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황화물계 전고체전지

2.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분류 - 1 (1) 황화물 고체전해질 개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높은 이온전도도(10⁻²~10⁻³ S/cm)와 전기화학적 안정성 (LGPS의 경우 약 5V까지 vs. Li/Li+)을 바탕으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결정구조의 유무에 따라 결정계(crystal)와 비정질계 (non-crystalline)로 나뉠 수 있다. 결정계에서 thio-Lisicon, LGPS, Argyrodite구조가 대표적이고 비정질계에서는 열처리 온도 차이에 의해 glass 그리고 glass-ceramic 전 해질로 나뉠 수 있다. Glass형태 고체전해질은 일본 하야시 교수 연구 그룹에 의해 활발히 진행되었는데 Li2S5와 P2S5를 7:3정도의 비율로 혼합하여 고에너지 볼밀링을 통해 비정질화를 진행시켜 glass형태의 고체전해질을 형성하고 이후 낮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통해 glass- ceramic 전해질을 합성하여 높은 이온전도도가 나타냄을 보고 하였다(10⁻³ S/cm). 황화물계 전해질 중 하나인 LGPS(Li10GeP2S12)는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상온에서 1.2×10⁻² S/cm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다. LGPS가 보고된 이 후 Ge과 같은 족의 원소로 치환하는 연구가 폭발적으로 진행되었는데(예를 들어 Ge

<표 1.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이온전도도a>

(2)

를 Si, Sn, Al로, S를 Se로 치환) 모두가 LGPS 보다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진 않 았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장점을 가질 수 있었다(P가 포함되지 않은 Li4SnS4의 경우 이온전도도는 7.1×10⁻5 S/cm이나 As 치환을 통해 1.39×10⁻³ S/cm으로 크게 향 상). 또한 2016년에 보고된 LPSCl계 Li9.54Si1.74P1.44S11.7Cl0.3이 2.5×10⁻² S/cm으로 리튬 이온전지 전해액 수준의 이온전도도를 기록한 데 힘입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연구 가 전고체 전지 실용화에 큰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를 통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이온전도도 개선 측면에서 진 전을 보였고 열적 안전성이 높아 열 폭주에 의한 화재 발생 염려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대기 노출시 수분 반응성이 높아 H2S를 형성시켜 공기 중 안정성이 취약한 상태이다. 그리고 양극재와 황화물 고체전해질 간 접촉에 있어 불안정한 계면을 띄게 되므로 낮은 효율의 수명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해 질이 고체이기 때문에 전극과 전해질의 계면 저항을 피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이 온전도도의 개선 뿐만아니라 수분 반응성 및 계면 안정성을 개선하고 상용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도 함께 수반되고 있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argyrodite 고체전해질 소재 내부에 안티모니(Sb)를 도입하여 수분 반응성을 줄임으로써 H2S 발생을 70% 이상 줄이는 데 성공하여 기

<그림 1. Li10GeP2S12와 Li9.54Si1.74P1.44S11.7Cl0.3의 결정 구조b>

<그림 2. 황과 수분간 반응 매커니즘c>

(3)

존의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대기 안정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또한, 계면 안정성을 개선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양극재 코팅 및 전해질 입자크기를 소형화하는 등 계면 저항의 억제 및 접촉 안정성 향상을 위한 연구들도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아울 러, 한국전기연구원에서는 고체전해질 합성에서 일반적으로 높은 에너지가 드는 볼- 밀링 사용의 단점을 개선하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저가로 대량생산 가능한 액상 방법 중 하나인 공침법을 개발하는 성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황화물계 전해질은 구조에 따라서 binary, ternary 구조로 분류할 수 있다. binary 구조에서 Li2S-P2S5, ternary 구조에서는 Li2S-GeS2-P2S5가 높은 이온전도도 특성이 있 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Ag8GeS6광물과 동일 구조의 고체 전해질의 중 하나인 argyrodite (아지로다이트) 구조도 있다. 필자는 이번 2, 3차시 순서로 구조적 인 특징 즉, argyrodite, binary, ternary 구조를 소개하고자 한다.

