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발음 평가 등급에 따른 유음 발화 양상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발음 평가 등급에 따른 유음 발화 양상 연구"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발음 평가 등급에 따른 유음 발화 양상 연구

*

김려은

(연세대학교)**

이석재

(연세대학교)***

Kim, Ryeo-Eun and Seok-Chae Rhee. 2019. A study on English liquids in the rated L2 English speech corpus of Korean learners.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9-1, 53-75. This study investigates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of English liquids /r/ and /l/ depending on the phonological context that /r/ or /l/ occurs, and shows the correspondences between the students’ English pronunciation level and accuracy of liquid pronunciation. Words that contain liquids were extracted from the rated Korean spoken English speech corpus and divided into five different phonological environments; word initial, word initial cluster, word medial, word final, word final cluster positions. The pronunciations of the words were evaluated by two Korean and two English raters. The overall results showed similar accuracy rates between /r/ and /l/, but when viewed through the positional categories, more errors of /r/ were made in word initial, word medial position, and word final cluster positions and /l/ in the word-final position. In initial clusters, both liquids were evaluated similarly. Regarding the correspondences between the students’ English pronunciation level and accuracy of liquid pronunciation, learners who were rated as higher level showed higher liquid pronunciation accuracy than those who ranked lower. It could be said, therefor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overall pronunciation level and accuracy rates of liquids.

Keywords: English liquids, pronunciation, Korean speakers, evaluation, speech corpus

1. 서론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최근 우리나라 영어 교육과정의 목표 중 하나로 원활한 의사소통 을 위한 유창성이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단순히 영어 어휘 지식이나 문장의 해석 . 능력이 아닌 실제로 말하고 쓸 줄 아는 표현력 , (productive skills) 을 근간으로 세계와 적극 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끔 하는 영어를 교육하기 위함이다 현재에는 영어말하기 발음교 .

*

이 논문은 교신저자가 ETRI 위탁과제로 구축한 음성코퍼스를 바탕으로 쓰여진 제 저자의 석사학위 1 논문 중 일부분을 수정 보완한 것임.

**

제 저자 김려은 1 :

***

교신저자 이석재 :

(2)

육에 있어 원어민 수준의 완벽한 발음보다는 이해 가능한 수준의 정확한 발음을 교육 목표 로 두고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바르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추구되 고 있다.

이때 청자가 이해 가능한 수준의 발음으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분절음 , 에 대한 이해는 의미 전달에 근본적 역할을 하며 우리나라 영어교육에서 반드시 (segment)

다루어져야 할 요소라 할 수 있다 유혜배 윤한나 ( , 2009). 다시 말해 음소의 정확한 발음 방 법을 숙지하여야만 자연스러운 연결 발화가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 Fries(1945) 는 음성 조직 체계를 이해하는 것 즉 분절음의 특징을 숙지하고 발음할 수 있는 능력을 외국어 학 , 습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 꼽으며 발음 교육을 강조하였다 최근 교육과정의 개편에도 여 . 전히 우리나라 영어학습자들은 다양한 발음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Park and Park 2014), 특 히 유음 (liquid) 의 경우 영어와 한국어의 음소체계 및 음운현상의 차이로 한국인이 가장 학 , 습하기 어려운 영어 발음 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영어의 유음은 . /r/ 과 /l/ 로 두 가지지만 한 , 국어의 경우 /l/ 로 단일 음소만이 있으며 두 언어에서의 유음은 모두 단어 내 위치와 이에 , 따른 음운현상에 따라 다양한 변이꼴로 실현된다 이보림 이숙향 ( , 2004). 이 때문에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은 유음 발음에 한국어의 음소를 대치하는 등 다양한 오류를 범하며 의사소통 의 장애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영어 유음의 발음 양상을 단어 내 유음 위치별 그리고 영어 . 학습자들의 발음 능력별로 조사하여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적절한 유음 교육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차원에서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유음 발음 양상을 어휘 내 위 치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학습자의 발음 수준과 유음 발음 정확성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 자 한다 이를 위하여 등급화된 한국인의 . L2 영어 음성코퍼스를 이용하여 영어 유음 발음의 정확도 및 오류 양상을 분석하고 한 어휘 내에서 발생하는 유음의 정확도 양상을 어휘 내 , 위치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다섯 등급으로 나누어진 한국인 학습자의 발화 자료를 이 . , 용하여 등급별 유음 발음 정확도 양상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발음 수준에 따른 유음 발음 , 정확도 양상의 차이를 파악하여 발화 등급과 유음 정확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2.

한국어와 영어의 유음 음소 차이 2.1

한국어의 유음은 하나의 음소 /l/ 만 존재하지만 서로 다른 환경에서 나타나는 상보적 분 ,

포 (complementary distribution) 의 변이음으로 설측음 [l](lateral) 과 탄설음 [ɾ](flap) 의 두

소리로 산출된다 설측음 . [l] 은 비강 통로를 차단하고 혀끝을 윗잇몸에 대어 혀의 양쪽 통로

로 공기를 통과시켜 조음한다 이는 어두에서 나타나지 않으며 어말에서 나타난다 조남민 . , (

(3)

예를 들어 개발 에서의 발 을 발음할 때 의 음가는 설측음 이 되는 것이다

2014). , ‘ ’ ‘ ’ /l/ [l] .

반면 탄설음 [ɾ] 은 혀끝을 잇몸에 빠르게 닿았다가 떼어내며 실현되는 소리로 , ‘ 비례 와 같 ’ 이 모음과 모음 사이나 라디오 와 같은 외래어의 어두에서 발음된다 ‘ ’ . ( 본 논문에서 어두는 음절 단위 구분에 있어 초성 (onset) 에 해당하며 어중은 단어 중간에서 실현되는 초성 또는 , 종성 (coda), 어말은 종성에 해당한다 .)

이와 달리 영어의 유음은 설측음 /l/ 과 권설음 /r/ 로 두 가지의 음소가 개별적으로 존재 한다 두 유음 모두 단어의 어두와 어말뿐 아니라 어두 자음군 어말 자음군 등 어느 위치 . , 에서든 발음할 수 있다 설측음 . /l/ 은 음절 두음 위치에서 나타날 때 혀끝이 치경에 닿고 공 기가 혀의 양옆을 통과하며 나는 소리인 ‘clear l’ 로 발음하며 밝은 /l/(light l) 이라고도 한 다 이는 . ‘like’ 와 같이 단어의 첫 자리나 ‘bullet’ 에서처럼 모음과 모음 사이 또는 , ‘glance’ 와 같이 음절 초의 자음 뒤에서 나타난다 또 . , ‘feel’ 과 같이 단어의 마지막 모음 뒤나 ‘help’ 에 서처럼 모음 뒤이며 자음 앞에서 나타날 때 후설을 연구개 쪽으로 올려 발음하는 어두운

로 조음한다 이 경우 로 표기하며 연구개음화 라고도 일컫는다

/l/(dark l) . [ɫ] , (velarization) .

