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칠보공예의 이해와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칠보공예의 이해와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Copied!
5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사학위논문

칠보공예의 이해와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김 수 진

2 0 0 2

(2)

칠보공예의 이해와 지도방안 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신 장 식

이 논문을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02년 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전공

김 수 진

2 0 0 2

(3)

김 수 진 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2 년 월 일

심사위원장 고 명 근 (印) 심 사 위 원 신 장 식 (印) 심 사 위 원 김 태 곤 (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일반 고등학교 미술교육에서 미술을 생활에 활용하여 온 선조 들의 생활 공예인 칠보공예의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로 하여금 생활에서 아름다움을 지각하는 활동과 생활에 필요한 것을 제작하는 활동을 통하여 미술을 생활화하도록 하며, 또한 전통공예를 이해함으로써 공예표현 활동을 통하여 미적 가치를 판단하고,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키워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지도 방법은 단계별 지도안을 제시하는 프로그램 학습법을 택하 였다.

1단계 교수학습지도안은, 칠보공예의 전통과 특징을, 동 서양의 발달된 칠 보공예 감상을 통해 이해하는 단계이다. 1단계의 수업을 통해 칠보공예의 기본 개념과 종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 지도안은, 재료 및 기본기법과 작업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위한 기초기능 연마 단계이다. 이 과정을 통해 칠보의 다양한 유약색과 다양한 기법들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3단계 지도안은, 칠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공예품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이 디자인한 창조적인 칠보공예품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의 전통에 대한 인식변화와 정서함양에 많은 도움은 물론 생활과 함께 하는 미술교육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으 며, 나아가 전통공예에 대한 현대적 해석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 였다. 앞으로 이를 위한 교육과정의 지속적인 노력과 좀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5)

목 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연구 방법 3

Ⅱ. 칠보의 이해 4

1. 칠보의 어원 4

2. 칠보의 발달사 5

Ⅲ. 칠보의 이해를 위한 지도 방안 9

1. 칠보공예의 지도 목적과 방법 9

2. 고등학교 교과서 상의 칠보공예 9

3. 칠보공예의 이해에 관한 지도방안 10

가. 칠보공예의 표현기법 탐색 10

(1) 칠보공예의 재료와 용구 10

(2) 칠보공예의 표현기법 12

나. 칠보공예의 적용 단계 모형 22

다. 칠보공예 지도방안 24

(1) 다양한 칠보작품 감상 지도안 24

(2) 칠보의 색 이해를 위한 지도안 27

(3) 칠보 벽장식품 만들기 지도안 31

4. 지도 결과 및 평가 37

가. 지도 결과 분석 37

나. 평가 38

Ⅳ. 결론 및 제언 40

참고문헌 ABSTRACT

(6)

표 목 차

<표1> 칠보 공예 재료와 용구

<표2> 수업 단계별 지도 모형

<표3> 감상 수업 모형

<표4> 표현 수업 모형

<표5> 작품 결과 분석 내용

<표6> 수행 평가 척도표

도 판 목 차

<도판1> 매 가슴 장식, 기원전1336~27년, 카이로 박물관 소장

<도판2> 네흐베트를 유형화한 매 장식 팔찌, 기원전 1540년, 카이로 박물 관 소장

<도판3> 파란 귀고리, 조선시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도판4> 파란 뒤꽂이, 조선시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도판5> 향호, 메이지시대 전기, 일본 칠보미술관 소장

<도판6> 붓,대나무주걱, 체

<도판7> 받침, 철망

<도판8> 막자사발

<도판9> 스푼, 집게, 핀셋, 마블펜, 장갑, 마스크

<도판10> 칠보가마

<도판11> 올리기 칠보

<도판12> 알갱이 칠보

<도판13> 마블 칠보

<도판14> 긁어내기 칠보

<도판15> 유약선 칠보

<도판16> 부식 칠보

(7)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술교육에서 공예교육은 학생들 자신의 생활 속에서 미를 발견하고 자신 들의 환경을 보다 나은 것으로 만드는데 이를 활용하며, 생활 속에서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미적 정서와 조형 기능, 창조성을 기른다는 점에서 그 맥락을 같이 한다.

1)

미술교육의 본래 목적이나 그 추구하는 바는 실용성이나 합리적인 목적을 전제로 하는 디자인ㆍ공예와 하나의 범주 속에서 상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 다. 공예교육의 중요성은 미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으로부터 출발하며, 공 예교육은 미술교육이 지향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간다고 볼 수 있 다.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미술과의 교육 목표는‘미술 활동을 통하여 표 현 및 감상 능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계발하며, 심미적인 태도를 함양한 다’는 것이다. 이것은 미적 대상의 가치를 발견하여 이해할 수 있고, 느낌 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미술품의 가치를 판단하고, 미술 문화유산을 존중할 수 있다는 것으로 풀이 할 수 있다.

2)

제 7 차 미술과 교육 과정에서는 수업 제재를 선정하고 지도하는 과정에서 전통 미술에 관련된 제재와 지도 방법의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

전통 미술 교육은 우리 조상들이 남긴 미술 문화유산의 독창성과 우월성을 발견하고 이를 계승, 발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

1) 김삼랑, <미술교육개론>, 미진사, 1992, p.17.

