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3.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성능개선 - 3 (6) Binary 구조 성능개선

Binary 특성을 가진 Li2S-P2S5계 구조는 1982년 Mercier et al. 에 의해 발견되어졌 고 현재까지 다양한 성능개선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속한 물질들은 20여년 동안 다양한 합성법을 적용시켜 우수한 특성을 내고자 연구되어 오고 있는 가운데, 2001 년 Hayashi et al.와 Liu et al.에 의해 Li2S-P2S5계의 합성법(ball-milling, wet Chemistry)이 처음으로 보고되었다[1,2]. 또한, Li2S와 P2S5는 습식공정(wet Chemistry) 을 통해, 유기화합물 tetrahydrofuran(THF)과 반응하여 β-Li3PS4를 형성했다[3]. 습식공 정을 통해 형성된 β-Li3PS4는 δ과 ϒ형과 달리 나노크기의 공극들이 다량으로 함유 되어 전도도 증가(1.6ⅹ10-4 S/cm)와 함께 낮은 활성화 에너지(0.36ev)를 갖는 특징 을 가짐으로써 학계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 이후로 습식공정법은 우수한 합성 법 중 한 가지로 여겨지고 있다.

Binary 구조 LPS계 전해질[xLi2S(100-x)P2S5]을 상온에서 ball-milling 공정을 통해 합성 후, 결정 구조의 구성물질들을 annealing을 함으로써 superionic crystal의 핵생 성에 의한 이온전도도가 향상된 것으로 보고되었다[4]. Li3PS4역시 wet chemistry공정 을 통해 이온전도도 향상과 더불어 β-polymorph가 관찰되었는데 용매와 건조온도 에 따라 전도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Wet chemistry공정은 미세한 분자를 함유한 용 매가 열처리에 의해 증발하여 나노크기의 공극들이 생김으로써 Li-ion이 지나가는 pathway가 생성되어 이온전도도가 향상되는 원리인데 β형 다형체 중에서 75%의 Li2S와 25%의 P2S5를 합성한 전해질은 THF와 반응하여 140℃의 건조온도에서 높은 전도도 수치를 기록했다(1.6×10-4 S/cm).

<그림1. Binary구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에서의 성능개선을 위한 대표적인 방법1>

(2)

(7) Ternary 구조 성능개선

Ternary구조에서 대표적인 성능개선법 중 하나는 고체합성법(soild-state)이다. 이 방법을 통해 질 좋은 고체입자를 얻음으로써 성능을 개선시킨다. 고온에서 시약이 나 파우더를 녹인 후 냉각 방식을 통해 입자가 생성되는 원리로 반응성이 향상되어 진다고 보고되었다[5]. Sn과 Si이 결합된 LGPS계 Li4−x[SnySi1−y]1−xPxS4는 고체합성법 에 따라 Li3PS4−Li4SnS4−Li4SiS4의 quasi Ternary 구조를 이룬다. [M1/P1](4d) site에 서 세 원자(P, Sn, Si)의 비율 변화는 리튬이온이 이동하는 통로의 폭을 조절하고 이 온전도도의 최적의 값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상온에서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Li3.45[Sn0.09Si0.36]P0.55S4(1.1×10-2 S/cm)는 본래의 LGPS 복합체와 비슷한 값을 지닌다.

또한 CV측정을 통해 Li이온 대비 5V의 높은 전위창을 보여 전기화학적으로도 안정 적인 특징을 나타냈다[6].

해당 전해질은 LGPS계의 Ge을 대신하여 Sn과 Si를 합성한 것으로 결과적으로 저비 용으로 물질을 얻을 수 있었고, 전기화학적 안정성 역시 향상되는 좋은 결과를 나 타냈다. 그러나 이온전도도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서 halid원소인 염소(Cl)를 치환하 여 2.5×10⁻² S/cm로 개선시킬수 있었다. 또한 합성 과정 중 Si 함량이 높을수록 전 도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표 1. Li3PS4의 β형 다형체, Wet Chemistry 합성에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이 온전도도1>

<그림2. Li3.45[Sn0.09Si0.36]P0.55S4의 CV 그래프 및 LCO 양극을 적용한 전고체배터리의 사이클 특성4>

(3)

(8) Argyrodite 구조 성능개선

Argyrodite 구조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중 하나로, 이의 대표적인 화합물인 Li7PS6

와 Li6PS5X (X=Cl, Br, I)는 높은 Li+이동성으로 고온에서의 입방정계 상(Cubic phase) 이 더 향상된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황(Sulfur)을 할로겐 음이온으로 대체하여 안정화 될 수 있다. 할로겐 원소가 치환되면서 argyrodite unit cell 내부의 Li-site 부분에 vacancy를 형성하여 Li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며, 이러한 할로겐 이온의 치환으로 인 해 실온에서도 입방정계(Cubic) 구조를 안정화한다[7]. Li-Argyrodite 구조는 리튬 전고 체 전지를 구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중 유망한 후보로 S.-T. Kong et al.에서는 Li6PS5X에 Cl, Br, I와 같은 할라이드 이온으로 치환하여 이온전도도와 구조적 특징과 의 상관관계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보고하였다[8].