(2) Argyrodite (아지로다이트) 구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Argyrodite 구조는 광석인 Ag8GeS6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리튬 이온전도성을 나타내는 고체전해질 중 하나이다. 전고체 전지에서 Li+ 전도성을 갖는 Li-Argyrodite 구조의 전해질은 대표적으로 Li7PS6와 Li6PS5X (X=Cl, Br, I) 가 있다.

Li-Argyrodite 전해질 합성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밀링, 밀링 후 어닐링, 고 체 소결, 액상법 등이 있다. 하지만 전해질 합성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아직 많은 연 구가 필요한 실증이다. Li-Argyrodite 전해질은 공기와 습도에 민감하여 합성조건이 까다롭다는 점이 있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함에 따른 안전에 관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도 하고, 마지막으로 반응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와 불완전한 반응 메커니즘으로 인 한 전해질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점 등이 제시되고 있다. Li-Argyrodite 구조인 Li7PS6는 고온에서 입방정(Cubic) 또는 저온에서 사방정계(Orthorhombic) 상(phase)를

<표 2. 할로겐화 아지로다이트의 이온전도율d>

(4)

갖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며, 고온에서의 입방정계 상이 더 향상된 이온전도도를 가 지며 황(Sulfur)을 할로겐 음이온으로 대체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할로겐 원소가 치 환되면서 argyrodite unit cell 내부의 Li-site 부분에 vacancy를 형성하여 Li 이온전도 도를 향상시키며, 이러한 할로겐 이온의 치환으로 인해 실온에서도 입방정계(Cubic) 구조를 안정화하여 할로겐 원소가 치환된 Li6PS5Br와 Li6PS5Cl 는 10-3 S/cm 이상의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다.

그림 4. 과 같이 Li-Argyrodite Li6PS5X의 결정구조에서 S2- 및 Cl-/Br- 음이온은 면심 입방 격자(FCC)와 PS43-사면체 site를 형성하며 Li6PS5X의 S2- 및 X-는 세 가지의 다른 결정학적 위치를 갖게 된다. 여기서 16e-site는 S2- 음이온이 차지하고, 4a 및 4b-site 의 경우 X- 음이온이 공유하게 된다. 이로 인해 Li6PS5X 구조에서 무질서한 할로겐 음이온(S/Br, S/Cl, S/I)이 존재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Li+전도도가 향상되는 것으 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Li 확산으로 인해 (인접 부분 48h-24g-48h 및 cage 내 의 48h-48h, cage 사이의 48h-48h) cage 간의 이동은 거시적 장거리 이온 수송에서 지배적 역할을 하는 반면, 황을 할로겐으로 대체하면 S2-/X- 의 무질서한 격자배열로 인해 국소 Li+ 확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vacancy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그림 3. Li-Argyrodite Li6PS5X(X= Cl, Br, I)의 결정구조f>

<그림 2. Li-Argyrodite 고체 전해질 합성법e>

(5)

보고되어 진다.

[참고 문헌]

[1] Park Yong Joon, Lee Jun Won. Enhanced Cathode/Sulfide Electrolyte Interface Stability Using an Li2ZrO3 Coating for All-Solid-State Batteries. Vol. 9, 176-183 (2018).

[2] 박건호, 오대양, 김동현, 남영진, 정윤석. 무기계 고체전해질 및 벌크형리튬 전고체전지 기술 동향. Vol. 6, 35-42 (2015).

[3] 김주미, 오지민, 김주영, 이영기, 김광만. 리튬이차전지용고체 전해질의 최근 진전과 전망.

Vol. 22, 87-103 (2019).

[4] 김광만, 오지민, 신동옥, 김주영, 이영기.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용고체 전해질 기술. Vol.

36 (2021).

[5] Wu Jinghua, Shen Lin, Zhang Zhihua, Liu Gaozhan, Wang Zhiyan, Zhou Dong, Wan Hongli, Xu Xiaoxiong, Yao Xiayin. All‑Solid‑State Lithium Batteries with

Sulfide Electrolytes and Oxide Cathodes. Vol. 4, 101-135 (2020).