2) 고등 학교 미술과 교육 과정 해설. 서울 :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2001

(8)

들로 하여금 전통미에 대한 이해와 긍지를 가지고 이를 발굴하며 애호, 보 존하려는 태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통 미술 교육에 대한 지도 방법이나 관련 자료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현장에 보급되지 않 으므로 인해 실제적인 전통 미술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과 교사들의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여 이에 대한 수업 계획 및 준비가 미흡하게 이루어지는 것, 그리고 현재 일반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공예교육이 작업여건의 부족과 미술시간의 부족으로 잘 이루어지지 못한다 는 문제점들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통 미술에 대한 관심과 이 해를 높일 수 있는 제재로 칠보공예를 선정하여 지도 방법을 모색하고자한 다.

색조와 질감의 특성으로 인하여 칠보 기법이 예술표현의 중요한 수단으로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칠보 기법은 금속 공예가 뿐만 아니라 서양화, 동양화 를 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표현기법, 옛것을 재현하는 일 등 어떠한 예술 분 야에도 널리 통용되는 기법 및 제작 방법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서양화나 동양화 작가들이 그림을 그리는 바탕 재료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영구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이라는 바탕 재료에 마치 화선지나 캔버스에 그 린 것과 같은 표현을 하고 구워 내게 되면서, 하나의 그림 작품에서 벽 장 식물 또는 건축 조형물로서 재평가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또한 현대 미술 조형 교육을 받은 금속 공예가들이 현대 생활에 어울 리는 장식 공예품을 제작하면서 창의적인 색상을 칠보 기법에 도입하는 등 현대 감각에 맞는 칠보를 연출하고 있다.

3)

따라서 전통 공예기법을 올바로 이해하고 그것을 현대에 맞게 재구성하여 계승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꼭 필요한 것이다.

3) 노용숙,<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82~83

(9)

2.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칠보의 어원 및 개념, 서양과 칠보예술이 발달한 중국, 우리나라, 일 본으로 구분하여 발달사를 살펴보고 칠보작업이 가능한 바탕재료와 유약, 칠보의 다양한 표현기법에 대해 문헌 연구 하였다.

둘째, 현재 고등학교 교과서상에 나타나 있는 칠보공예에 대한 내용분석을 임의로 선택한 6차, 7차 교과서 5종을 통해 고등학교 미술시간에서 효과적 으로 칠보의 이해를 할 수 있는 지도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전통공예의 한부분인 칠보의 이해를 감상과 다양한 칠보기법을 이용 하여 제작을 해 봄으로써 전통공예에 대한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느낄 수 있 도록 지도안을 제작하였다.

제한점으로 첫째, 칠보공예를 하기 위해서는 칠보가마시설이 갖추어져 있 어야 하지만 일반 고등학교 미술시간에서 수업을 하기 위해 가마시설 이용 은 사설 공방을 이용한다.

둘째, 재료의 제한점으로 칠보공예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속재료는 가격 면을 고려하여 동 으로 제한하였다.

(10)

Ⅱ. 칠보의 이해

1. 칠보의 어원.

칠보란 금, 은, 구리, 점토, 유리 등의 바탕 재료에 여러 가지 유약을 얹어 소성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기법 중의 하나이다.

칠보의 어원을 살펴보면 동양권 문화에서는 인도로부터 중국을 거쳐 한국, 일본에 전래된 불교의 법화경 경정에 7개의보석, 즉 금, 은, 유리, 수정, 마 노, 산호, 호박, 진주의 아름다운 빛과 광택을 지니고 있어 이들의 통칭이 칠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하나 정확한 문헌은 없다.

중국에서는 대식요 또는 법랑이라고 불리웠고, 비잔틴이나 아라비아 등의 수입 지명을 따서 귀국요, 불랑감 이라고 부르기도 했으며, 경태년의 연호 를 따서 경태람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위에서 말한 7가지 보석 과 같은 것을 인공적인 요법 기술로 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에서 칠보 소라고 불렀다. 또한 칠보 작품이 많이 남아 있는 조선조에서는 파란이라고 불렀는데 지금 칠보라고 하는 것은 일본의 칠보소를 줄인 말인 듯 싶다. 영 어로는 ‘에나멜링(enamelling)', 독일어로는 ‘에마일리에렌(emaillireren)', 공통학술 용어로는 프랑스어인 ‘클루아조네(cloisonne)'로 불린다.

4)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칠보라는 용어는 두 가지 다른 뜻을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불전에서 말하는 일곱 가지 보석” 이라는 뜻과 다른 하나는 “유리질의 유약을 금속 표면에 입히고 열을 가하여 소성 제작하는 공예품”의 뜻이다.

현재 칠보라는 용어는 예전 불경에서 말하는 일곱가지 보물이 아니라 공예 품으로서 칠보를 의미하는데 여기에서 칠보의 정의를 내려보면 칠보란 금속

4) 노용숙,<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82~83

(11)

소지에 유약을 보통 650℃~950℃ 정도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산화물의 유 리질 상태로 용융ㆍ접착하게 하여 금속 본래의 광택과 유약 색조의 아름다 운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금속 표면을 보다 아름답게 꾸미고 내식성을 갖도 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소지인 금속과 유리질의 유약, 그리고 가열에 의한 우연성이 일치되어 여기에 작가의 미적 감각이 어우러지는 미의 세계 라 말할 수 있다.