권설음 /r/ 은 연구개를 상승시키고 비강에 이르는 통로를 막아 혀끝을 치경 쪽에 접근시켜 내는 소리이다 혀끝 부분이 치경 바로 뒤를 향해 말아 올려지고 전설과 중설 부분은 급격 . 히 낮아지며 혀의 중간이 들어가게 된다 전상범 ( 2005). 즉 영어의 두 유음은 조음 방법이 다르고 같은 환경에서 발음되어도 의미의 차이를 가져오는 독립적인 음소이다 한국어 유음 . 의 변이음으로 여겨지는 탄설음 [ɾ] 은 영어에서 /t/ 와 /d/ 의 변이음으로 유음에 속하지 않아 조음 체계의 차이를 보인다 윤은경 원종화 ( , 2016). 그러므로 한국어와 영어의 서로 다른 음 운 체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은 유음을 발음하며 다양한 오류를 범 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한국인의 영어 유음 발음오류의 종류 2.2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은 영어와 한국어의 음소체계의 차이로 인해 혼란을 겪는다 영어의 . 유음은 어느 위치에서든 자유롭게 나타나지만 한국어의 유음은 , /l/ 의 변이음들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만 나타나는 상보적 특성을 가진다 이렇듯 두 언어의 유음이 일대일 대응을 이루 . 지 않아 다양한 환경에서 부정확한 발음을 일으킬 수 있다 또 한국인에게 권설음 발음이 . , 익숙하지 않아 한국어의 음운규칙을 외국어에 전이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Kang 1999).

한국어 음운 체계를 습득한 우리나라 영어학습자들에게 유음 /r/ 과 /l/ 의 차이를 이해하고 다른 음으로 구별하여 인식 발음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 . /r/ 을 발음해야 할 때 을 또는 을 발음해야 할 때 발음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특히 초성의 은 우

/l/ , /l/ /r/ . /r/

리말 /l/ 이 초성에 나타날 때와 유사하여 해당 위치의 /l/ 을 탄설음 [ɾ] 로 대치하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나곤 한다.

환경에 따라 자주 발생하는 오류를 연구한 Ingram 과 Park(1998) 에 의하면 한국인은 어

(4)

두에 나타나는 /l/ 과 어두 자음군에 나타나는 /r/ 발음을 가장 어려워한다고 밝히었으며 어 두에서는 탄설음으로 실현되며 자음군 체계를 가지지 않은 모국어의 규칙으로 조음 환경에 , 따라 오류의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반대로 영어에만 존재하는 규칙을 실제 발 . 화에 적용하지 못하여 어말에 오는 /r/ 발음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r-coloring), 설측음의 연구개음화 (velarization) 를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장태엽 ( 2005). 즉 특정 , 음운환경에서 나타나는 이음의 특성이 영어 발음 습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한국인 학습 자의 영어 유음 음소에 대한 이해 및 발화는 단어 내에서 유음이 발생하는 음운환경과 밀접 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행 연구 2.3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유음에 대한 인식 및 발음 양상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 어왔다 (Borden 외 인 2 1983, Ingram and Park 1998, Kang 1999, Kwon 2010, 박은실

구희산 연구 목적이나 방법 결과의 측면에서는 다르나 모든 연구에서 한국

2011, 2012). , ,

인 화자가 영어 유음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을 주장하였다 . Borden 외 인 2 에 의하면 한국인 발화자의 영어 유음에 대한 발음은 자음군 위치를 제외한 모든 곳 (1983)

에서 /l/ 발음의 오류가 /r/ 발음보다 더 빈번히 발생한다고 하였다 특히 낮은 숙련도의 한 . , 국인이 /l/ 을 /r/ 로 발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줄어든다고 하였다 . 여기서 학습자의 발음 능력과 유음 발음이 상관관계가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또한 한 . , 국인 영어학습자의 유음 인지 및 발화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주로 /r/ 보다는 /l/ 을 인지하고 발음하는 데 더 많은 오류를 범하고 주로 초성과 종성을 발음할 때 오류가 관찰되고 어중 , 에서 가장 적은 오류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Kang 1999). 위 연구들에서는 모두 /r/ 의 발음 이 /l/ 발음에 비하여 더 정확하다는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다 .

그러나 구희산 (2012) 은 /l/ 이 /r/ 보다 정확하게 발음하기 쉽다고 주장하며 위 연구들과 반대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 단어 내 위치에 따라 발성 능력에 차이가 난다고 주장하며 . , 은 어말과 모음 간 위치에서 발음하기 더 쉽고 은 어두 위치에서 보다 더 발음하기

/l/ , /r/ /l/

용이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 Ingram 과 Park(1998) 의 연구에서 한국인은 어두에 나 타나는 /l/ 을 발음할 때 가장 오류를 많이 범하였고 /r/ 의 경우는 어두 자음군에 속할 때 가 장 부정확하였다고 하였으며 어두 자음군에서 한국인은 , /r/ 과 /l/ 을 구분하여 발음할 수 있 었다고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단어 내 환경에 따라 음소의 발음 정확성이 다르게 , 나타남을 예견해 볼 수 있다.

특히 Kang(1999) 의 연구와 구희산 (2012) 연구 간의 차이는 모두 소수의 20 , 30 대 대의

대학생과 대학원생 실험자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일반화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의 결과는 두 유음 음소의 발음 정확도 양상에 다 .

른 발음 양상을 보여주어 일반화에 어려움이 따르며 어휘 내 위치에 따른 유음 발음 양상 ,

(5)

을 학습자의 발음 능력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소수의 발음 자료만을 이용하여 모두 다른 연 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인의 영어 유음 발음 양상을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 따라서 본 연구는 등급화된 코퍼스 음성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유음 발음 양상을 조사 하고 실제 영어 발화 평가와 유음 발음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다양한 발음 수준을 지 , 닌 학습자들의 유음 발음 양상의 차이를 규명하며 선행 연구의 제한점들을 보완하고자 한 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

한 어휘 내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유음 환경 단일 어두 어두 자음군 어중 단일 어

1) ( , , ,

말 어말 자음군 에서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보이는 , ) /r/ 과 /l/ 의 발음 정확도는 어떠 하며 이 둘 중 어느 발음을 더 정확히 발화하는가 , ?

한 어휘 내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유음 환경 내에서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의 유음 발 2)

음의 정확성은 영어 발음 평가 등급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 방법 3.