M. Park et al.은 리튬금속에 안정한 anti-perovskite구조의 Li3SI와 이온전도성이 높은 Li6PS5Cl을 혼합하여 Ball-milling 공정을 통해 (100–x)Li3SI-xLi6PS5Cl (x = 0, 10, 20, 30) 고체전해질을 합성하여 0.1C 초기 충방전에서 165mAh/g의 방전용량을 나타 냈다고 보고하였다[9]. Li6PS5Cl의 경우, 매우 높은 이온전도도에도 불구하고 전극과 전해질 사이의 계면에서 부반응이 자주 일어나며, Li 금속을 음극으로 사용하는 경우

<표 2. 합성된 LGPS계 고체전해질의 구성 및 이온전도도4>

<그림3. Li-Argyrodite Li6PS5X (X=Cl, Br, I) 구조 및 할로겐 원소 및 Li+의 확산 경로a>

(4)

불안정하여 배터리의 사이클 안정성과 용량을 모두 감소시킨다. Li3SI는 리튬 금속 음극에 대하여 안정하지만, 이온전도성이 낮아 고체전해질로 적용할 경우 성능이 떨 어진다. 합성한 (100–x)Li3SIxLi6PS5Cl (x = 0, 10, 20, 30)의 경우 80Li3SI-20Li6PS5Cl이 리튬금속에 대해 우수한 안정성 및 5.84 x 10-4 S/cm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냈으며, Li-In/80Li3SI-20Li6PS5Cl/NCM811 복합 재료로 구성된 코인셀(2032-type)에서 초기 충 방전에서 165mAh/g의 우수한 용량을 발현하여 두 종류의 Li3SI 과 Li6PS5Cl 전해질 혼합을 통해 전기화학적 성능을 개선하였다.

Z. Zhang et al.은 구조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Li6PS5X (X=Cl, Br) 에서 다른 양이온으로 부분 치환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탐구하였으며, 이 중 Li6PS5Br에서의 이온전도도 0.9 x 10-3 S/cm에서 소량의 Al3+로의 치환을 통해 이온 전도도를 2.4 x 10-3 S/cm로 거의 3배 향상된 것을 보고하였다[10].

<그림4. Li-In/(100-x)Li3SI-xLi6PS5Cl/NCM811 초기 사이클 곡선 및 용량 유지율7>

<그림5. Al3+치환을 통한 Li6-3xAlxPS5Br구조의 Li+확산 Cage8>

(5)

일반적으로 Li+은 세 가지 가능한 jump process, 즉 inter-cage jump, intra-cage jump 및 doublet jump로 이동하며, 세 가지의 점프 과정이 동시에 활성화될 때 높 은 이온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림5와 같이 Li6PS5Br에서 소량의 Al3+로의 치환을 통해 48h-24g-48h의 doublet jump 거리는 더 큰 Columbic 반발에 기인하여 intra-cage jump 및 inter-cage jump 간의 거리가 단축된다. 일반적으로 이온의 이동속도 결정단계는 inter-cage jump이며, 점프 거리의 단축으로 인해 이온 전도도 향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해당 물질을 Au/Li5.4Al0.2PS5Br/Li 구성하여 순환 전압전류법(CV) 측정한 결과 심각한 부반응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TiS2를 양 극으로, 금속 리튬을 음극으로, Li5.4Al0.2PS5Br을 고체전해질로 하여 전고체 전지를 조 립하여 전기화학 성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상온에서 0.1C의 충전 속도에서 초기 방 전용량은 235mAh/g이었고 이후 10번째 사이클에서 210mAh/g로 초기 방전용량의 89%로 안정화되었다고 보고 하였다.

<그림6. Al3+치환을 통한 Li6-3xAlxPS5Br 고체전해질로 개선된 전기화학성능 평가8>

(6)

[참조문헌]

[1] Fuminori Mizuno, Akitoshi Hayashi, Kiyoharu Tadanaga, Masahiro Tatsumisago, High lithium ion conducting glass-ceramics in the system Li2S-P2S5,

Solid State Ion

., 177 (2006) 2721–2725.

