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in Mental Health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in Mental Health"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책임저자: 채정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2

󰂕 150-713,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Tel: 02-3779-1250, Fax: 02-780-6577

E-mail: alberto@catholic.ac.kr

접수: 2008년 3월 20일, 게재승인: 2008년 3월 31일

행복과 정신건강의 긍정심리학적 접근

*계요병원 정신과,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박 주 언 *ㆍ강 은 호ㆍ박 영 민ㆍ최 삼 욱§ㆍ채 정 호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in Mental Health

Joo-Eon Park*, Eun-Ho Kang, Young Min Park, Sam-Wook Choi§, Jeong-Ho Chae

*Department of Psychiatry, Keyo Hospital, Uiwang,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Inje University of Korea, Goyang, §Department of Psychiatr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Happi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have come in the public spotlight as well as the medical attention in several years. The authors review a framework, including current concepts and brief histories, in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y. We also summarize the known determinant factors of happiness or wellbeing. Until now, happiness as a goal of positive psychology appear to be determined by 3 major factors, such as not only a setpoint and some environments, but also individual efforts to achieve the happiness. Numerous evidences have been showed that various intentional activities as a good tool of positive psychology may help attempts to promote and maintain happiness and reduce mental illness, although investigations for implications in the clinical and social-institutional contexts should be continued. (Korean J Str Res 2008;16:107

∼114)

Key Words: Happiness, Positive psychology, Intentional activity, Intervention

서 론

1946년 세계보건기구에서 채택한 건강의 개념은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 라,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인 웰빙(wellbeing)을 이 룬 상태를 말한다. 이에 발맞추어 최근 몇 년 사이 신체질

환의 경우 질병의 치료에서 벗어나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 들면, 감염병이나 심혈관계 질환의 경우 임상적 측면이나 공중보건 측면에서 이미 예방이나 건강 증진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고 있다. 즉, 질병을 감소시키는 것 이 일차목적인 기존의 의학적 접근에서 벗어나 건강한 상 태를 더욱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질병 예방이나 건강 유지에 대한 일반인들의 실제적인 관심이 높아진 것 이 실제적인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최근 웰 빙, 행복, 삶의 질 등 정신건강의 긍정적 개념이 일반인들 의 입에 회자되고 있고, 이에 편승하여 시중에 팔리는 거 의 모든 제품들이 웰빙과 행복을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 러한 시점에 사회과학이나 심리학 영역에서 긍정심리학이

(2)

Table 1. Schematic approache to happiness.

HEDONIC APPROACH EUDAIMONIC APPROACH Creating high levels of happiness

Positive emotionality based on sensations Momentary

Expanding potentials

Personal growth from our deeper purpose and values Permanent

Feel-Good Happiness Value-Based Happiness Pleasant Life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Engaged Life

Positive strengths and virtues

Meaningful Life Positive institutions Extrinsic Life Goals Intrinsic Life Goals

란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였다. 긍정심리학은 개인의 단점이나 약점을 보완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기존 심리학 과 달리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그리고 사회적 기능을 강 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과 체계를 제공하는 과학이 다(Seligman and Csikszentmihalyi, 2000). 이러한 새로운 접근 법은 기존 접근법에서 소홀히 했던 삶의 가치, 삶의 질, 평 안, 행복 등의 요인들이 개인의 일상 삶에서 중요하고, 의 학이나 심리적 측면에서 건강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다는 점을 다시 상기시켰다. 또한, 개인의 강점을 강화시켜 줌으로써 보다 더 건강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의학 과 상보적인 상승 작용을 거둘 수 있다는 기대감마저 주고 있다. 결국, 인간의 취약성을 강조한 기존의 병리적 모델과 더불어 인간의 강점과 자원을 강화할 수 있는 긍정심리학 적 모델이 균형을 이루어야만 제대로 된 치료를 할 수 있 을 것이다(채정호, 2007).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정신의학계나 심리학계에서는 극소수의 연구자만이 관심을 가지고 있어 정신건강에 대 한 전문가들의 관점 변화가 아직 더 필요하다. 이러한 측 면에서 행복과 정신건강의 긍정심리학적 접근의 전반적인 고찰이 필요하고, 이것에 대해 논할 예정이다.