연구의 시료 3.1

본 연구는 등급화된 한국인의 ‘ L2 영어 음성코퍼스 (Genie SpeeCor 라 칭함 의 음성 자료 )’

의 일부를 추출하여 진행되었다 . Genie SpeeCor 는 2015~2018 년 미래창조과학부와 정보통 신기술지원센터의 지원으로 언어학습을 위한 자유 발화형 음성 대화 처리 원천기술 개발 ‘ ’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제작된 음성코퍼스이다 이석재 ( 2016). 이 음성코퍼스는 한국어가 모 국어인 초등 중등 성인 세 집단 각 , , ( 60 , 80 , 60 ) 명 명 명 이 개별 문장이나 짧은 문단을 보고 말하거나 (Look & Speak), 듣고 따라 말하는 방식 (Listen & Speak) 으로 발화된 음성코퍼 스 자료이다 이후 원어민 평가자와 영어 음성학 및 음운론 대학원생 평가자가 발음 평가를 . 시행하여 등급에서 등급 1 5 (1= 최하위 등급 , 5= 최상위 등급 으로 구분하였다 약 ) . 10,000 개 의 음성 파일이 코퍼스 자료로 추출되었으며 신뢰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총 인의 평가자 5 중 인 이상 동일한 점수를 부여하고 나머지 인의 평가 등급이 한 등급 이상 차이 나지 3 , 2 않는 음성 파일만을 따로 추출하여 재구성한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연구 도구 및 분석 방법 3.2

본 연구는 신뢰도가 극대화된 Genie SpeeCor 의 발화 문장 중 영어 유음 /r/ 과 /l/ 이 포함

된 개별 단어만을 따로 추출하였다 그러나 등급별로 발화 문장의 개수에 차이가 있어 발화 .

문장의 개수가 적은 등급과 등급의 유음은 모두 추출하고 1 5 , 2, 3, 4 등급의 발화 문장은 그

(6)

개수와 유사하게 맞추어 무작위로 추출하였다 등급별로 추출된 유음이 포함된 어휘의 개수 . 는 다음 표 과 같다 1 .

1. Genie SpeeCor 의 등급별 유음이 포함된 단어 개수

평가 등급 평가된 단어 총

개수 r l

등급

1 55 35 20

등급

2 109 71 40

등급

3 111 71 41

등급

4 112 72 41

등급

5 92 57 34

총 단어 개수 115 85 47

등급별 유음 음소가 포함된 단어의 총 개수가 모든 단어의 합과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는 , 동일 단어에 유음 /r/ 과 /l/ 이 모두 있는 경우나 , ‘grandfather’ 와 같이 한 단어에서 같은 유 음이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거나 , ‘elevator’ 와 같이 다른 음소의 유음이 한 단어에 포함된 예도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단어 내에서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에 따라 단어를 어두 . , 어중 어말로 분류한 뒤 어두와 어말에서 다른 자음과 함께 발음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각각 , 단일 유음과 자음군 환경으로 분류하였다 즉 단일 어두 어두 자음군 단일 어중 단일 어 . , , , , 말 어말 자음군의 다섯 가지 종류의 어휘 내 환경별로 카테고리를 나누었으며 해당 카테 , , 고리별 단어 개수는 아래 표 와 같다 2 .

2. 단어 내 위치에 따른 유음 음소별 발화 개수 괄호 안 단어는 예시임 ( ) 단어 내

위치

어두 (read)

어두 자음군 (blue)

어중 (corner)

어말 (all)

어말 자음군 (build)

음소별 발화 총합

총 발화 개수

r 84 145 25 225 68 547

l 85 60 22 150 68 385 932

추출된 단어를 바탕으로 20 년 이상 미국에 거주하였으며 미국식 영어를 구사하는 원어민

평가자 인과 영어권 국가에 거주한 경험이 있으며 영어교육을 전공하는 서울 소재 교육대 2

학원 재학생 인의 한국인 평가자 총 인에 의하여 유음 평가가 시행되었다 평가자의 편 2 , 4 .

견 없는 판단을 위해 등급 정보는 제공하지 않았으며 모든 등급의 발화를 혼합하여 무작위 ,

로 배열한 뒤 음성 파일을 듣고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지를 제작하였으며 평가된 단어 종류

는 본 연구의 부록에 첨부하였다 한 단어에 다수의 유음이 포함된 경우 평가할 유음에 밑 .

줄을 표시하여 해당 유음만을 평가하도록 안내하였다 평가자들은 한 단어에 나타난 유음의 .

발음을 듣고 정확하며 이해 가능한 수준의 유음을 발음한다고 판단될 경우 ○ 를 단어를 이 ,

(7)

해할 수 있으나 원어민과 차이가 크거나 어색한 경우나 잘못된 발음일 경우에는 × 로 평 가하였다 각 평가자는 다섯 가지 등급에 있는 . 932 개의 단어를 듣고 단어에 포함된 유음 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자는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유음의 위치를 구분하지 않은 채 . /r/

과 /l/ 발음 중 어느 발음의 정확도가 높은지 비교하였으며 한 어휘 내 유음이 발생하는 , 위치별 단일 어두 어두 자음군 어중 단일 어말 어말 자음군 로 나누어 두 유음의 정확 ( , , , , ) 도를 비교하였다 이와 더불어 발음 환경에 따른 학습자의 등급에 따른 유음 정확도 양 . 상을 살펴보고 발음 평가 등급과 유음 정확도 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4.

유음 발음 정확도 양상 4.1

전체 유음 발음 정확도 양상 비교 4.1.1

발음 정확도를 비교하기에 앞서 평가자 간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크론바흐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표 과 같다

(Crombach’s alpha) 3 .

3. 4 인 평가자 간 신뢰도 모든 평가자 간

신뢰도

Crombach’s Alpha 채점자 수

.82

*

4

모든 평가자 간 신뢰도 계수는 0.82 로 평가자 간에 유의한 채점자 간 신뢰도 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모든 평가자의 평가 결과가 통계적 (inter-rater reliability) . ,

으로 유의미한 신뢰도를 가져 평가 기준에 유사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에 신뢰성이 있 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평가된 유음 발음의 전체적인 정확도 비율을 비교하여 영어의

두 유음의 정확도 양상을 비교해보기 위해 인의 평가자가 각자 평가한 4 932 개의 음소를

모두 종합하여 총 3728 개의 유음 음소 중 정확한 유음으로 평가받은 음소의 비율을 살

펴보았다.

(8)

0%

10%

20%

30%

40%

50%

60%

정확도 69.54 67.87

/r/ /l/

그림 1. 모든 평가자의 음소 별 정확도 평가 비율

한 어휘 내 음소의 위치 구분 없이 총 인 평가자의 유음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음소 4 /r/

은 총 2188 개 중 1485 개의 음소를 정확한 발음으로 평가받았으며 67.87% 의 정확도 비율 을 보이며 총 , 1540 개 중 1071 개의 발음을 정확한 발음으로 평가받은 /l/ 의 정확도 비율은

로 나타난다 유음 음소 별 정확도 비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

69.54% .