2. 칠보의 발달사

가. 서양의 칠보사

칠보의 기원은 확실치는 않으나 출토된 이집트의 유물 등에 사용된 것으로 보아 이 시대가 칠보의 기원이라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의 금세공 및 각종 수공예 작품을 살펴보면, 값비싸고 진귀한 보석들을 갈아서 붙이는 대신에 더욱 정확하게 모양을 만들고 색상과 크기를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하여 가 루로 된 유리질을 칸마다 채우고 녹여 붙이는 방법, 즉 칠보 기법을 사용하 기 시작하였다.

이집트의 칠보 작품으로는 연꽃무늬 장식이 달린 부적 목걸이, 투탕카멘 (Tutankhamen, 기원전 1370~52) 왕의 미라에서 발견된 매 가슴 장식, 금.청금석과 색색의 유리질로 만들어진 북부 이집트의 보호 여신 네흐베트 (Nechbet)를 유형화한 매 장식 팔찌 등이 있다.(도판1,2)

그리스 로마를 거쳐 기독교를 바탕으로 전수 발전된 칠보 공예는 주로 교 회의 성체, 제사기구, 성서의 표지장식 등에 이용되었고, 지금도 유럽의 박

(12)

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Venice의 San Marco 사원에 있는 성상은 고대 칠보 최대의 작품이라 한다.

5)

또한, 중세 유럽에서는 불란서의 Remoges지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에마 일 샤르베(Email Shanrube)라는 기법, 즉 금속 소지에 움푹 파이게 조각 을 하거나 부식을 하여 유약을 흘려보내어 굽는 기법을 창안하여 훌륭한 작 품을 남겼다.

6)

현재에도 불란서의 Rimoges지방에서는 옛 기법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비엔나르 칠보 전시회를 개최하고, 이 와 때를 같이하여 스페인에서는 입자법을, 이태리에서는 평면세공기법(금속 을 선만 남겨놓고 투각하여, 투각 면에 유약을 넣는 기법)등 새로운 칠보기 법이 생기게 되었다.

이후 유럽의 칠보는 바우하우스 운동의 전개와 1960년대 투명칠보 유약기 법의 개량으로 더욱 발전하였다.

나. 동양의 칠보사

서구에서 발달된 칠보가 동양에 들어온 것은 서기 6C경에서 9C경에 비잔 틴 또는 아라비아를 거쳐 실크로드를 통하여 중국, 조선, 일본 등으로 전해 진 것으로 추정된다.

칠보의 제작법이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이유는 이 미 중국에서 발달한 활금기술, 특히 주조기술 및 유리제조의 기술, 열량 조 절의 지식등과 연합해 독특한 칠보 기법들이 심도 있게 시도되었기 때문이 다. 특히 명나라 시대 예술가들은 중국의 전통적인 금속 가공 공예술을 융 합하여 완전히 중국식으로 탈바꿈한 칠보 공예품을 만들었는데, 이때가 칠

5) 김영희, <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82, p.25.

6) 칠보의 기법, <명혜칠보 연구소>, p.14.

(13)

보 예술이 가장 최고의 수준에 도달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칠보는 중국의 불교문화와 함께 영향을 받았으며 정확한 문헌은 없 으나 신라고분에서 유리구슬, 유리구곡 등 금제 장신구에 칠보를 입힌 유리 구슬 등이 발견된 것을 비롯하여 근래에 발굴한 경주 98호 고분과 천마총 에서 나온 유리그릇에서 유리를 다루는 것으로 보아 칠보가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

지금까지 내려오는 칠보공예품은 모두 조선시대의 것으로 빨강, 노랑, 녹 색, 청색, 보라 등의 색이 쓰여졌으며 주로 여인들의 장신구 즉, 노리개, 단 추, 비녀, 족두리, 뒤꽂이, 댕기, 귀고리, 가락지 및 갑옷장식과 기물 등 에 사용되었다.

8)

(도판3,4)

이렇게 발전을 한 한국칠보는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 4C후반 일본의 대화 조정은 통일후 한국, 중국과의 교역으로 문화를 수입하였고 특히 백제로부 터 많은 공예가 및 기술이 전수되었다. 일본에서 발간된 칠보공예에 관한 저서에 일본의 칠보기술은 16세기 말 도산시대(䄻山時代) 일인 평전사랑도 인(平田四郞道人)이 조선의 칠보 기술자로부터 그 기술을 배웠다고 기록하 고 있으며 일본은 칠보를 자신의 나라에 맞게 독창적으로 발전시켜가고 있 다.(도판5)

7) 최순우, <한국미술 오천년>, p.43~44.

8) 김영희, <칠보공예>,한립출판사, 1982, p.25

(14)

<도판1> <도판2>

<도판1> 매 가슴 장식, 기원전1336~27년, 카이로 박물관 소장9)

<도판2> 네흐베트를 유형화한 매 장식 팔찌, 기원전 1540년, 카이로 박물관 소 장10)

<도판3> <도판4> <도판5>

<도판> 파란 귀고리, 조선시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11)

<도판4> 파란 뒤꽂이, 조선시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12)

<도판5> 향호, 메이지시대 전기, 일본 칠보미술관 소장 13) 9) 노용숙,<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55

10) 위의책, p.55 11) 위의책, p.73 12) 위의책, p.73 13) 위의책, p.151

(15)

Ⅲ. 칠보의 이해를 위한 지도 방안

1. 칠보공예의 지도 방법

조형행위를 하는 경우,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동안 어떠한 기술이 존재 하였고 그 기법에 의하여 어떠한 조형이 되었는가 하는 기법에 대한 전체적 인 이해가 필요하다.