행복학과 긍정심리학 개념의 정의

행복학이란 궁극적으로 인간을 더욱 행복하고 평안한 상태로 만드는 과학이고, 긍정 심리학이란 인간의 강점과 잠재 능력에 대한 과학적인 접근을 하는 학문이다. 결국 행복학과 긍정 심리학은 주어진 환경이나 상황에서 최선 의 선택을 하게 하고, 그로 인한 최적의 기능을 유지시키 려는 과학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채정호, 2007). 하지만, 행복의 정의가 만족감이나 즐거움 등 다양한 의미로 쓰이

고 있어 과학적 접근을 하기 쉽지 않다. 이런 측면에서 행 복의 언어문화적 의미, 사회경제학적 의미, 심리학적 의미 로 나누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언어문화적 의미로써 살펴 보면, 국어와 영어에서 사용되는 행복이란 말의 뉘앙스가 조금 다르다. 이것은 이전 고찰(박주언, 2007)에서 설명하 였듯이, 영어권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행운이나 복이라 는 의미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중요하게 사용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오복(장수, 부유, 귀함, 편안, 많은 자손)을 복 받은 사람의 특징으로 보는 전통적인 동양 사상과 비슷 하고, 개인주의적인 서양권의 사고방식과 달리, 공동체주 의적인 의식을 가진 동양권의 인간이 사회적 기준에 영향 을 많이 받은 것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환경 의 영향을 중시하는 사회경제학적 접근에서의 행복 개념 과 유사한 맥락으로 보인다.

사회경제학적 의미에서 행복이란 복지(welfare)나 효용 (utility)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잘 살다(well fare)”는 복지의 어원이나 “이용하다”는 효용의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객관적인 삶의 조건이 행복의 가장 중요한 선결조건으로 여겨져 왔다. 이런 측면에서 사회경제학자들은 심리학적 기작을 통해 환경을 받아들인다는 심리학적 이해와 달리 환경의 직접적인 영향에 가장 관심을 두었다(박주언, 2007).

반면, 심리학적 접근에서의 행복은 개인적인 측면을 강 조한 웰빙이란 단어와 거의 동등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 만, 내적 만족감이나 말초적 즐거움 등 정의상 혼란스러움 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측면에서 행복을 쾌락 추구(hedonic; feel-good)와 가치 추구(eudaimonic; value-based) 로 나누는 접근법이 유용할 수 있다(Reiss, 2001; Ryan and Deci, 2001). 이런 접근법을 이후 발표된 보고들에서 주장한 분류와의 연관성을 Table 1에 요약하였다.

(3)

Fig. 1. Historical overview of happi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Abbreviations: GDP:

Cross Domestic Product, HDI: Human Deveiopment Index, HLY: Happy Life Years, HPI: Happy Planet Index.

먼저, 쾌락 추구형 행복이란 감각에 기초하여 즐거움을 얻고 고통과 부정적 감정을 피해 행복감과 만족감을 최대 한 얻으려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쾌락주의(hedonia)나 사회 경제학적 접근과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반면, 가치 추구형 행복이란 자기실현과 의미 찾기를 통해 심리내적 발전과 개인의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어, 행복한(또는 진정 한 웰빙) 상태를 추구하기 위해 개인의 덕성을 강조한 Aristotle의 유대모니아(eudaimonia) 개념과 유사하다. 이러한 분류 방식은 즐거움의 삶(pleasant life), 몰입의 삶(engaged life), 의미의 삶(meaningful life)으로 나눈 ‘행복한 삶의 분류’

