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경 치료의 시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경 치료의 시도"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orean J Gastroenterol Vol. 68 No. 4, 173-174 https://doi.org/10.4166/kjg.2016.68.4.173 pISSN 1598-9992 eISSN 2233-6869

EDITORIAL

Korean J Gastroenterol, Vol. 68 No. 4, October 2016 www.kjg.or.kr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경 치료의 시도

김현진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The Endoscopic Resection as a Treatment for Colorectal Leiomyoma

Hyun Ji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inju, Korea

Article: Clinical Outcomes of Endoscopic Removal in Patients with Colorectal Polypoid Leiomyomas (Korean J Gastroenterol 2016;68:179- 185)

CC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

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Copyright © 2016. Korean Society of Gastroenterology.

교신저자: 김현진, 52727, 진주시 진주대로 816번길 15,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Correspondence to: Hyun Ji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5 Jinju-daero 816beon-gil, Jinju 52727, Korea. Tel: +82-55-750-8820, Fax: +82-55-758-9122, E-mail: imdrkim@naver.com

Financial support: None. Conflict of interest: None.

대장에 발생하는 상피하 병변(subepithelial lesion)은 이 전에 대부분 점막하 종양(submucosal tumor)이라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나 실제로 점막하층에서 기원하지 않는 경우도 흔 하여, 좀 더 포괄적인 의미로 상피하 병변이나 상피하 종양 (subepithelial tumor)이 혼용되고 있다. 상피하 병변은 대장 점막 상부로 융기되고 정상적인 점막으로 덮여 있는 돌출 병 변을 의미하며, 대개의 경우 대장내시경 검사 또는 영상의학 적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1

대장의 상피하 병변에는 외부 압박상과 같은 비종양성 병 변, 지방종, 림프관종, 평활근종 등과 같은 양성 병변과, 유암 종, 위장관 간질 종양, 림프종, 전이성 종양 등과 같은 악성 또는 잠재적 악성종양 등의 다양한 병변이 존재한다. 대장에 발생하는 상피하 병변 중 비종양성 병변을 제외한 상피하 종 양을 대상으로 각각의 종양의 발생 빈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지방종(35%)이 가장 흔하였고, 평활근종 또는 위장관 간질 종 양(24%), 림프관종 또는 혈관종(17%), 신경내분비종양(6%), 평활 육종근(6%), 장내 포상 기종(6%), 림프암종(6%) 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1,2

육안으로 상피하 병변을 발견하면 병변의 크기, 위치, 모양 과 색조, 경도와 이동성 등을 바탕으로 진단을 추정하고, 추가

적인 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내시경 초음파 검사가 우선적으로 추천된다.3 내시경 초음파 검사는 상피하 병변의 종양 기원 장벽층을 구분하고, 정확한 크기와 종양 내부의 균 질성, 에코의 정도를 가지고 종양을 추정 진단할 수 있지만 조직검사와의 일치도는 43-79% 정도로 알려져 있다.4,5 게다 가 검사 환경에 따라서 초음파 검사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는 병리학적 확진에 어려움이 따른다. 반복 생검으로 조직을 얻을 수 있으나, 혈관 병변의 경우 치명적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초음파 내시경 유도하 세침 흡입 세포진 검사 또는 조직검사는 정확도가 60-90% 정도로 비교적 정확한 진단율 을 보이지만,6 크기가 작은 병변에는 적용이 어렵고 위치에 따라 적용이 불가능한 곳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7 내시경 점막 하 절제술은 조직의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에도 천공, 출혈 등의 합병증이 빈번하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8

대장의 상피하 병변에 대한 연구는 그 빈도가 높지 않고 대장내시경 검사 등을 시행한 경우에 진단이 가능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특히 평활근종에 대한 연구 는 더욱 그렇다. 대부분의 평활근종이 상부위장관에 발생하여 비교적 흔한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위장관에 발생하는

(2)

174

김현진.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경 치료의 시도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평활근종의 약 3% 정도만 대장과 직장에 발생하므로 하부위 장관에서는 비교적 드문 질환에 속한다.9 성상과 병리학적 특 성은 상부위장관에 발생한 경우와 유사하며 크기가 큰 경우에 는 복통 또는 불편감, 변비, 출혈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으나 크기가 2 cm 이하인 경우의 대부분이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 견된다.10 해부학적으로 대장의 평활근은 점막근판과 근유층 에 각각 존재하므로 평활근종도 두 층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실제로 점막근판에 생긴 경우를 표면 평활근종으로 부르는 경우도 흔하다.