[2] Zengcai Liu, Wujun Fu, E. Andrew Payzant, Xiang Yu, Zili Wu, Nancy J.

Dudney, Jim Kiggans, Kunlun Hong, Adam J. Rondinone, Chengdu Liang, Anomalous high ionic conductivity of nanoporous βLi3PS4,

J. Am. Chem. Soc.

, 135 (2013) 975–978.

[3] Omer Ulas Kudu, Theodosios Famprikis, Benoit Fleutot, Marc-David Braida, Thierry Le Mercier, M. Saiful Islam, Christian Masquelier. A review of structural properties and synthesis methods of solid electrolyte materials in the Li2S−P2S5 binary system.

J. Power Sources

, 407, 31-43 (2018).

[4] M. Tatsumisago, S. Hama, A. Hayashi, H. Morimoto, T. Minami, New lithium ion conducting glass-ceramics prepared from mechanochemical Li2S-P2S5

glasses,

Solid State Ion.

, 154, 635–640 (2002).

[5] Feng Juan Chen, YaLi Caoa, Dian Zeng Jia. A room-temperature solid-state -route for the synthesis of graphene oxide–metal sulfide composites with excellent photocatalytic activity.

CrystEngComm

.,23, 4747-4754 (2013).

[6] Sun Yulong, Suzuki Kota, Hori Satoshi, Hirayama Masaaki, Kanno Ryoji.

Superionic conductors: Li10δ[SnySi1–y]1+δP2−δS12 with a Li10GeP2S12-type Structure in the Li3PS4–Li4SnS4–Li4SiS4 quasi-ternary system, Chem. Mater., 29, 5858-5864 (2017).

[7] Kraft Marvin A, Culver Sean P, Calderon Mario, Böcher Felix, Krauskopf Thorben, Senyshyn Anatoliy, Dietrich Christian, Zevalkink Alexandra, Janek Jürgen, Zeier, Wolfgang G, Influence of Lattice Polarizability on the Ionic Conductivity in the Lithium Superionic Argyrodites Li6PS5X (X = Cl, Br, I), J. Am. Chem. Soc., 139, 10909-10918 (2017).

[8] 박상원, 이진웅, 냉각 방법에 따른 Argyrodite (Li5.5PS4.5Cl1.5) 의 구조 및 이온전도 성 연구,

Korean J. Met. Mater.

, 59, 247-255 (2021).

[9] Park Min-ho, Rajagopal Rajesh, Ryu Kwang-Su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mixed solid electrolyte (100-x) Li3SI-xLi6PS5Cl (x= 0, 10, 20, and 30) for all-solid-state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

, 501, 230031-2300318 (2021).

[10] Zhang Zhuoran, Zhang Jianxing, Jia Huanhuan, Peng Linfeng, An Tao, Xie Jia, Enhancing ionic conductivity of solid electrolyte by lithium substitution in halogenated Li-Argyrodite,

J. Power Sources

, 450, 227601-227607 (2020).

(7)

[표 및 그림출처]

[a] Tatsumisago Masahiro, Nagao Motohiro, Hayashi Akitoshi, Recent development of sulfide solid electrolytes and interfacial modification for all-solid-state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Asian Ceram. Soc.

, 1, 17-25 (2013).

참조

관련 문서

Recently, all-solid-state lithium-ion batteries (ASSLB), which are composed of inorganic solid materials with high stability,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Solid solutions of the nonstoichiometric Dy—SnCoOw system with the compositions of 光 =0.00, 0.25, 0.50, 0.75, and 1.00 have been synthesized by the solid state reaction at

 The Gibbs free energy of a solid or liquid changes only slightly with pressure, so we can neglect the change and use 1 for the activity of a pure solid or liquid

Solid content, which refers to the amount of solid (drug and excipients) in the aqueous dispers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fabricating a FDT by freeze-drying technique.

9-12 At this point of view, we adopted an activated silica nanoparticles with various silane groups to solidifying a liquid electrolytes and to enhance

ซ - ฌ 2 -(S,Se) 4 structured of phosphor have been used at various field because those have high luminescent efficiency and broad emission band.. Among these

다른 스위칭 패턴 을 이용하여 각각의 H-brdige 모듈의 DC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을 조절하여 DC-link 불평형을 해결하는 방 법 및 H-bridge 모듈의 출력전압이 동일하면 각 모듈의

Intrinsic Carrier Concentration Kittel, Solid State Physics (Chapter 8). Density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