와 ‘긍정심리학의 3가지 기둥’이라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Seligman, 2002). 즐거움의 삶이란 긍정적 감정과 관련이 있 고, 이것은 앞서 설명한 쾌락 추구형 행복과 유사한 개념 이다. 반면, 바람직한 삶(good life)이라고도 할 수 있는 몰입 의 삶의 경우 감각적 쾌락을 추구하지 않고 생기는 만족감 으로 다양한 긍정적 개인 특성(positive individual traits)을 최 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서 느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긍정적 제도(positive institutions)는 더 나은 공동 체를 구성하려는 강점과 관련이 있고 삶의 의미와 연관이 깊다. 이런 개념을 확장하여 Peterson과 Seligman (2004)은 행 복과 연관이 높고 범문화적으로 공통된 6가지 미덕과 그 하위에 24가지 강점으로 분류하였다. 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정의, 중용, 그리고 초월이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 는 6가지 미덕에 속하고, 이런 강점들을 잘 활용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현재까지 대부분의 심리학 문헌에서 사용하는 행 복의 의미는 Diener 등(1984; 1999; 2000)에 의해 주장된 ‘주

관적 웰빙(subjective well-being)’에서 말하는 개념과 유사하 다. 주관적 웰빙은 정서적 차원에서 긍정적 정서가 높으며 부정적 정서는 드물고, 인지적 차원에서 삶의 만족도가 높 은 상태를 말한다(Bradbum, 1969; Andrew and Withey, 1976;

Campbell et al., 1976). 주목할 점은, 정서적 차원에 대한 많 은 연구(Diener and Emmons, 1984; Kammann et al., 1984;

Diener et al., 1995; Cacioppo and Berntson, 1999)에서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의 관련성이 대체로 독립적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단순히 부정적 정서를 줄인다고 긍정적 정서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이것은 부정적 정서를 적게 느낄수록 긍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할 것이라 는 일반적인 기대와 배치되는 결과이다. 그리고, 웰빙에 영 향을 주는 심리적 측면과 성격적 특성 등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한 다차원 모델인 ‘심리적 웰빙(psychological well-being)’

이란 개념도 행복학 연구에서 많은 공헌을 하였다(Ryff and Keyes, 1995; Ryff and Singer, 1996; Ryff and Heidrich, 1997;

Schmutte and Ryff, 1997; Ryff et al., 2006). 이러한 심리적 웰 빙에는 자기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의 성장이 포함되고, 이 중 주관적 웰빙과 연관성이 높은 것은 자기수용과 환경에 대한 지배 력이라고 보고되었다(Ryff, 1989; Ryff and Keyes, 1995).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의 역사

현대의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은 서양 역사에서 중요한 기독교적 전통과 그리스 문화에서부터 근대의 심리학까지 다양한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다(Fig. 1). 초기 행복학의 태

(4)

Fig. 2. Determinant factors of happiness (Lyubomirsky et al., 2005).

동은 인간의 역할을 강조한 Aristoltole의 유대모니아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후의 정서적 측면을 강조한 에피쿠로스학파와 이성을 강조한 스토아학파 등과 함께 철학적인 측면에서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의 이론적 배경이 형성되었다(채정호, 2007).

사회경제학적 측면에서는 Bentham과 Mill로 대표되는 공 리주의가 행복에 대한 개념을 발전시키는데 일조하였다.