14)

고등학교에서 칠보공예를 교육하는 목표는 전통공예품에 관심을 가지고 존 중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며 전통공예품의 조형미와 전통공예에 사용되었던 다양한 재료를 경험해 본다는 것 이상의 효과를 가진다. 일반 고등학교 미 술교육에서 섬세한 칠보공예의 기능을 익히게 한다든지 칠보공예품을 모방 하여 그대로 재현하는 것은 약간의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칠보공예품에 대 한 감상을 통하여 칠보공예품의 형이나 장식요소, 칠보에 대한 기본기법 등 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기초 작업을 통해 아이디어를 개발하도록 하 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자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칠보공예의 이해를 위한 지도방안으로 칠 보의 감상을 통해 조형미를 발견 하도록 하고, 기본기법 샘플작업을 통해서 다양한 칠보의 방법과 유약의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단계별지도를 통해 응용한 칠보작업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역점을 두 었다.

2. 고등학교 교과서 상의 칠보공예

14) 辻弘ㆍ杉山明博/ 金寅權 譯 <조형형태론> 미진사, 1994, p.66

(16)

2001년 7월 검정을 거친 7차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교재를 살펴보면 명칭 은 조금씩 다르지만 크게 분류를 한다면 미술의 이해 및 체험, 미술의 창작 및 표현, 미술의 감상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7차 교육과정상에서 말하고 있는 미술은 특성에 따른 분류를 하여 6차 교 육과정상 에서 보여주었던 회화, 조소, 디자인, 감상의 영역에서 벗어나 공 간예술(spatial art), 조형예술(plastic art), 재료예술(material art)

15)

등으 로 분류하였다.

교과서 상에 나타난 칠보공예는 미술창작 및 표현 부분 중 쓸모와 아름다움 을 갖춘 생활용품 디자인, 여러 가지 공예라는 단원에서 주로 다뤄지고 있 다. 주로 예시작품으로 작품만 나와 있으며 교학사 에서 출간한 교재에는 칠보의 제작과정을 다루고 있었다.

또한 현재 특성화고등학교 수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교재로는 산업안전관 리 공단에서 출간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 교재는 칠보에 대한 개념, 역사, 재료 등을 다루고 있으나 장황한 설명 과 작업과정의 설명이 부족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 다.

따라서 고등학교 수준에서 칠보를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 수업을 위한 단 계별 지도서가 필요하다.

3. 칠보공예의 이해에 관한 지도방안

가. 칠보공예의 표현기법 탐색

(1) 칠보공예의 재료와 용구

15) 임정기, 이성도, 서예식, <미술과 생활>, (주)교학사, 2001, p.7

(17)

금속판 위에 그림을 그리는 칠보는 그림의 바탕이 되는 금속밑판과 그림물 감에 해당되는 칠보유약이 필요하다. 이때 칠보유약은 구우면 영롱하게 반 짝이는 유리질의 색상을 나타낸다. 그리고 수채화나 유화의 경우 물감을 물 이나 기름과 섞어 알맞은 농도로 칠하듯 칠보유약을 밑판에 잘 붙게 도와주 는 CMC(합성풀)가 필요하다.

<표1> 칠보공예 재료와 용구

재료와 용구 특 성

칠 보 재 료

금속 밑판

작업에 합당한 금속은 24K~18K 금과 순은, 구리가 있다.

이들 금속은 900℃ 정도의 고온에 충분히 견디고 칠보 유약 의 팽창과 수축지수와의 오차가 적어 균열이 생길 위험이 낮 다. 금속의 두께는 크기에 따라 0.4~1.2mm 정도가 주로 쓰 이고 땜 가공이 필요한 경유 반드시 순도가 높은 제물땜을 사용해야 소성할 때의 열로 인해 형태가 무너지지 않는다.

칠보유약

칠보유약은 소성 온도에 따라 저온용, 중온용, 고온용이 있으 나 일반 금은 세공작업에서는 고온용이 쓰인다. 유약은 투명 도에 따라 크게 투명유약, 불투명 유약으로 나뉜다. 유약의 형태는 덩어리 상태와 분말 상태, 선 상태 유약이 있는데, 주 로 60~120mesh 굵기의 분말 유약을 쓴다.

합성풀(CMC)

무색, 무해, 무취한 합성풀이며 재료들을 떨어지지 않도록 서 로 붙일 때 쓴다. 즉 분말유약을 금속밑판에 잘 밀착시켜 주 거나, 1차로 구워낸 칠보 위에 선, 유약, 박 등으로 특별한 무늬를 내고자 할 때 이들을 칠보 위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풀은 분말상태로 물 1ℓ에 0.1~1g을 타서 사용하 고, 엷으면 엷을수록 좋다. 풀이 진하면 완전 소각이 안 되므

(18)

로 색이 탁하고 기포가 생기기도 한다. 숙달되면 유선칠보 외에는 CMC를 사용하지 않고 할 수 있다.

칠 보 의 용 구

칠보 유약을 금속 표면에 고르게 뿌릴 때 쓰는 체는 일감에 맞취 다양한 크기와 체 눈의 간격(mesh)을 조절해 쓴다. 체 눈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60~80mesh 의 황동 망이 적당한 데 체는 필요한 크기대로 직접 만들어 쓰게 된다.(도판6) 스푼 유약을 덜어낼 때 사용한다.

접시 분말유약을 덜어서 세척할 때 사용한다.