아보기 위하여 ANOVA 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

4. 전체적 유음 정확도 평가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합 F 값 유의확률

발음종류 1 0.0019 0.0019 0.0092 0.92

Residuals 3618 771.5657 0.2132

두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을 구분하지 않고 전반적인 정확도 양상을 비교하여 일원분산분 석 (one-way ANOVA) 을 실시한 결과 유의확률이 , 0.92 로 나타나 유의확률인 0.05 보다 높 게 나타났다 통계 검정 결과 역시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두 영어 유음을 발음할 때 두 유음 . 간의 정확도의 차이는 없으며 비슷한 정확성 및 오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음소의 위치별 유음 발음 정확도 비교 4.1.2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을 구분하지 않았을 때와 한 어휘 내에서 발음되는 유음 /r/ 과 /l/

발음의 정확도를 위치별로 구분할 때 나타나는 정확도 양상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하기 위하여 전체적 유음 정확도 및 단일 어두 어두 자음군 어중 단일 어말 어말 자음군 , , , ,

과 같이 음소가 발생하는 환경별 정확도 비율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이표본 비 .

율검정을 실시하여 각 위치에서 나타난 정확도 양상의 통계적 유의성을 조사한 결과를 아래

표 로 정리하였다 5 .

(9)

5. 유음의 위치별 발음 정확도 비율 및 이표본 비율검정

/r/ /l/ 자유도 95% 신뢰구간 검정통

계량 유의확률

하한 상한

전체 67.87% 69.54% 1 -0.029 0.028 0.04 0.99

단일 어두

(red : left) 57.73% 80.29% 1 -0.24 -0.11 32.02 p < 0.01 어두 자음군

(break : blue) 82.27% 78.33% 1 -0.04 0.07 0.14 0.69 어중

(squirrel : color) 55.20% 83.33%% 1 0.07 0.17 29.62 p < 0.01 단일 어말

(car : all) 69.02% 57.94% 1 -0.23 -0.08 16.92 p < 0.01 어말 자음군

(bird : wolf) 50.36% 67.27% 1 -0.27 -0,08 13.84 p < 0.01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인 발화자의 전체적인 두 유음 발음 정확도 차이는 이표본 비 율검정 결과에서도 유의하지 않았으므로 Genie SpeeCor 에서 한국어가 모국어인 한국인 영 어학습자들은 두 유음의 전반적인 발화 정확도 평가에서 두 유음 음소 /r/ 과 /l/ 의 정확도는 유사한 정도로 평가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어휘 내 환경에 따른 유음 정확도 비율 양상을 살펴본 결과 , , /r/ 발음은 어두 자음 군 환경이 82.27% 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단일 어말이 , 69.02%, 단일 어두가

어중 어말 자음군 의 비율로 점차 낮은 정확도 양상을 띠었다 따

57.73%, 55.20%, 50.36% .

라서 유음 /r/ 음소는 한 어휘 내에서 나타나는 환경별로 상이한 정확도 비율을 보였다 . /l/

발음은 어중의 환경에서 발음될 때 83.33% 의 비율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의 비율로 단일 어두 어두 자음군 어말 자음군 단일 80.29%, 78.33%, 67.27%, 57.94% , , , 어말의 순서로 낮아지는 정확도 양상을 보였다 음소 . /l/ 은 주로 어말 환경보다 어두 환경에 서 발음될 때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어두 자음군에서 가장 . , 높은 정확도를 보인 음소 /r/ 과 달리 음소 /l/ 은 어중에 위치할 때 가장 정확성이 높게 나타 나고 정확도가 높은 환경의 순서가 달리 나타나 두 음소의 정확도 양상이 다름을 알 수 있 다.

이표본 비율검정을 통해 두 유음을 한 단어 내에서 발생하는 환경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는지 조사한 결과 두 유음 정답 비율의 차이는 어두 자음군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

유의하게 나타났다 먼저 단일 어말 환경에서는 . /r/ 발음의 정확도가 유의한 차이로 /l/ 발음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편 단일 어두와 어중 어말 자음군 환경에서는 유의한 차이 . , ,

로 /l/ 발음이 /r/ 보다 높은 정확한 발음을 했다고 평가받았다 특히 어중에서 가장 큰 비율 .

차이를 볼 수 있으며 두 유음은 동일한 위치에서 보이는 정확도 양상이 같지 않음을 알 수 ,

있는 결과였다 위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위치별 정확도 차이를 정리하였다 . .

(10)

0%

10%

20%

30%

40%

50%

60%

70%

단일어두 어두

자음군

어중 단일어말 어말

자음군

/r/

/l/

그림 2. 어휘 내 위치별 유음의 정확도 양상

그림 에서 볼 수 있듯이 어두 자음군에서는 두 발음이 비슷한 정확도로 평가받았으며 2 , , 반대로 어중에서는 가장 큰 폭의 정확도 차이로 /l/ 의 정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어말 위치에서만 . , /l/ 보다 /r/ 의 발음이 더 정확하게 평가받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 단어 내 유음 . /r/ 과 /l/ 이 나타나는 각 환경의 정확도 및 두 발 음 간 정확도 차이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표 과 같이 이원배치 분산분석 6 (two-way

을 실시하였다

ANOVA) .

6.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별 이원배치 분산분석 (two-way ANOVA)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합 F 값 유의확률

발음 종류 1 0.0019 0.0019 0.0097 0.92

발음 위치 4 23.8574 5.9643 29.5237 p < 0.01

교호 작용 4 18.4201 4.6050 22.7950 p < 0.01

residuals 3610 729.2882 0.2020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나타난 한국인 화자의 /r/ 과 /l/ 발음 종류에 따른 발음 정확도

차이는 0.92(p > 0.05) 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발음 위치에 따른 유음 발음 평가 결과 .

는 유의수준이 0.01 미만으로 나타나 유의한 값을 보였다 이는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별로 .

나누어 보면 /r/ 과 /l/ 의 정확도 비율은 차이가 있음을 말한다 이와 더불어 유음 종류와 발 .

음 위치에서 나타난 비율 차이의 교호 작용 결과도 유의하게 나타나 발음 위치와 두 유음 ,

종류의 조합에 의해서도 정답 비율에 차이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유음 발음의 평 .

가 결과는 한 단어 내에서 유음이 발생하는 환경에 따라 정확도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1)

평가 등급과 유음 발음 정확도의 양상 4.2

등급별 유음 발음의 정확도 비교 4.2.1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 질문인 발음 평가 등급과 유음 발음의 정확도 간 상관관계를 알 아보기에 앞서 등급별 유음 음소 발음의 정확도를 살펴보았다 평가 등급별로 두 유음의 정 . 확도를 산출하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는 그림 과 같다 3 .

0 20 40 60 80 100 120

/r/

/l/

90.38 95.4

93.35 85.34

67.04 64.08

44.25 49.56

41.93 35.51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그림 3. 등급별 유음 발음의 정확도 (%)

그림 의 그래프는 등급이 올라갈수록 두 유음의 정확도 비율도 점차 상승하는 양상을 3 띠고 있다 이는 화자의 전체적인 발음 능력이 우수할수록 분절적 요소인 유음 발음 또한 .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유음 /r/ 의 정확도는 등급이 높아질수록 정확도 비율이 일정하게 상승하는 것을 보인 반 면 , /l/ 의 정확도는 등급과 등급 간 정확도 비율의 차이가 다소 작았으며 등급은 등급 1 2 4 5 보다 한 등급 낮은 평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등급보다 약 5 3% 높은 비율의 정확도를 보였다 그러나 한 등급 차이가 나는 비슷한 등급 간 정확도 비율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 . 고 등급이 높은 화자일수록 낮은 등급의 화자보다 높은 정확도 비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각 두 유음 음소를 구분하여 평가 등급 간 차이와 그 유의성을 .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과 사후검정 (post-hoc test) 을 실행하였다 .