복지 또는 효용이라는 사회경제학적 행복 개념은 “최대 다 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기치 아래 전통적으로 거시적 접근 을 하였고, 외적인 조건이 직접적으로 행복에 영향을 준다 는 견해가 최근까지 주류를 이루었다. 하지만, 국민총생산 과 같은 단일 차원의 접근법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많 아지자, 소득, 수명, 건강, 교육, 환경, 문화, 안전 등의 다차 원적인 삶의 조건들을 측정함으로써 객관적인 삶의 질을 측정하고자 하였다(박주언, 2007). 이러한 사회지표에는 대 표적으로 유엔의 인구사회통계체계(System of Social and Demographic Statistics)와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UNDP, 2006)가 속한다. 하지만, 이런 외적인 조건만 으로 복지 수준을 평가하는 것에 반론이 제기되고 결국 1980년대에 이르러서 ‘삶의 만족도’란 주관적 지표를 보조 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Diener, 1984; Diener et al., 1999; Diener, 2000). 이후, Veenhoven (2004)에 의해 주장된 복지 지표로 삶의 만족도와 평균 수명을 이용한 ‘행복연 수’와 행복연수 개념을 확장하여 최근 발표된 ‘행복행성지 수’(Marks et al., 2006) 등 주관적 척도를 포함한 지표들이 발표되고 있다.

심리학적 접근에서는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던 전통 정 신분석학파의 접근법과 달리 부정적 상황에서조차 긍정적 측면을 강조한 Victor Frankl의 실존치료가 근대 긍정심리학 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기존에 대세를 이루던 역동심리학과 행동심리학에 반기를 든 인본주의 심리학파 에서도 동일한 주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내담자 중심 상담 을 제창한 Carl Rogers와 위계욕구론을 주장한 Abraham Maslow는 몇 가지 측면을 제외하고는 현재의 긍정심리학 과 거의 유사한 주장을 하였다.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의 과학적 연구의 시초는 1960년대 미국에서 실시된 삶의 만족감이나 행복에 대한 대규모 설 문조사라고 할 수 있다. 이것들을 바탕으로 행복학과 긍정 심리학에 대한 문헌들이 1967년에 Psychological Bulletin에서 시작되어, Social Indicators Researc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등

에서 발표되었다(채정호, 2007).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적 연구와 주장들이 단순한 학문적 개념을 넘어 사회, 문화, 경제, 정치 전반에서 새로운 패러 다임으로 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된 것은 1998년 미국심리 학회 연례회의에서 연설한 Martin Seligman 덕분이다. 그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정리된 현재의 긍정심리학은 이전의 실존치료나 인본주의적 접근법과 달리 인지행동치료에서 사용하던 과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특별한 능력 을 가지지 않은 보통 사람들도 보다 더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대중화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 들의 노력으로 인해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1999년 Journal of Happiness Research가 창간되었고, 2000년 1월엔 American Psychologist 잡지에 행복학과 긍정심 리학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개됨으로써 밀레니엄 이슈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한편, Edward Diener의 경우 행복이나 주관적 웰빙을 정의하고 측정하여 행복의 원인 및 역할과 횡문화적 차이를 밝혔고, Mihaly Csikszentmihalyi는 플로어 (flow)라는 용어를 소개하면서 최적의 상태에 도달하는 몰 입이라는 개념을 대중에 전달하는데 공헌하였다.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의 치료 요인

행복 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유전적 영향, 외적 환경의 영향 또는 개인의 과거 경험, 내적인 영향 또는 개 인의 현재 노력으로 나눌 수 있다(Lyubomirsky et al., 2005) (Fig. 2).

먼저 환경과 개인의 경험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다 (Diener et al., 1999). 사회경제학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적 측면의 경우 소득이 높은 사람이 더 행복하다는 단 면 연구(Warr and Payne, 1982; Diener et al., 1993)에도 불구

(5)

Table 2. Idealized session-by-session description of positive psycho- therapy.

Session and Theme Description

1: Orientation Lack of Positive Resources Maintains Depression

2: Engagement Identifying Signature Strengths 3: Engagement/pleasure Cultivation of Signature Strength and

Positive Emotions 4: Pleasure Good Versus Bad Memories 5: Pleasure/engagement Forgiveness

6: Pleasure/engagement Gratitude 7: Pleasure/engagement Mid-therapy Check

8: Meaning/engagement Satisficing Instead of Maximizing 9: Pleasure Optimism and Hope