유약을 올려 금속밑판에 펴 바르거나 CMC를 바를 때 필요 하다. 힘이 있고 끝이 모아지는 1,2,4호 정도의 가는 붓이 좋다.(도판6)

대나무 주걱

대나무 주걱은 사용목적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선을 그을 때는 끝을 뾰족하게 다듬은 주걱이 유용하고, 납작하게 만든 주각은 접시에서 금속밑판으로 칠보유약을 옮길 때 편리하 다.(도판6)

집게.핀셋 주로 금속밑판을 잡거나 들어 옮길 때 사용한다.(도판9) 마블펜 마블칠보를 만들 때 유약을 젓는데 쓴다.(도판9)

유산통 유산을 담아 놓을 수 있는, 뚜껑이 있는 플라스틱 통이 좋다.

마스크 유산 세척을 할 때 화공약품의 냄새를 막아 주며 가마를 여 닫으며 작업할 때는 뜨거운 열을 막아 준다.(도판9)

석면장갑 칠보가마를 여닫을 때 뜨거운 열로부터 손을 보호해 준다.

(도판9)

받침

칠보를 구울 때 유약 가루가 떨어져 녹아내리는 것을 받침으 로 받쳐주면 칠보가마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구워낸 칠보표면에 지저분한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해준다. 받침에

(19)

(2) 칠보공예의 표현기법

칠보는 제작 기법에 있어서 금속선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유선(有線) 칠보와 무선(無線)칠보로 분류되는데, 유선칠보는 선으로 나타내어 주는 기 법으로 섬세하고 화려하며 문양표현이나 복잡한 그림 등에 많은 효과를 볼 수 있고, 무선칠보는 선으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보다 회화적이고 우연적인 표현도 가능하며 섬세하지는 않지만 자유스러운 느낌을 얻을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거의 모든 칠보작품에 나타나는 것이 유선칠보 로써 이것은 동양적 美 의 하나이다.

는 여러 형태가 있으므로 칠보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받침을 선택해서 사용한다. (도판7)

사포.숫돌

구워낸 칠보의 가장자리를 다듬거나 무광의 표면을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한다.

막자사발 분말유약의 거친 입자를 곱게 갈 때 사용한다.(도판8) 황동솔

수세미

유산세척을 할 때 고무장갑을 끼고 황동솔이나 수세미로 유 산 세척한 금속판을 꺼내 흐르는 물에서 문질러 세척한다.

칠보가마

금속밑판 위에 칠보유약으로 그린 그림들을 불에 구워서 인 공보석으로 만들어 반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서는 칠보가 마가 필수적이다. 흔히 도자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가마와 구별하기 위해 특별히 칠보가마라고 부른다. 이러한 칠보가 마는 가마의 연결부위나 마감처리가 깔끔해야 일정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다.(도판10)

(20)

(가)유선칠보

유선칠보는 금속 소지 위에 금속선을 놓고 유약을 입혀서 소성한 뒤 숫돌 등으로 갈아 표면을 매끄럽게 한 뒤 다시 소성해서 의도한 대로의 색깔이 나오게 하는 칠보이다. 이때, 유선은 디자인을 이루면서 칠보 유약이 칠해 진 부분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선의 사용에 있어 섬세하고 화려한 느낌 을 표현할 때는 두께 0.1~0.3mm 정도의 금선이나 은선 으로, 강하고 힘찬 느낌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두께 0.4~0.8mm 구리선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선적인 표현들은 보통의 금속선 자체를 그냥 사용하기도 하지만, 로울러로 살짝 눌러 사용하거나 드릴에 꼬아서 사용하면 또 다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나) 무선칠보

재료는 유선 칠보와 거의 같으나 그 공정과 기법은 아주 다르다. 즉 소지 위에 자유롭게 여러 기법에 의하여 채색하고 소성 하는 것으로 섬세하지는 않으나 개성 있는 표현감이 넘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무선기법은 금속판에 선을 사용하지 않고 각종의 기법으로 유약을 입혀 소 성하는 방법으로 여러 기법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간단히 몇 가지만 소개 해 보고자 한다.

① 올리기 칠보

가장 기초적인 기법으로, 구리판 위에 붓으로 유약을 올려 그린 후 구워 내는 방법인데 그리기 칠보라고도 한다. 분말 유약을 약간 덜어서 담고 깨

(21)

끗한 물에 헹구어 뜨물처럼 뿌연 물을 쏟아버리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한 다 음, 붓이나 주걱을 사용하여 칠보를 입히는 기법이다. 유약의 두께는 0.5~0.8mm 가량이 좋으며, 동판이 보이지 않도록 얇고 고르게 칠한다.(도 판11)

② 뿌리기 칠보

체를 사용하여 분말유약으로 칠보를 입히는 기법이다. 소지에 CMC를 바 르고, 분말유약을 스푼으로 떠서 담은 다음, 둘째 손가락으로 체를 톡톡 치 면서 원하는 곳에 뿌린다. 큰 면에 뿌릴 때에는 체를 골고루 흔들면서 뿌리 는데, 처음에는 얇게 한 번 뿌리고 분무기로 물을 한 번 뿌려서 유약이 소 지에 잘 엉겨 붙게 한 다음. 다시 한 번 골고루 소지가 보이지 않게 뿌려 준다. 주로 면적이 큰 것이나 다량생산을 할 때에 쓰이는 기법이다.