7. 등급별 /r/ 발음 정확도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합 F 값 유의확률

등급 4 28.800 7.200 79.782 p < 0.01

residuals 541 48.824 0.090

(12)

8. /r/ 발음의 등급 간 차이 사후 검정 (post-hoc test)

등급 비교등급 집단 간 차이 유의확률 신뢰구간

하한 상한

1 2 0.1331 0.01 0.01 0.25

3 0.2862 0.00 0.16 0.40

4 0.5084 0.00 0.39 0.62

5 0.6260 0.00 0.51 0.74

2 3 0.1530 0.00 0.04 0.26

4 0.3752 0.00 0.26 0.48

5 0.4928 0.00 0.38 0.60

3 4 0.2221 0.00 0.11 0.33

5 0.3398 0.00 0.23 0.45

4 5 0.1176 0.02 0.01 0.22

위 표 은 모든 등급끼리 서로 비교하여 유음 8 /r/ 의 등급 간의 정확도 비율의 차이의 유의성을 살펴본 결과이다 통계 검정 결과 모든 등급 간 . , /r/ 발음의 정확도에서 유의미 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사후검정을 통해 개별 등급 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이는 . , 표 와 같이 나타났다 발음 평가 등급이 한 등급 또는 그 이상 높을수록 9 . /r/ 발음의 정확 도가 등급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발음 평가 등 . 급이 높은 화자일수록 유음 /r/ 발음도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고 평가받았으며 모든 , 등급 간 정확도 차이 또한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음 /l/ 에 대한 등급별 차이 및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고 이는 아래 표 표 과 같다

9, 10 .

9. 등급별 /l/ 발음 정확도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합 F 값 유의확률

등급 4 18.524 4.631 58.434 p<0.01

Residuals 354 28.055 0.079

(13)

10. /l/ 발음의 등급 간 차이 사후 검정 (post-hoc test)

등급 비교등급 집단 간 차이 유의확률 신뢰구간

하한 상한

1 2 0.0508 0.83 -0.08 0.18

3 0.2397 0.00 0.09 0.38

4 0.5176 0.00 0.38 0.65

5 0.5346 0.00 0.40 0.66

2 3 0.1888 0.00 0.05 0.31

4 0.4667 0.00 0.34 0.59

5 0.4837 0.00 0.36 0.60

3 4 0.2779 0.00 0.14 0.41

5 0.2949 0.00 0.16 0.42

4 5 0.0170 0.99 -0.10 0.14

발음은 등급과 등급 간 등급과 등급 간 정확도 차이를 제외한 나머지 등급 간

/l/ 1 2 , 4 5

의 정확도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두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등급 간 . /l/

발음오류 차이는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위 결과를 통해 등급이 유사한 하위 등급 상 , , 위 등급 간에는 유음 /l/ 발음의 정확도 비율에 유사성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 . 으로 두 유음 모두 등급이 높을수록 유음 발음의 정확도를 높게 평가받은 것을 알 수 있 다.

어휘 내 위치에서의 등급별 유음 발음 정확도 비교 4.2.2

다음으로 앞서 살펴본 등급별 전체적 유음의 발음 정확도를 한 단어 내에서 발생하

는 위치에 따라 구분하여 그 정확도 비율을 산출하였다 이는 다음 표 . 11 과 같다 .

11. 발음 평가 등급에 따른 /r/ 발음의 위치별 정확도 비율

정확도(%) 1 등급 2 등급 3 등급 4 등급 5 등급

단일 어두 13.33 47.72 51.67 84.37 92.19

어두 자음군 52.77 76.85 83.33 96.87 99.28

어중 25 30 45.83 80 75

단일 어말 39.28 45 65.21 80.1 95.69

어말 자음군 21.87 25 45.83 83.33 97.5

전반적으로 모든 환경에서 화자의 등급이 높을수록 정확도 비율도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수한 발음 평가를 받은 화자일수록 분절음 중 유음의 발음을 다양한 환경 .

에서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으며 낮은 등급일수록 환경에 따라 다른 정확도를 보인다 , .

특히 어두 자음군 환경은 등급에서 , 1 52.77% 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여 낮은 등급의 ,

(14)

화자가 가장 용이하게 발음할 수 있는 /r/ 발음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외 환 . 경에서는 다소 낮은 정확도 비율을 보여주었다 한편 상위 등급의 화자들은 모든 환경에 . , 서 높은 정확도 비율을 보여주어 다양한 환경에서 유음 발음을 능숙하게 한 것으로 예상 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각 환경별로 나타나는 발음 정확도와 등급 간의 차이의 통 . 계적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12. /r/ 의 어휘 내 위치와 등급에 따른 분산분석 (Two-way ANOVA)

/r/ Df Sum sq Mean sq F value P-value

발음 환경 4 25.9792 6.4948 44.1740 p < 0.01

등급 4 110.7653 27.6913 188.3408 p < 0.01

환경 등급 * 16 11.8206 0.7388 5.0248 p < 0.01

residuals 2159 329.2536 0.1514

발음이 발생하는 환경에 따른 발음 정확도와 모든 학습자의 등급의 차이와 의 정

/r/ /r/

확도 양상이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한 결과 /r/ 발음이 발생하는 환경과 학습자의 등급에 따른 차이 발음 환경과 등급의 교호작용 모두 유의미 , (p < 0.01) 한 결 과를 보였다 즉 한 어휘 내 유음의 위치에 따라 . , /r/ 의 발음 정확도는 차이가 있으며 하 , 위 평가 등급의 화자들은 유음 /r/ 의 정확도가 상위 집단보다 낮고 평가 등급이 높아질수 록 모든 어휘 내 환경에서 더 정확한 발음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유음 /l/ 발음의 환경별 정확도 비율은 아래 표 13 과 같다 .

13. 발음 평가 등급에 따른 /l/ 발음의 위치별 정확도 비율

정확도(%) 1 등급 2 등급 3 등급 4 등급 5 등급

단일 어두 55.55 60.05 93.75 98.21 89.47

어두 자음군 62.5 55 86.11 94.23 99.28

어중 없음 58.33 83.33 100 75

단일 어말 23.91 26.51 40.38 92.74 87.17

어말 자음군 42.30 38.33 66.67 87.5 96.67

발음과 마찬가지로 상위 등급이 하위 등급보다 더욱 높은 정확도 양상을 보였으며

/r/ ,

어두 자음군도 /r/ 과 동일하게 가장 낮은 등급인 등급에서 1 62.5% 로 다른 환경에서보다 높은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하위 등급의 발화자들은 다양한 환경에서 각기 다른 비율의 . 정확도 양상을 보였지만 상위 등급의 발화자들은 대부분 , 80, 90% 대의 정확도를 보이며 모두 높은 정확도 비율을 보였다 다음으로 분산분석을 통해 어휘 내 위치에 따른 음소 .