10: Engagement/meaning Love and Attachment 11: Meaning Family Tree of Strengths

12: Pleasure Savoring

13: Meaning Gift of Time 14: Integration The Full Life 하고, 소득이 행복의 정도를 결정한다는 결론은 다소 회의

적이다. 미국과 중국 자료를 분석한 결과(Myers, 2004;

Layard, 2005; Kahneman and Krueger, 2006), 1인당 실질 국민 소득이 상당히 증가한 기간 동안 행복한 사람의 비율은 거 의 변하지 않았다. 나라별 비교에서도 일정 소득 수준(2005 년 기준 2만불)을 넘어선 국가에서는 소득과 행복과의 연 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더구나 이러한 일정 소득 수준에 미치지 못한 우리나라의 경우도 일인당 국민소득과 인간 개발지수는 지속적인 향상을 보였지만, 자살률은 오히려 증가하였고 주관적 행복감의 경우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 는 경향이 보였다(박주언, 2007). 그리고, 행복한 경험을 많 이 할수록 더욱 행복할 것이라는 가설(Feist et al., 1995;

Diener et al., 1999)도 일부분만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복 권 당첨자나 척추 부상자와 같이 극적 경험을 한 사람들의 행복감이나 불행감은 1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 다(Brickman et al., 1978) 이처럼 전반적으로 생활 사건이 행 복에 미치는 영향이 길지 않다는 많은 보고들(Brickman et al., 1978; Suh et al., 1996)과 더불어 환경이나 생활 경험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10% 정도라는 최근 메타분석 (Lyubomirsky et al., 2005) 결과는 환경의 영향보다는 다른 영향들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두번째로 고려할 요인은 행복 설정점(setpoint)(Headey and Wearing, 1992)으로 정의된 유전적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앞서 예시한 극적 경험을 한 사람들처럼 행복감이 일시적 으로 변할 수 있지만 결국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고정 된다는 행복 수준의 불변성이 제기되었다. 이런 주장은 쌍 둥이 연구(Tellegen et al., 1988; Lykken and Tellegen, 1996)나 장기 추적 관찰(Brickman et al., 1978; Headey and Wearing, 1989; Suh et al., 1996)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유전적 영향 에 대한 연구들(Bergeman et al., 1991; Harris et al., 1992;

Røysamb et al., 2002)은 대체로 행복의 50% 정도가 유전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태어난 후 변치 않는 기질이나 성격적 특성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 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 현재까지 성격적 특성에 대한 연 구 결과로는 외향성, 낙관성, 자존감, 통제감 등이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이었고, 신경증의 경우 부정적 정서와 관련 이 많다는 결과가 일관성 있게 보고되었다(박주언, 2007).

개인의 강점을 이용한 노력이 행복 수준을 결정하는 마 지막 요인이자, 긍정심리학에서의 치료적 개입이 가능한 부분이다. 이런 노력을 Lyubomirsky 등(2005)은 개인의 일상 에서 행하고 생각하는 다양한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의도적 활동(intentional activity)이라 개념 지었다. 이러한 개 인의 노력에는 운동(Stubbe et al., 2007), 웃음(Keltner and Bonanno, 1997), 친철(Magen and Aharoni, 1991)과 같은 행위 활동(behavioral activity)이 첫 번째 요인이다. 두 번째 요인은 인지 활동(cognitive activity)을 들 수 있다. 특히, 앞서 설명 한 행복 설정점과 관계가 깊은 성격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알려진 다양한 인지행동적 개입들이 도움이 될 수 있다(Burns, 1980; Beck and Freeman, 1990; Beck, 1996). 성격 적 특성을 나타낸 자기지향성(self-directedness), 협동성(coopera- tiveness), 자기초월성(self-transcendence)과 행복감을 비교한 보고(Cloninger, 2004)에서 3가지 요소가 모두 낮은 경우에 비해 3가지 요소가 모두 높은 경우가 행복한 사람의 비율 이 6배 정도 많았다는 점도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용서(McCullough et al., 2000), 자기반성(King, 2001), 감 사(Emmons and McCullough, 2003) 등의 인지적 개입들이 일 반인에게 효과적이라는 보고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치료 적 개입을 통한 Seligman 등(2005; 2006)의 전향적 연구는 매우 고무적이다. 2005년 보고에서 1주일 동안 감사편지 보내기, 좋은 일 3가지씩 적기, 최고의 순간 적기, 상위 5개 강점 새롭게 이용하기, 상위 5개 강점 자주 이용하기를 어 릴 때 기억을 적도록 하는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6개월 추 적관찰 동안 상위 5개 강점 새롭게 이용하기와 좋은 일 3 가지 적기의 경우 추적관찰 끝까지 행복감이 증가하고 우 울감이 감소한 상태가 지속되었고, 감사편지 쓰기는 1달간