③ 알갱이(Frit)칠보

유약을 올리거나 뿌려서 바탕색을 입힌 다음, 입자유약을 올려놓아 구워내 는 기법이다. 유약의 덩어리를 크기에 맞춰 골라서 사용하며, 덩어리가 클 때에는 유발에 넣어 알맞은 크기로 깨어서 사용한다.(도판12)

④ 마블 칠보

2가지 이상의 유약을 입혀서 구울 때 유약이 녹으면 표면을 끝이 뾰족한 철사로 휘저어 기름이 물에 떴을 때 생기는 효과와 같은 자연스러운 문양을 얻어내는 기법이다. 입자를 놓고 전기로 안에서 녹기 시작할 때 문을 열고 마블펜 으로 저으면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주의점은 소성시간을 잘 조절해야 하며 온도가 잘 내려가지 않도록 가급

(22)

적 문을 조금 열고 젓도록 한다.(도판13)

⑤ 긁어내기칠보

선으로 표현하려는 색의 유약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올리거나 뿌 려서 1차 소성 한 다음 주걱이나 골필 등으로 선을 긁어내어 1차 도포용 유약이 비쳐 나오도록 하는 기법이다. 특징은 가는 선을 그릴 수 있으며 회 화적이며 섬세한 느낌을 준다.(도판14)

⑥ 유약선 칠보

선으로 된 유약을 사용하여 무늬를 만드는 기법이다. 기하학적이고 추상적 인 작품을 만들 수 있으며, 직선의 유약에 살짝 열을 가하여 곡선으로도 사 용할 수 있다.(도판15)

⑦ 분유 칠보

불투명 유약을 한번 구운 후에 투명색을 발라서 900℃이상의 고온에서 구 워내면, 밑바탕의 불투명 유약의 일부가 투명 유약 위로 올라와 작은 반점 무의를 만드는 기법이다. 특징은 큰 면적의 작품에 응용하여 손으로 그릴 수 없는 작은 균일한 모양을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다.

주의점은 1차 소성 유약으로 불투명 유약을 보통 때보다 조금 두꺼운 0.8mm정도로 발라 섭씨 800℃에서 구워내고 2차 소성 유약은 0.5mm정 도로 발라 보통 때보다 높은 섭씨 900℃에서 2~3분 정도 구워낸다.

⑧ 박 칠보

금속밑판이 동 일 경우 은박이나 금박을 씌어 금판이나 은판과 같은 고급

(23)

자료를 사용한 듯한 효과를 기대하는 기법이다. 금박과 은박은 얇기 때문에 소지에 쌀 때 찢어지기 쉬우므로 600℃ 정도에서 약 20초 동안 구워내어 부드럽게 만든 다음 사용한다.

특징은 주름 효과를 위하여 소성 후 온도가 식기 전에 수저 뒤의 둥근 면 을 이용하여 소지 판위의 은박지를 가볍게 눌러주듯이 밀어주면서 원하는 주름을 자유롭게 만들 수 있다. 주의 점은 소성시 소지 판과 그 위에 싸준 은박지 사이에 공기가 들어 있으면 부풀어 오른다.

⑨ 회화칠보

회화용 유약을 붓에 발라 유화를 그리듯이 채색하거나 자유롭게 그림을 그 리는 방법을 회화칠보라 하며 묘사된 그림이라는 의미에서 묘화칠보라고도 부른다. 회화용 칠보유약은 200~300메쉬 정도로 곱게 간 불투명 유약에 에마리엔이라는 특수한 기름을 섞어서 만든 것으로 물감의 형태로 되어있 다.

➉ 색연필칠보

다루기 쉽게 연필처럼 만들어진 도자용 색연필이나 크레용으로 그려서 구 워내는 칠보 기법이다.

주의점은 이 재료들은 매우 단단하므로 구리판 위에 직접 그리면 잘 그려지 지 않고 바탕색으로 인해 그린 그림조차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먼저 금 속판에 1차로 유약을 발라 굽고 표면을 사포로 문질러 거칠게 만든 후 색 연필로 자유롭게 그리면 된다.

ꊓ 판금칠보

(24)

금속 밑판을 가공하여 원하는 모양이나 형태로 만드는 조각적인 방법이다.

즉 금속 밑판을 형틀에 맞추어 모양을 만들거나, 오려서 형태를 만들고 그 것을 변형시킨 뒤 유약을 발라 구워내는 기법이다. 투명색을 사용하여 주면 효과적이다.

ꊔ 조금칠보

금속밑판에 정을 대고 망치로 두드려 양각이나 음각으로 모양을 만든 뒤 디자인될 부분에 칠보 유약을 입혀 구워내는 기법이다.

특징은 높은 면은 유약을 두껍게 입히고 낮은 면은 얇게 입혀야 가마 속에 서 칠보 유약이 녹으면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결과적 으로 평평한 표면을 얻게 된다. 주의점은 금속판에 너무 얇으면 두드려 새 낄 때 찢어져버릴 수도 있으므로 두께가 0.8mm이상의 금속밑판을 사용한 다.

ꊕ 투태칠보

금속밑판을 뚫어서 없애고 그 빈 공간에 칠보를 발라 구워내는 것으로, 금 속밑판을 부분적으로 잘라내고 투각된 부분에 칠보유약을 입혀 구워낸다.

특징은 잘라낸 부분에 투명한 칠보 유약이 입혀지므로 빛이 투사되면 스테 인드글래스 처럼 투명한 효과가 난다.

