진 학생들 의 스트레스가 가장 적었으며 주관적 행복감 또한 적정 수면 군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에 시간 미만의6 야간 수면량을 가진 학생들이 가장 불행하다고 대답 하여 수면량과 정서적 안정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 명히 보여 주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행복도가. 떨어지고 스트레스가 많아지며 불행하다고 대답한 학 생들이 많아졌는데 다중 회귀 분석에서 학년과 야간 수면량 모두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Multiple re- gression analysis

P

=0.000,

P

=0.000, respec- 표준화 계수가 학년은 야간 수면량은 tively) 0.010,

로 야간 수면량이 더 큰 영향력을 보여 학년 -0.121

자체의 영향도 있지만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야간, 수면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이 더 큰 원인으로 생 각된다 수면 이상은 자살 생각을 가졌던 사람들 혹. , 은 자살을 시도한 사람들에서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26)Goodwin등은 일반 성인8,098명을 대상으 로 한 연구에서 정신 질환 유무와 독립적으로 짧은 수면시간을 가진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 해 자살 생각(OR 2.5, 95% CI:1.6-3.9)과 자살 시 (OR 3.0, 95% CI: 1.4-6.4)가 현저하게 증가함 을 발견하였다21). 이와 같은 관계는 청소년들에서 도 보고되어, Liu는 중국 산둥성의 청소년 학생들 명을 대상으로 수면 양상과 자살 행동의 연관 1,362

성에 대해 조사하여, 8시간 미만의 수면량(OR=2.89) 과 악몽(OR=2.43)이 자살 생각과 의미 있게 연관성 을 가짐을 보고하였다23). 우리나라에서는 2012 등이 학년에서 학년 사이의 학생 명을

Kim 7 11 8,010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주중과 주말의 수면시 간 졸림 정도 코골이 여부를 조사하였고 나이와 성, , , 별을 교정한 후에도 주 중에 시간 미만으로 자는 학7 생들이 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학생들에 비해 자7 살 생각 점수(Beck Scale for Suicidal Ideation:

가 높은 것을 관찰하고 주중의 짧은 수면과 주

SSI) ,

중 보다 시간 이상 증가된 주말의 과다 수면이2 SSI 상승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가 될 수 있으며 청소년들

에서 행동학적으로 유발된 만성적인 수면 부족(be- 이 자살 위 haviorally induced sleep insufficiency)

험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4). 이와 같은 수면 부족과 자살 생각과의 직접적인 연관 관계는 본 연구 에서도 잘 나타나 우울감과 자살에 대한 생각은 수, 면량이 적은 학생들에서 가장 많았고 적정 수면을 취 한 학생들에서 가장 적어 이전의 연구들과 잘 부합되 는 소견을 보였다.

등은 세에서 세 사이의 청소년

Taylor 12 18 4,494

명과18세에서25세 사이의 청년3,582명을 대상으 6-7년간 추적 관찰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불 면증 증상이 음주 대마초 불법 약물 우울증과 자살, , , 생각 및 자살 시도와 연관성을 가지며, 성인기의 우 울증에 의미 있는 위험 요소임을 밝혀 수면 부족과 우울증의 구체적 연관성을 보여 주었다5).본 연구에 서도 음주 흡연과 같은 건강 위해 행동 또한 주중 야, 간 수면량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적정 수면을 가진 학생들에서의 음주 및 흡연 경험률이 가장 낮았던 반 면 가장 적은 수면량을 가진 학생들은 매일 음주와, 흡연 경험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과다 수면을 가진 학생들이 많아 만성 수면 부족뿐만 아니라 과다 수면 또한 행동장애와 연관성이 있음을 반영하였다 등은 학년에서 학년 사 (Table 2). Gangwisch 7 12 이의 청소년15,678명을 대상으로 짧은 수면량과 우 울증 사이의 상호 인과 관계의 연관성 연구에서 자정 이후에 잠자리에 들도록 허락받은 청소년들은 오후 시나 그 이전에 자도록 한 청소년들에 비해 우울 10