의 등급 별 차이를 검정하였다

/l/ .

(15)

14. /l/ 의 어휘 내 위치와 등급에 따른 분산분석 (Two-way ANOVA)

/l/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합 F 값 유의확률

발음 환경 4 16.2983 4.0746 27.5496 p < 0.01

등급 4 78.2161 19.5540 132.2113 p < 0.01

환경 등급 * 16 13.1475 0.8217 5.8585 p < 0.01

residuals 1411 211.0531 0.1479

발음과 같이 음소 은 모든 어휘 내 유음 발생 환경에서 학습자의 등급별로 발음

/r/ /l/

정확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등급과 환경 간 상호작용도 매우 유의미(p < 0.01) 하였다 이는 등급이 높을수록 화자의 유음 발음의 정확도도 높아지는 것을 보여준다고 . 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유음 모두 등급 간 정확도에 차이가 나타나며 각 환경에 따라 다 . , 른 비율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위 영어 발화자가 하위 발화자보다 . , 모든 환경에서 더 정확한 유음을 발음하는 양상을 띠었다.

결론 5.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국제적인 소통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는 수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한 근간이 되는 정확한 발음 습득은 한국 영어교육에서 반드시 다루어 . 져야 할 요소이다 효과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 우리나라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특정 음 . 소별로 그리고 그 음소가 발생하는 환경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음소에 , , 대한 적절한 발음 방안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영어의 분절음 중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오류를 자주 범하여 소통상의 어려움 을 유발하는 유음 /r/ 과 /l/ 발음 양상에 관한 연구로 이를 한 어휘 내에서 나타나는 환경 , 단일 어두 어두 자음군 어중 단일 어말 어말 자음군 에 따른 유음 발화 정확도 양상을

( , , , , )

살펴보고 더 나아가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발음 평가 등급 , (1 등급 ~5 등급 과 유음 정확 ) 도 양상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첫째 , /r/ 과 /l/ 의 전체적 정확도 비율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의 발화 . 자 다수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대용량 코퍼스에 포함된 발화를 활용한 실험으로 소수의 피 , 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고 두 유음 중 한 유음을 더 정확히 발음할 수 있다고 주장한 기존 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두 유음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한국인 영어 학습자는 . 원어민과 같은 발음으로 두 유음을 구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두 유음을 발음 환경에 따라 나누어 본 결과 단일 어두와 어중 어말 자음군에서는 , , 이 보다 더 정확한 발음으로 구사할 수 있었다 한국어의 유음은 어두나 모음과 모음

/l/ /r/ .

사이에서 발음될 때 설탄음화 (flapping) 현상이 발생하여 /r/ 대신 탄설음 /ɾ/ 을 사용하기 때

(16)

문에 단일 어두와 어중 환경의 /r/ 발음에서 오류가 더 많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뿐만 . 아니라 , ‘analysis’ 와 같이 어중에서 나타난 영어의 /l/ 은 중복음 (lateral geminate) 으로 발음 되고 이 발음은 한국어의 벌레 와 같이 어중에서 나타나는 ㄹㄹ 연속자음과 유사하게 발 , ‘ ’ ‘ ’ 음될 수 있어 /l/ 발음이 더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Park 2000). 어말 자음군에서 /l/ 의 정 확도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영어에서 유음을 포함한 어말 자음군을 발음할 때 뒤따라오는 , 자음의 영향으로 비록 어말에 나타나지만 발음은 , ‘clear l’ 로 실현되고 이는 한국어에서 어 , 말에 유음이 나타나고 다음 음절에 연이어 자음이 나타날 때 /r/ 보다는 /l/ 과 유사한 발음이 오는 것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 /r/ 이 포함된 어말 자음군을 발음할 때 한국어 체계에 존재 하지 않는 자음군 패턴이 영어의 어말에만 나타나는 발음인 /r/ 과 합쳐져 더욱 혼동을 유발 한 것도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두 자음군 환경에서 두 유음의 정확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어두 . 에 자음군을 허용하지 않는 어휘 체계를 지닌 한국어 화자들에게 자음군 자체에 대한 인식 및 발화에 어려움을 초래하기 때문이다(Henly and Sheldon 1986). 단일 어말에서는 /r/ 발 음의 정확성이 /l/ 보다 높게 평가되었는데 , 어말에 /l/ 이 나타날 때 우리나라에 존재하지 , 않는 종성 ‘dark l’ 발음이 모국어에 존재하지 않아 다른 음향학적 특성을 가진 발음을 하므 로 상당한 어려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박시균 ( 2004). 이로써 한 단어에서 각 유음이 발 생하는 환경에 따라 발음의 난이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Ingram and Park

윤원희

1998, 2009).

셋째 유음 발음은 총체적 발음 평가의 평가 기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의 , . 등급이 상승할수록 유음 발음의 정확도 또한 향상하는 양상을 보였다. / r/ 발음은 모든 등 급에서 유의한 차이로 정확도가 점차 높아졌고 , /l/ 의 경우 등급과 등급과 등급 1 2 4 , 5 등급 간의 정확도 차이를 제외한 모든 등급끼리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1, 2 등급의 화자들 의 발화는 영어 말하기에 있어 초급 수준으로 함께 묶어볼 수 있으며 이들은 , 4, 5 등급 인 고급 수준의 발화자들보다 유음을 발음할 때 더 부정확한 발화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비슷한 등급끼리의 정확도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즉 발음 . , 평가에 있어 /r/ 발음의 정확도는 총체적 발음 평가 등급을 구분하는 평가 기준으로 작용 하였으며 , /l/ 발음은 초 중 상급을 나누는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총 , , . 체적 발음 평가와 유음 발음 정확성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유음 발음의 정확도는 , 총체적 발음 평가에서 하나의 평가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 /r/ 과 /l/ 모두 각 어휘 내 환경에서 나타나는 정확도 비율 또한 학습자의 등급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었다 등급이 높은 발화자일수록 낮은 등급의 발화자보다 유의미하 . 게 높은 비율의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두 자음군에서 두 유음은 모 . 두 등급에서도 1 50%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 Eckman(1977) 은 유표성 차이 가설 에 의하여 무표적인 패턴이 유표적인 것보다 학습 (markedness differential hypothesis)

이 손쉽게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다 즉 유음 발음이 어두 자음군 환경에서 발생할 때 . ,

(17)

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통용되는 발음인 무표적인 음으로 더 쉽게 정확한 발음을 구

/l/ ,

사할 수 있다 전은 ( 2005). 그러므로 어두 자음군 위치에서 /l/ 은 낮은 등급 화자의 경우 에도 발음이 다른 위치에서보다 쉬웠을 것이다 반면 . ‘fry’ 와 같이 /r/ 이 어두 자음군에 올 경우 , /f/ 가 하나의 음절로 발음되며 ‘ry’ 가 또 다른 음절로 발음되어 최소대립쌍 ‘fly’