[6] Zhao Wenjia, Yi Jin, He Ping, Zhou Haoshen. Solid-State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Fundamental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Vol. 2, 574-605 (2019).

[7] 김규범. 전고체전지에서 양극복합체의 계면 안정성 향상을 위한 산소 치환 Li6PS5Cl Argyrodite고체전해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20).

[8] Kraft Marvin A, Culver Sean P, Calderon Mario, Böcher Felix, Krauskopf Thorben, Senyshyn Anatoliy, Dietrich Christian, Zevalkink Alexandra, Janek Jürgen, Zeier, Wolfgang G. Influence of Lattice Polarizability on the Ionic Conductivity in the Lithium Superionic Argyrodites Li6PS5X (X = Cl, Br, I). Vol. 139, 10909-10918 (2017).

[9] 박상원, 이진웅. 냉각 방법에 따른 Argyrodite (Li5.5PS4.5Cl1.5)의 구조 및 이온전도성 연구.

Vol. 59, 247-255 (2021).

<그림 4. 할로겐 원소 및 Li+의 확산 경로g>

(6)

[표 및 그림 출처]

[a] 김경수, 한국전기전자학회. 고에너지 이차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고체전해질 및 전 고체전지 연구개발 동향. Vol. 30, 20-31 (2017).

[b] Changhong Wang, Jianwen Liang, Yang Zhao, Matthew Zheng, Xiaona Li, Xueliang Sun. All-solid-state lithium batteries enabled by sulfide electrolytes: from fundamental research. Vol. 14, 2577-2619 (2021).

[c] Yosef Nikodimos, Chen-Jui Huang, Bereket Woldegbreal Taklu, Wei-Nien Su, Bing Joe Hwang. Chemical stability of sulfide solid-state electrolytes: stability toward humid air and compatibility with solvents and binders. Vol. 15, 991-1033 (2022).

[d] Ma Ze, Xue Huai Guo, Guo Sheng Ping. Recent achievements on sulfide-type solid electrolytes: crystal structure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Vol. 53, 3927-3938 (2018).

[e] Yu Chuang, Zhao Feiping, Luo Jing, Zhang Long, Sun Xueliang. Recent development of lithium argyrodite solid-state electrolytes for solid-state batteries: synthesis, structure, stability and dynamics. Vol. 83, 2211-2855 (2021).

[f] Zhao Wenjia, Yi Jin, He Ping, Zhou Haoshen. Solid-State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Fundamental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Vol. 2, 574-605 (2019).

[g] Zhao Wenjia, Yi Jin, He Ping, Zhou Haoshen. Solid-State Electrolytes for Lithium-Ion Batteries: Fundamentals, Challenges and Perspectives. Vol. 2, 574-605 (2019).

참조

관련 문서

The solid state physics related phenomena including crystal structure, crystal vibration, electric and magnetic properties will be discussed through this cours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only a few references are available for the dehalogenation of aromatic halides in solid state under solvent-free conditions using molecular

9-12 At this point of view, we adopted an activated silica nanoparticles with various silane groups to solidifying a liquid electrolytes and to enhance

ซ - ฌ 2 -(S,Se) 4 structured of phosphor have been used at various field because those have high luminescent efficiency and broad emission band.. Among these

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NiO 2 Cathode Material Prepared by an Adiphic Acid-Assisted Sol/Gel Method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Solid State Ion-

다른 스위칭 패턴 을 이용하여 각각의 H-brdige 모듈의 DC 캐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을 조절하여 DC-link 불평형을 해결하는 방 법 및 H-bridge 모듈의 출력전압이 동일하면 각 모듈의

Recently, all-solid-state lithium-ion batteries (ASSLB), which are composed of inorganic solid materials with high stability, have received great attention

Solid solutions of the nonstoichiometric Dy—SnCoOw system with the compositions of 光 =0.00, 0.25, 0.50, 0.75, and 1.00 have been synthesized by the solid state reaction 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