(6)

지속되었다. 이런 좋은 연구 결과에 비해 전통적인 대면 심 리치료가 아닌 자신의 웹사이트(www.authentichappiness.org) 에 기반한 치료 프로그램이었다는 사실이 이 연구의 장점 이자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2006년 발표된 보고에 따르면, 이런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면 치료를 일반 대학생 및 실제로 치료 기관을 찾은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집단치료 나 개인 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프로그램은 당시까지 가 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진 개입기법들로 구성되었다(Table 2).

이 연구에서 거의 정상인에 가까운 일반 대학생들뿐 아니 라 개인 치료를 받은 우울증 환자들의 우울감 감소가 치료 를 받지 않았거나 전통적인 치료적 개입을 받았던 환자들 의 우울감 감소에 비해 현저하였다. 물론 저자의 경고처럼 이 연구가 예비연구적 성격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한다 하 더라도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노력의 하나인 의지 활동의 효과는 주로 Sheldo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증명되었다. 특히, 중요한 목표를 위한 노력(Brunstein, 1993; Sheldon and Kasser, 1995; Sheldon and Elliot, 1998; Sheldon and Kasser, 1998; Sheldon and Elliot, 1999; Sheldon and Houser-Marko, 2001; Sheldon, 2002; Sheldon et al., 2002)과 의미 있는 일에 헌신하는 것(Snyder and Omoto, 2001)이 대표적이다.

결 론

최근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은 의학적인 관심뿐만 아니라 대중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취약성을 강 조한 질병 모델의 한계와 긍정심리학적 모델의 새로운 가 능성에 주목해야 한다. 행복학과 긍정심리학의 횡문화적 의미뿐만 아니라, 심리학적 정의와 사회경제학적 이해에 서 상당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긍정심리학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행복이나 정신건강 증진에는 환경의 영향보다는 유전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유전적 영향과 가장 연관이 높은 기질과 성격적 특성에 대한 인지적 개입으로 개인의 행복이 증가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행위 활동 및 의지 활동과 같은 개입에서도 행복을 증가시키고 지속시 킨다는 고무적인 증거들이 늘고 있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과제번호:

A060273) 및 과학기술부 특정연구개발사업(M10644000013- 06N4400-0131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참 고 문 헌

박주언 (2007) 행복: 과학적 개요. 스트레스연구 15:187-197.

채정호 (2007) 긍정심리학과 행복학의 함입을 통한 정신의학 의 새로운 패러다임. 스트레스연구 15:177-186.

Andrew FM, Withey S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Beck AT (1996). Beyond belief: a theory of modes,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Frontiers of Cognitive Therapy. Salkovskis PM.

New York, Guilford: 1-25.

Beck AT, Freeman A (1990)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New York, Guilford.

Bergeman CS, Plomin R, Pedersen NL, McClearn GE (1991) Genetic med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 Aging 6:640-646.

Bradbum N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Brickman P, Coates D, Janoff-Bulman R (1978) Lottery winners and accident victims: is happiness relative? J Pers Soc Psychol 36:

917-927.