와 구별이 가능하여 두 유음을 구별하여 구사하는 데 용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 . 으로 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유음의 정확도는 상승했으며 모든 환경을 종합적으로 보았 , 을 때 등급이 높을수록 하위 학습자의 유음 발음보다 더 능숙하였다 이 결과로 유음의 , . 정확도가 발음 평가 요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됨을 다시 한 번 시사해준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등급화된 실제 발화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오류 양상을 다 양한 어휘 내 환경에 따라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오직 인의 평가자만 . 4 의 평가 결과만으로 분석하였다는 점과 초분절적 요소는 다루지 못한 점에 있어 한계가 있 다 따라서 유음 이외의 영어의 강세 억양 등 초분절적 요소를 고려한 분절음의 발음에 초 . , 점을 둔 후속연구를 바탕으로 정확한 발음을 구사할 수 있는 영어교육 환경을 조성할 필요 가 있다.

참고문헌

구희산 (Koo, H.). 2012. 영어학습자의 유음 /l/ 과 /r/ 의 발성 능력 연구 (A study of production ability of English liquid /l/ and /r/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한국교육문제연구 ≫ ( Korean Education Inquiry) 30-2, 115-126.

박시균 (Park, S.). 2004.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발음 오류 원인 분석과 교육 방법 모색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English mispronunciation by Korean learners and solution for their improvement). ≪언어학≫(EONEOHAG: Journal of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40, 113-143.

유혜배⋅윤한나 (Yoo, H., Yoon. H.). 2009. 한국인 성인 영어학습자의 대화상에 나타난 분절음 발음오류 연구(An error analysis of English segments in adult students’

conversation). ≪인문학연구≫(Study of Humanities) 12, 185-212.

윤은경 ⋅ 원종화(Yoon, E., Won, J.). 2016. 한 영 통역 전공 학생의 발음 오류 연구 한 - : 국어의 간섭현상을 중심으로(Significance of pronunciation-training for Korean-English interpretation students: Focusing on the effects of mother tongue(L1) transfer in L2 delivery). ≪통번역학연구 ≫ ( Journal of the Interpretation & Translation Institute) 20-2, 27-58.

이보림 ⋅ 이숙향(Lee, B., Lee, S.). 2003. 한국어 화자의 영어유음 지각 및 산출에 관한

연구(Korean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liquids). ≪말소리와

(18)

음성과학≫(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61-84.

이석재 (Rhee, S-C.). 2016. 등급화된 한국인의 L2 영어 음성코퍼스 구축 (Rated L2 speech corpus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 한국음성학회 (In Papers from the Region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윤원희 (Yoon, W-H.). 2009. 한국인 영어 학습자 발음 평가에 대한 한국인과 원어민의 차이(Discrepancy between Korean and native English raters evaluating the English pronunciation spoken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언어과학연구≫

(The Journal of Linguistics Science) 48, 201-217.

장태엽 (Jang. T.). 2005.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음성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an English speech database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언어와 언어학 (

≪ ≫ Language and Linguistics). 35. 293-312

전상범(Chon. S-B.). 2005. 『영어음성학개론』(English Phonetics) 서울 . : 을유문화사 (Seoul: Eulyoomoonwhasa).

전은 (Jeon. E.). 2005. 영어 유음 학습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화자를 : , , 중심으로(Korean speak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liquids:

Compared with those of Japanese and Cantonese speakers). ≪인문학논총≫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 5-1, 129-148.

조남민 (Cho N.). 2014. 한국어 어두 유음의 변이음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allophone of the word-initial liquid in Korea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ization consciousness of Korean loanword and the phonetic realization of liquids). ≪언어과학연구≫(The Journal of Linguistics Science). 70, 433-460.

Borden, G., A. Gerber and G. Milsark. 1983.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the /r/-/l/

contrast in Korean adults learning English. Language Learning 33-4, 499-526.

Eckman, F. R. 1977. Markedness and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Language Learning 27-2. 315-330

Flege, J. E. 1992. Speech learning in a second language. In C. A. Ferguson, L. Menn and C. Stoel-Gammon, eds., Phonological Development: Models, Research, Implications, 565-604. Timonium, MD: York Press.

Fries, C. C. 1945.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nn Arbor: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Henly, E. and A. Sheldon. 1986. Duration and context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English /r/ and /l/: A comparison of Cantonese and Japanese speakers.

Language Learning 36, 502-521.

Ingram, J. and S. Park. 1998. Language, context, and speaker effects in the

ident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English /r/ and /l/ by Japanese and Korean

(19)

listener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3, 1161-1174.

Kang, H-S. 1999.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r/ and /l/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An experimental Study. Speech Sciences 6, 7-24.

Kwon, J-S.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lish Sonorant Cluster /rl/

Produced by Native Speakers and Young Korean EFL Learn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Park, C-W. and S. Park. 2014. Comprehensibility of advanced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pronunciation, The New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56-3, 163-185.

Park, M-A. 2000. A study of contextual variations in the perception of English [r]

and [l] by Korean children. Studies in Humanities 8, 159-170.

예시 언어 (Examples in): 한국어 (Korean)

적용가능 언어 (Applicable Language): 한국어 (Korean), 영어 (English) 적용가능 수준 (Applicable Level): 대학 이상 성인 (Tertiary)

김려은(Kim, Ryeo-Eun) 대학원생(Graduate Student)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English Ed. Major, Yonsei Univ.)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Tel:

E-mail: ryeoeuns2@gmail.com

이석재(Rhee, Seok-Chae)

교수 (Professor),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Dept. of English, Yonsei Univ.)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Tel: 02)2123-4483

E-mail: scrhee@yonsei.ac.kr

논문 접수 (Received): 2019 년 월 일 2 6 논문 수정 (Revised): 2019 년 월 3 10 일 게재 확정 (Accepted): 2019 년 월 3 18 일

개인정보 표시제한

(20)