이번 연구11는 폴립 모양의 표면 평활근종에 대한 연구로, 이 경우에 내시경 시술이 충분한 치료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내시경 시술로 제거 후 평활근종으로 진단된 22건의 증례를 통해 대부분의 경우 내시경 시술만으로 효과적 으로 제거된 것을 보여주고 있고, 유병률이 전체 대장 폴립의 0.8%로 조사되어 이전까지의 연구보다 더 흔하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으나, 유병률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가 아니므로 이에 대해서는 좀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경 절제 시에 예상할 수 있는 가장 흔한 합병증은 천공과 출혈이다. 특히 천공은 매우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깊은 층에 서 기원한 평활근종의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내시 경 시술 이전에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유경성 인 경우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지만 무경성인 경우 감별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우선적으로 주의해야 할 것은 뒤집힌 게실(inverted colonic diverticulum)이다.12 대장 점막하 병 변과 매우 유사하며 폴립과도 감별하여야 하지만 대장 폴립이 나 얕은 층의 평활근종으로 잘못 추정하고 시술을 하게 되면 합병증이 유발된다. 뒤집힌 게실은 폴립 양상의 점막 주위에 둘러싸는 둥근 주름이 있고 폴립의 가운데가 배꼽 모양으로 들어가 있는 경우, 주위에 다수의 게실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 하게 관찰되며, 무엇보다도 충분한 공기를 넣거나 물을 넣었 을 때에 원래 상태로 회복이 된다는 것이 중요하므로 감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불필요한 시술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 다. 또한 다른 모든 종류의 상피하 종양을 감별하여야 한다.

직장 신경내분비 종양의 경우 일반적인 용종절제술만으로는 불완전 절제가 되어 재발과 전이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 문이다.13

대장 평활근종은 크기가 커지는 경우 악성종양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종양이다. 따라서 종양이 악성으로 전환되기 전 에 발견하고, 수술보다는 내시경 시술을 통하며, 합병증 없이 일괄 절제하여 시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시술 후 재발이나 전이를 예방하는 것이 치료 목표이다. 대장 평활근종의 내시 경 치료가 보편적인 치료방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 에서 그 치료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우리나라처럼

대장내시경이 점차 빈번하게 시행되는 경우에는 대장 상피하 종양의 발견 가능성이 더 높은 것이 사실이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대장 평활근종의 진단과 내시경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 대장 평활 근종에 대한 치료 전략을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Polkowski M, Butruk E. Submucosal lesions. Gastrointest Endosc Clin N Am 2005;15:33-54, viii.

2. Zhou PH, Yao LQ, Zhong YS, He GJ, Xu MD, Qin XY. Role of endo- scopic miniprobe ultrasonography in diagnosis of submucosal tumor of large intestine. World J Gastroenterol 2004;10:

2444-2446.

3. Kim EY. Colon EUS. Intest Res 2011;9(Suppl):194-201.

4. Hwang JH, Saunders MD, Rulyak SJ, Shaw S, Nietsch H, Kimmey MB. A prospective study comparing endoscopy and EUS in the evaluation of GI subepithelial masses. Gastrointest Endosc 2005;62:202-208.

5. Kwon JG, Kim EY, Kim YS, et al. Accuracy of endoscopic ultra- sonographic impression compared with pathologic diagnosis in gastrointestinal submucosal tumors. Korean J Gastroenterol 2005;45:88-96.

6. Hoda KM, Rodriguez SA, Faigel DO. EUS-guided sampling of sus- pected GI stromal tumors. Gastrointest Endosc 2009;69:1218- 1223.

7. Săftoiu A, Vilmann P, Guldhammer Skov B, Georgescu CV.

Endoscopic ultrasound (EUS)-guided Trucut biopsy adds sig- nificant information to EUS-guided fine-needle aspiration in se- lected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Scand J Gastroenterol 2007;42:117-125.

8. Ishii N, Horiki N, Itoh T, et al.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nd preoperative assessment with endoscopic ultrasonography for the treatment of rectal carcinoid tumors. Surg Endosc 2010;24:1413-1419.

9. Björnsdóttir H, Björnsson J, Gudjónsson H. Leiomyomatous co- lonic polyp. Dig Dis Sci 1993;38:1945-1947.

10. David SS, Samuel JJ. Pedunculated extraluminal leiomyoma of the sigmoid colon. J Gastroenterol Hepatol 1996;11:299-300.

11. Choi HH, Cho YS, Choi SK, et al. Clinical outcomes of endoscopic removal in patients with colorectal polypoid leiomyomas.

Korean J Gastroenterol 2016;68:179-185.

12. Merino R, Kinney T, Santander R, et al. Inverted colonic divertic- ulum: an infrequent and dangerous endoscopic finding.

Gastrointest Endosc 2005;61:AB257.

13. Basuroy R, Haji A, Ramage JK, Quaglia A, Srirajaskanthan R.

Review article: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rectal neu- roendocrine tumours. Aliment Pharmacol Ther 2016;44:332- 345.

참조

관련 문서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Operations Management, School of Busines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1894,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 th ed..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Ch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chool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Seoul

*1st Author,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 Coauthor,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and Business,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chanical and Aerospace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