Brunstein J (1993) Personal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J Per Soc Psychol 65:1061-1070.

Burns DD (1980) Feeling Good: The New Mood Therapy. New York, Morrow.

Cacioppo JT, Berntson GG (1999) The affect system: architecture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r Dir Psychol Sci 8:133-137.

Campbell A, Converse PE, Rodgers W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Cloninger CR (2004) Feeling Good: The Science of Well-be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 Bull 95:542-575.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Am Psychol 55:34-43.

Diener E, Emmons RA (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 Pers Soc Psychol 47:1105-1117.

Diener E, Sandvik E, Seidlitz L, Diener M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ive or absolute?

Soc Indic Res 28:195-223.

Diener E, Smith H, Fujita F (1995)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 Per Soc Psychol 69:130-141.

Diener E, Suh EM, Lucas RE, Smith HL (1999) Subjective well- 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 Bull 125:276-302.

Emmons RA, McCullough ME (2003) Counting blessings versus burden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daily life. J Per Soc Psychol 84:377-389.

Feist GJ, Bodner TE, Jacobs JF, Miles M (1995) Integrating top- down and bottom-. up structural models of subjective well-being: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J Pers Soc Psychol 68:138-150.

(7)

Harris JR, Pedersen NL, Stacey C, et al (1992) Age differences in the etiolog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elf-rated health. J Aging Health 4:349-368.

Headey B, Wearing A (1989) Personality, life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Toward a dynamic equilibrium model. J Pers Soc Psychol 57:731-739.

Headey B, Wearing A (1992) Understanding Happiness: A Theory of Subjective Well-being. Melbourne, Victoria, Australia, Long- man Cheshire.

Kahneman D, Krueger AB (2006) Developments in the Measure- ment of Subjective Well-Being. J Econ Perspect 20:3-24.

Kammann R, Farry M, Herbison P (1984) The analysis and measurement of happiness as a sense of well-being. Soc Indic Res 15:91-115.

Keltner D, Bonanno GA (1997) A study of laughter and dissociation:

Distinct correlates of laughter and smiling during bereavement.

J Per Soc Psychol 73:687-702.

King LA (2001)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life goals. Per Soc Psychol Bull 27:798-807.

Layard R (2005) Happiness: Lessons from a New Science. New York, Penguin Press HC.

Lykken D, Tellegen A (1996) Happiness is a stochastic phenomenon.

Psychol Sci 7:186-189.

Lyubomirsky S, Sheldon KM, Schkade D (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 Gen Psychol 9:

111-131.

Magen Z, Aharoni R (1991) Adolescents’ contributing toward others:

Relationship to positive experiences and transpersonal commit- ment. J Hum Psychol 31:126-143.

Marks N, Abdallah S, Simms A, Thompson S (2006) The Happy Planet Index. London, New Economics Foundation.

McCullough ME, Pargament KI, Thoresen CE (2000) Forgive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Guilford Press.

Myers DG (2004) Psychology. New York, Worth Publishers.

Peterson C, Seligman ME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øysamb E, Harris JR, Magnus P, et al (2002) Subjective well-being.

Sex-specific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Pers Individ Dif 32:211-223.

Reiss S (2001) Secrets of Happiness. Psychol Today January-February:

58. Available at: http://psychologytoday.com.

Ryan RM, Deci E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 Rev Psychol 52:141-166.

Ryff C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 Pers Soc Psychol 57:

1069-1081.

Ryff CD, Dienberg Love G, Urry HL, et al (2006)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ll-being: do they have distinct or mirrored biological correlates? Psychother Psychosom 75:85-95.

Ryff CD, Heidrich SM (1997) Experience and Well-being: Explo- 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 J Behav Dev 20:193-206.

Ryff CD, Keyes CL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 Pers Soc Psychol 69:719-727.

Ryff CD, Singer B (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ning, measurement, and implications for psychotherapy research. Psy- chother Psychosom 65:14-23.