증이24%더 많았고(OR=1.24, 95% CI 1.04-1.49) 자살생각은 20%이상 증가하였다는 흥미로운 결과 를 발표하였다27).그들은 짧은 수면시간이 우울증 발 생 원인의 중요한 한 요소이며 부모들은 청소년들의 우울증과 자살 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일찍 자 녀들을 잠자리에 들게 할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청소년들의 우울증과 자살의 예방에 충분한 양의 수 면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분명하게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낮 시간 동안의 수면량과 주말 수면량을 측정하지 못 한 점과 기존의 수면 질환에 대한 평가가 없었다는 점 그리고 수면 양상과 정서적 측면을 객관적인 지,

(10)

표로 측정하지 못했으며 스트레스 우울감 및 건강, , 위해 행동 등에 대하여 수면 이외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 없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전국의 중고등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온라인 조사를 통해 부분적 으로 알려졌던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수면 양상을 전 국 규모로 파악하였으며 전체 청소년들의90%가 수 면 부족 상태에 시달리고 있음을 밝혔고 또한 청소 년들의 정서 상태를 수면량과 연관하여 알아봄으로 써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정서적 건강에 수면이 얼마 나 중요한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유용성이 있다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 반드시 청 소년 졸림 척도와 낮잠 시간 주말 수면량에 대한 추, 가적 조사가 포함되어야 하며 객관적으로 정서 상태 를 평가할 수 있는 척도들을 포함할 것을 제안할 수 있겠다.

목 적 : 저자들은 전국적 규모로 시행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청소년들의 연령별 수면량을 파악하고 수, 면시간에 따른 정서적 상태와 자살 생각 건강 위해, 행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수면의 중요성을 인지하 며 향후 한국 청소년들에 대한 공중보건정책과 자살 예방 정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2011년 제 차 청소년 건강행태7 온라인 조사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수면시간 및 수면 만족도 정서 상태와, 흡연 및 음주 등의 건강 위해 행위 사이의 연관 관계 를 도출하였다.

결 과 :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중 수면시간은 중 학생 평균 7.06 1.67± 시간 고등학생 평균, 5.69± 시간으로 전체 청소년들의 약 가 수면 부

1.50 90%

족 상태에 놓여 있다 청소년들의 주관적인 행복도는. 적정 수면군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에6시간 미만의 야간 수면량을 가진 학생들이 가장 불행하였다 스트. 레스 인지율 또한 적정 수면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우 울감과 자살에 대한 생각 역시 적정 수면을 취한 학 생들에서 가장 적었다 음주 흡연과 같은 건강 위해. ,

행동 경험 또한 적정 수면을 취한 학생들에서 가장 낮았다.

결 론 : 청소년들의 수면부족 상태는 정서적 안정 감을 저하시켜 자살 생각을 증가시키고 건강 위해 행 동을 증가시킨다 연령에 따른 적정량의 수면은 우리. 나라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증진에 매우 중요한 요소 이다.

References

1) Walker MP, Stickgold R. Sleep-dependent lear- ning and memory consolidation. Neuron 2004;

44:121-33.

2) Epstein R, Chillag N, Lavie P. Starting times of school: Effects on daytime functioning fifth-grade children in Israel. Sleep 1998;21:250-6.

3) Carskadon MA, Harvey K, Dement WC. Sleep loss in young adolescents. Sleep 1981;4:299- 312.

4) Dahl RE, editor The impact of inadequate sleep on children's daytime cognitive function. Semin Pediatr Neurol 1996;3:44-50.

5) Roane B, Taylor D. Adolescent insomnia as a risk factor for early adult depression and sub- stance abuse. Sleep 2008;31:1351-6.

6) Ohayon MM, Roberts RE, Zulley J, Smirne S, Priest RG. Prevalence and patterns of proble- matic sleep among older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0;39:1549-56.

7) Choquet M, Menke H. Suicidal thoughts during early adolescence: prevalence, associated trou- bles and help seeking behavior. Acta Psychiatr Scand 1990;81:170-7.

8) Johnson EO, Breslau N. Sleep problems and substance use in adolescence. Drug and alcohol depend 2001;64:1-7.