부록

부록 1.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등급별 평가된 한 단어 내 유음의 개수

vocabulary grade

1 2 3 4 5

단일 어두 /r/

raining 3 2 1 2 1

read 3 1 1 1 3

realize 1 1 2 1

red 2 1 1 1

reserve 2 1 1 1

restaurant 1 1 1

ride 1 2 2 1 1

right 3 2 1

river 2 2 1

road 1 1 1 1

rock 3 2 2 1 2

run 1 2 1 2

wrap 2 1 1 2 3

어두 자음군 /r/

break 3 1 2 2 1

brian 2 2 2 4

bring 1 2 1 2

broken 1 1 1 1 1

brother 3 1 1 1 1

brown 2 2 1 1

christmas 2 1 1 1 1

cry 2 1 2 2

driver 2 2 1 2 5

driving 3 1 1 2 3

Friday 1 1 1 1

grandfather 1 1 1 2 3

green 1 1 2 1

price 1 1 1

prove 3 1 1 1 1

spring 3 1 1 2 1

street 2 1 1

strong 1 1 1 1

threw 2 2 1 2 3

traffic 2 1 1 1 1

truck 1 1 1 2 3

어중 /r/

corner 1 1 1

forward 2 1 1 1 1

(21)

library 1 2 1 3

library 1 2 1 3

restaurant 1 1 1 1

squirrel 1 1 1 1

단일 어말 /r/

after 2 1 1 2 5

are 1 1 1 1

bear 2 1 2 1

brother 3 1 1 1 1

car 1 1 2 3

color 1 1 1 1

computer 1 3 5

corner 1 1 1

dollar 2 2 1 1

driver 2 2 1 2 5

elevator 2 2 1 1

faster 1 1 1 2 1

father 1 2 1

for 4 2 2 2 4

grandfather 1 1 1 2 3

hair 1 2 1 1

here 1 1 1 1

hour 6 2 1 2 3

more 1 1 1 3

mother 2 2 1

newspaper 1 1 1 1 3

or 1 1 1 2

our 1 1 1

over 2 2 2 2

river 2 2 1

soccer 1 2 1 1

spider 1 2 1

summer 2 1 1

their 1 1 1 1 4

there 1 1 1

tiger 2 1 2 1

war 3 1 1 1 1

wear 1 1 1

where 1 1 1 2

your 1 1 1 2

어말 자음군 /r/

bird 5 4 2 3 2

earth 1 1

eastern 1 1 1

farm 1

forward 2 1 1 1 1

harm 1 1 1 3

(22)

park 3 4 2 1 4

reserve 2 1 1 1

turn 3 2 1

work 3 2 2 2

단일 어두 /l/

lately 6 3 1 2 2

leaving 2 1 1

left 2 1 1

library 1 2 1 3

light 1 2 2 1 2

like 7 2 3 3 4

little 1 2 1 2 3

live 1 2 2 1 2

look 2 2 3 2 3

어두 자음군 /l/

blue 1 2 2 2

class 3 2 1

clean 2 1 1

clock 3 1 1 2 3

play 2 3 1 3 2

please 1 1 1 3 3

sleep 1 3 1 1 1

어중 /l/

color 1 1 1 1

dollar 2 2 1 1

elevator 2 2 1 1

lately 6 3 1 2 2

realize 1 1 2 1

단일 어말 /l/

all 7 1 1 1 4

animal 1 1 1 2

ball 2 1 2 2 2

baseball 2 2 1 2 2

call 6 2 2 2 3

kill 1 2 2 3 2

little 1 2 1 2 3

mall 2 1 1

pill 2 2 2 3

pool 3 2 1

school 2 2 2 4

sell 2 1 1 1

skill 1 1 2 5

small 2 1 1

squirrel 1 1 1 1

still 2 1 1 1

tall 2 1 1 1

till 1 2 1 2 3

(23)

부록 2. 평가자 별 발음 평가 정확도 개수

until 1 1 1

will 3 1 2 1

어말자음군 /l/

build 6 2 2 4 4

difficult 1 2 1 2

milk 2 1 2 1

shelf 1 1 3 2

spilt 3 1 3 3

wolf 1 3 1 1 1

합계 150 204 171 198 217

한국인 1 한국인 2 원어민 1 원어민 2

/r/ /l/ /r/ /l/ /r/ /l/ /r/ /l/

등 1

단일어두 1 11 1 8 5 10 1 11

어두

자음군 9 6 14 5 15 3 19 6

어중 1 0 1 0 0 0 0 0

단일어말 12 8 9 8 10 1 13 5

어말자음군 3 5 5 7 2 5 4 5

등 2

단일어두 10 14 10 10 11 12 11 13

어두

자음군 17 11 25 8 21 6 20 8

어중 1 3 2 3 0 4 3 4

단일어말 19 11 19 13 16 4 27 7

어말자음군 4 7 6 9 3 5 3 2

등 3

단일어두 7 15 8 16 9 14 7 15

어두

자음군 18 8 21 7 21 8 20 8

어중 3 6 4 5 1 4 3 5

단일어말 32 13 28 13 25 7 35 9

어말자음군 6 6 6 7 4 5 6 6

등 4

단일어두 13 13 11 14 16 14 14 14

어두

자음군 29 13 31 10 32 13 32 13

어중 5 5 3 5 3 5 5 5

단일어말 40 29 35 28 41 28 41 30

어말자음군 12 14 10 14 12 14 11 14

등 5

단일어두 16 15 14 16 16 19 13 19

어두

자음군 35 15 34 10 35 15 35 15

어중 5 4 4 4 5 4 4 4

단일어말 56 35 52 34 57 32 57 35

어말자음군 9 15 10 15 10 15 10 13

수치

표  5.  유음의  위치별  발음  정확도  비율  및  이표본  비율검정 /r/ /l/ 자유도 95%  신뢰구간 검정통 계량 유의확률 하한 상한 전체 67.87% 69.54% 1 -0.029 0.028 0.04 0.99 단일  어두 (red  :  left) 57.73% 80.29% 1 -0.24 -0.11 32.02 p  &lt;  0.01 어두  자음군 (break  :  blue) 82.27% 78.33% 1 -0.04 0.07 0.14 0.69
표  7.  등급별  /r/  발음  정확도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
표  8.  /r/  발음의  등급  간  차이  사후  검정 (post-hoc  test) 등급 비교등급 집단  간  차이 유의확률 신뢰구간 하한 상한 1 2 0.1331 0.01 0.01 0.25 3 0.2862 0.00 0.16 0.40 4 0.5084 0.00 0.39 0.62 5 0.6260 0.00 0.51 0.74 2 3 0.1530 0.00 0.04 0.26 4 0.3752 0.00 0.26 0.48 5 0.4928 0.00 0.38 0.6
표  10.  /l/  발음의  등급  간  차이  사후  검정 (post-hoc  test) 등급 비교등급 집단  간  차이 유의확률 신뢰구간 하한 상한 1 2 0.0508 0.83 -0.08 0.18 3 0.2397 0.00 0.09 0.38 4 0.5176 0.00 0.38 0.65 5 0.5346 0.00 0.40 0.66 2 3 0.1888 0.00 0.05 0.31 4 0.4667 0.00 0.34 0.59 5 0.4837 0.00 0.36 0
+2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a l leadership of a dance leader on the empowerment of professional dance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hadowing using English movies on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of Korean Chinese by approaching the context of polit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systems

The research for the participants shows that the animated English fairy tales did not contribute to the elementary learner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tried to deal with the matters concerning the Korean Nationality Act and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especially focusing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EFL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and teaching English punctuation and

Therefore, this paper is to recognize the common mistakes English learners make while using English articles and to provide helpful tips for those who teach

The &lt;Taebaeksanmaek&gt; reflects dialects of eastern area of Jeollanamdo sincerely, and this study examines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of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