Schmutte PS, Ryff CD (1997) Personality and well-being: reexami- ning methods and meanings. J Pers Soc Psychol 73:549-559.

Seligman ME,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 Psychol 55:5-14.

Seligman ME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lfillment.

New York, Free Press/Simon and Schuster.

Seligman MEP, Rashid T, Parks A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 Psychologist 61:774-788.

Seligman MEP, Steen TA, Park N, Peterson C (2005)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Am Psychol 60:410-421.

Sheldon KM (2002). The self-concordance model of healthy goal- striving: When personal goals correctly represent the person.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Deci EL and Ryan RM.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65-86.

Sheldon KM, Elliot AJ (1998) Not all personal goals are personal:

Comparing autonomous and controlled reasons for goals as predictors of effort and attainment. Per Soc Psychol Bull 24:

546-557.

Sheldon KM, Elliot AJ (1999) Goal striving, need-satisfaction, and longitudinal well-being: The self-concordance model. J Per Soc Psychol 76:482-497.

Sheldon KM, Houser-Marko L (2001) Self-concordance, goal-attainment,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Can there be an upward spiral? J Per Soc Psychol 80:152-165.

Sheldon KM, Kasser T (1995) Coherence and congruence: Two aspects of personality integration. J Per Soc Psychol 68:531-543.

Sheldon KM, Kasser T (1998) Pursuing personal goals: Skills enable progress but not all progress is beneficial. Per Soc Psychol Bull 24:1319-1331.

Sheldon KM, Kasser T, Smith K, Share T (2002) Personal goals and psychological growth: Testing an intervention to enhance goal- attainment and personality integration. J Per 70:5-31.

Snyder M, Omoto AM (2001). Basic research and practical problems:

Volunteerism and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action. The practice of Social Influence in Multiple Cultures.

(8)

Wosinska W, Cialdini RB, Barrett DW and Reykowski J.

Mahwah, NJ, Erlbaum: 287-307.

Stubbe JH, de Moor MH, Boomsma DI, de Geus EJ (2007) The association between exercise participation and well-being: a co-twin study. Prev Med 44:148-152.

Suh E, Diener E, Fujita F (1996)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 matter. J Pers Soc Psychol 70:1091-1102.

Tellegen A, Lykken DT, Bouchard TJ, et al (1988) Personality similarity in twins reared apart and together. J Per Soc Psychol 54:1031-1039.

UNDP (2006). Beyond scarcity: Power, poverty and the global water crisis. Human Development Report, United Nations Develop- ment Programme (UNDP). Available at: http://www.undp.org.

Venhoven R (2004) Happy life years: a measure of gross national happiness. Gross national happiness and development. Pro- 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eminar on ‘Operationalization of Gross National Happiness’, Thimphu, Bhutan, Center of Bhutan Studies.

Warr P, Payne R (1982) Experience of strain and pleasure among British adults. Soc Sci Med 16:1691-1697.

수치

Table  1.  Schematic  approache  to  happiness.
Fig.  1.  Historical  overview  of  happiology  and  positive  psychology.  Abbreviations:  GDP:
Fig.  2.  Determinant  factors  of  happiness  (Lyubomirsky  et  al.,  2005).동은  인간의  역할을  강조한  Aristoltole의  유대모니아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Table 2. Idealized  session-by-session  description  of  positive  psycho- psycho-therapy.

참조

관련 문서

It would be reasonable as a teacher to make efforts not only to reflect on the class on their own, but also to improve th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y human resource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company cooperation method of IT SMEs,

Second, distance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such as physical condition, interaction,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First, it was found that some factors of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design qu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qualities of relationship to users such

The innovation of the mass media not only has changed the delivery process of a product but also has expanded into the image industry such as

difference depending upon health state of the family (p=.000). In conclusion, the family's depress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den as well as physica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the will of start-up according to experience

This study sought to apply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art classes with the aim of recognizing oneself as valuable and positive, while al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