9) Knutson KL, Lauderdale DS. Sociodemographic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bed time and wake time among US adolescents aged 15 to 17 years. J Pediatr 2009;154.3:426-30. e1.

10) Dworak M, Schierl T, Bruns T, Strüder HK.

Impact of singular excessive computer game and television exposure on sleep patterns and memory performance of school-aged children.

Pediatrics 2007;120.5:978-85.

11) Graham MG. Sleep Needs, Patterns and Diffi- culties of Adolescents: Summary of a Workshop:

(11)

National Academies Press; 2000:4-13.

12) Carskadon MA. Patterns of sleep and sleepiness in adolescents. Pediatrician 1990;17:5-12.

13) Moore M, Meltzer LJ. The sleepy adolescent:

causes and consequences of sleepiness in teens.

Paediatr Respir Rev 2008;9:114-21.

14) Iglowstein I, Jenni OG, Molinari L, Largo RH.

Sleep duration from infancy to adolescence: re- ference values and generational trends. Pediatrics 2003;111:302-7.

15) Krueger PM, Friedman EM. Sleep duration in the United States: a cross-sectional population- based study. Am J Epidemiol 2009;169:1052-63.

16) Yang C-K, Kim JK, Patel SR, Lee J-H. Age- related changes in sleep/wake patterns among Korean teenagers. Pediatrics 2005;115(1 Supple):

250-6.

17) Shin C, Kim J, Lee S, Ahn Y, Joo S. Sleep habits,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school per- formance in high school students. Psychiatry and Clin Neurosci 2003;57:451-3.

18) Rhie S, Lee S, Chae KY. Sleep patterns and school performance of Korean adolescents as- sessed using a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daytime sleepiness scale. Korean J Pediatr 2011;54:29-35.

19) Perlman CA, Johnson SL, Mellman TA. The prospective impact of sleep duration on depres- sion and mania. Bipolar Disord 2006;8:271-4.

20) Hale L. Bedtimes and the blues: evidence in support of improving adolescent sleep. Sleep 2010;33:17-8.

21) Goodwin RD, Marusic A. Association between short sleep and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mong adults in the general population.

Sleep 2008;31:1097-101.

22) Lee YJ, Cho S-J, Cho IH, Kim SJ. Insufficient sleep and suicidality in adolescents. Sleep 2012;

35:455-60.

23) Liu X. Sleep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Sleep 2004;27:1351-8.

24) Foundation NS. Adolescents sleep needs and patterns: research report and resource guide.

Adol-escents sleep needs and patterns: research report and resource guide. National Sleep Foun- dation 2000.

25) Matricciani L, Olds T, Williams M. A review of evidence for the claim that children are sleeping less than in the past. Sleep 2011;34:651-9.

26) Bernert RA, Joiner TE. Sleep disturbances and suicide risk: a review of the literature. Neuro- psychiatr Dis Treat 2007;3:735-43.

27) Gangwisch JE, Babiss LA, Malaspina D, Turner JB, Zammit GK, Posner K. Earlier parental set bedtimes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depres- sion and suicidal ideation. Sleep 2010;33:97- 106.

수치

Fig. 1. Distribution of sleep groups according to sleep duration in South Korean adolescents.
Fig. 3. Self-rated emotional status by sleep group (nocturnal sleep duration). (A) Distribution of subjective happiness
Fig. 4. Distribution of self-reported happiness and stress level by grades. (A) subjective happiness
Fig. 7.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in the past 12 months by sleep group.

참조

관련 문서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and the current states of the global cosmetics industry. Seco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case analysis

Calculate values of the ratio A/A 1 (A 1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nozzle inlet) for the sections where the pressure is 600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atches, maturation and spawning, age and growth, and population ec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survival

Objective : The study aim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fully developed sea: unlimited fetch and duration of wind; wind energy input is balanced by energy dissipation due to wave breaking.. growing sea: limited fetch and

이중 학력에 따른 무용공연관람이 정서에 끼치는 영향 차이를 살펴보면,중학생에 비하여 고등학생들에게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더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장소에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LS), health behavior including smoking(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sleep(Pittsbu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