주의점은 잘라낸 면이 너무 넓으면 유약이 밑으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 실 패하므로 폭이 5mm가 넘지 않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보다 쉽게 작업하려 면 금속 밑판에 CMC를 섞은 칠보 유약을 만들어서 붓으로 발라 주면된다.

ꊖ 성태칠보

(25)

금속판의 두께가 0.1mm정도인 얇은 동판을 사용하여 투명 유약으로 소성 한 다음 초산이나 염화 제이 철 용액에 넣어 금속밑판이 녹아 없어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주의점은 사용할 금속밑판의 두께가 0.1mm정도로 얇아야 하고 얇은 금속판에 투명유약을 발라 구워내야 한다는 점이다.

ꊗ 부식칠보

부식이 된 동판에 색 유약을 입히는 방법이다. 동판 부식 액으로 염화 제2 철을 사용하며 부식 시간과 약품 농도에 따라 부식의 정도가 다르다.

표현방법은 부식이 된 부분에만 칠보를 입히는 방법으로 금속판의 요철 중 한 면에만 유약을 발라 구워내어 부식에 의한 농담의 변화를 줄 수 있다.

주의점은 부식 칠보의 금속은 다른 금속판보다 더 두꺼운 금속판을 사용해 야 한다.(도판16)

ꊘ 형지칠보

뿌리기 기법의 일종으로 종이를 원하는 모양으로 오려내어 1차 소성 후 형지를 붙인 다음 체를 사용하여 뿌리는 기법이다. 특징은 디자인의 큰 부 분이나 작은 부분의 질감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다.

주의점은 소성온도와 시간에 따라 형지의 형태가 번지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26)

<도판6>붓,대나무주걱, 체16) <도판7>받침, 철망 17) <도판8>막자사발18)

<도판9>스푼, 집게, 핀셋, 마블펜, 장갑, 마스크 19) <도판10>칠보가마20)

16) 안명선, <칠보 액세서리>, 시공사, 1997, p.40 17) 위의책, p.41

18) 위의책, p.41 19) 위의책, p.40

20) McGrath,Jinks, <First steps in enameling>, p.4

(27)

<도판11>올리기 칠보21) <도판12>알갱이 칠보22) <도판13>마블 칠보23)

<도판14>긁어내기 칠보24) <도판15>유약선 칠보25) <도판16>부식 칠보26)

21) 김영희,<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94

22) 노용숙, <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179 23) 김영희,<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94

24) McGrath,Jinks, <First steps in enameling>

25) 김영희,<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94

26) 노용숙, <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187

(28)

나. 칠보공예의 적용 단계 모형.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칠보공예를 이해하기 위한 지도방안으로 이론과 실기를 함께 단계별 수업지도안을 제시한다.

기본개념과 기법 재료와 용구에 대한 이해와 제작과정, 제작시 유의사항을 이해하고 창작물 제작의 단계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지도한다.

<표2> 수업 단계별 지도모형.

1단계수업은 감상으로 이루어진다. 감상영역의 수업모형은 준비-감상-확 인의 단계를 거친다. 감상과 표현이 연계되어 수업이 진행되므로 차시발상 및 구상지도를 통하여 자신의 작품에 대하여 충분히 구상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도록 한다. 재구성한 수업모형은 다음 표와 같다.

<표3> 감상 수업 모형

단계구분 수업내용 수업형식

1단계 칠보의 개념,역사, 특징 감상

2단계

칠보의 제작과정. 유약의 특징.

칠보가마 사용법.

칠보에 사용되는 재료, 작업순서

창작 및 표현

3단계 벽장식 작업

칠보에 어울리는 표면 디자인 창작 및 표현

① 준비(도입)과정 - 목표제시, 감상대상 관찰 ↓

② 감상(이해)과정 - 비교분류, 감상관점 설정, 감상관점 확인(미의 발 견)

(29)

일반적으로 표현 영역의 수업 모형은 준비- 발상- 구상-표현-감상 으로 제시되고 있다. 발상 및 구상은 전 차시에서 이루어 졌으므로 표현과 감상 시간을 더 확보하도록 하고 정리단계에서 다음 감상의 차시예고를 하도록 한다. 재구성한 수업 모형은 <표4>와 같다.

<표4> 표현 수업 모형

③ 차시 발상 과정 - 차시단원 제시, 참고 작품제시, 주제 설정(감상 활 동과 병행하여 지도함)

④ 차시 구상과정 - 발상한 이미지 구체화, 재료, 용구선택(수업시간후 학생스스로 탐구하게 과제로 제출)

⑤ 정리 과정 - 학습자료 정리

① 도입 과정 - 학습 목표 인식(과제로 내준) 구상 확인, 재료 준비 ↓

② 표현 과정 - 구상안 내용을 구체화 (작품 제작 활동) ↓

③ 감상 과정 - 작품 감상, 평가 (감상카드를 활용함) ↓

④ 정리 과정 - 차시예고, 재료 및 용구 정리 정돈

(30)

다. 칠보공예 지도방안

(1) 1단계-서양과 동양의 칠보감상.

1단계 교수 학습지도안에서는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부분이 칠보 의 기본기법에 대한 이론적 이해가 이루어 져야 한다.

따라서 1단계 지도계획안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은 학생에게 지도할 때 관계지식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충분하게 하고 감상에 필요한 각 부분의 이론에 대한 설명을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학습

단원 다양한 칠보작품 감상 학습

목표

① 칠보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② 전통적 칠보와 현대 칠보의 표현기법 및 그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교수

자료 OHP. 파워포인트 학습

자료 ㆍ감상 기록 카드

학습

요소 학 습 내 용 교수-학습활동 자료 및

교 사 학 생 유의점

도입 (5)

ㆍ학습환경조성 ㆍ학습동기유발 ㆍ학습목표제시

ㆍ 재 료 준 비 확인

ㆍ 학 습 단 원 확인 및 학 습목표제시

ㆍ 학 습 준 비 하고 학습단 원과 학습목 표 인지.

ㆍ조용히 경 청.

ㆍ파워 포인트

(31)

전개

∧ 관 계 지 식

∨ (20)

1. 칠보의 개념 2. 칠보의 역사

3. 칠보의 재료, 표현기법

ㆍ관계지식 으로 칠보에 대한 개념, 역사,표현기 법에 대한 설명.

ㆍ조용히 경청.

ㆍ관계 지식 자료 (OHP) ㆍ학생들 집중도 확인

본시 학습

∧ 감 상 및 표 현

∨ (60)

1.서양과 동양에서 발달된 칠보작 품을 시대순 으로 감상한다

2.현대 칠보 작품을 감상한다.

-칠보 기법의 특징별로 나누어 감 상한다.

-칠보에 나타난 색과 문양디자인을 감상한다.

3.작품에 나타난 특징에 대해 감상 일지를 제작하고 발표한다.

-작품에 나타난 사물들은 어떤 것 들이 있는가?

-각 나라별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칠보작품에 나타난 문양과 색상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칠보작품에는 주로 어 떠한 것 들이 있는가?

-칠보공예작품을 감상한후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 은 어떤 기법을 이

ㆍ시대별 흐름에 의한 칠보 발달 과정 설명.

ㆍ기법의 특징과 함께 제작순서 설명.

ㆍ감상을 유의깊게 한다.

ㆍ감상기록 카드에 나와있는 항목에 자신의 감상느낌을 적는다.

(32)

용한 무엇인가?

차시 발상 (10)

1.차시발상.

2.칠보 샘플작업.

ㆍ칠보를 이용한 간단한 작품을 보여준 후 이를 위한 샘플작업을 해야함을 설명한다.

ㆍ준비사항 메모

정리 (5)

정리 정돈한다.

(33)

<작품감상카드>

감 상 관 점

학년 이름

작품을 처음 본

느낌은? 금속에 그림을 그린 것처럼 표현 된 것이 신기하다.

작품에 나타난 사 물들은 어떤 것 들이 있는가?

생활용품(화기, 장신구, 액자)들이 주 가 되어 있다.

각 나라별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서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며, 동양은 유선칠보가 주로 발달하였다.

칠보작품에 나타 난 문양과 색상은 어떠한가?

색상은 화려하며 꽃, 기하무늬의 문양이 많은 것 같다.

우리나라의 칠보 작품에는 주로 어 떠한것들이 있는 가?

주로 비녀, 뒤꽃이, 노리개등 여자들의 장신구가 발달 하였다.

칠 보 공 예 작 품 을 감상한후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은 어떤 기법을 이용 한 무엇인가?

간단한 장식이 되는 장신구들을 ‘마블칠보’나 긁어내기 기법 등을 이용하여 직접 만들어 보고 싶다.

(34)

(2) 2단계-칠보의 색 이해를 위한 지도안

학생들이 감상을 통해 칠보에 대한 기본 이해가 끝난뒤 2단계 에서는 실 제 작품제작에 들어가기에 앞서 기초지도로써 칠보의 기본 유약색과 다양한 기법들을 정리해 볼 수 있는 샘플 지도가 필요하다.

여러 가지 색이 어떻게 나오며, 기법들을 자기만의 파일에 정리하여 후에 작품제작에 기본 자료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학습

단원 칠보유약의 기본색 이해하기.

학습 목표

① 가마에서 구워진 칠보색을 비교할 수 있다.

② 다양한 칠보기법을 직접 느낄 수 있다.

교수

자료 실물화상기, 파워포인트 학습

자료

칠보가마, 동판, 칠보유약, CMC, 접시, 스푼, 붓, 집게(핀셋), 유산통, 마스크, 석면장갑, 받침, 사포, 숫돌, 앞치마.

학습

요소 학 습 내 용 교수-학습활동 자료 및

유의점 교 사 학 생

도입 (5)

ㆍ학습환경조성

ㆍ학습동기유발(sample) ㆍ학습목표제시

ㆍ재료준비 확인

ㆍ학습단원 확인 및 학 습목표제시

ㆍ 학 습 준 비 하고 학습단 원과 학습목 표 인지.

ㆍ조용히 경 청.

ㆍ실물화 상기 ㆍ안전교

(35)

전개

∧ 관 계 지 식

∨ (15)

1. 유약의 특성.

-유약의 각 색에 대한 성질에 따라 융점의 높고 낮은 특성을 알아야 한 다.

-유약과 소지판과의 관계 2. 재료와 도구

3.. 칠보가마사용.

-구울 때 는 반드시 장갑을 끼도록 한다.

-가마를 열고 닫을 때 에는 작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살짝 여닫 는다.

-작품은 가마 속의 중심보다 안쪽에 넣도록한다(가마속의 온도차이때문) -수시로 관찰 구멍으로 구워지는 상 태를 관찰한다.

-구운뒤 가마에서 꺼낸 작품은 갑자 기 차가워지지 않도록 가마 위에서 서서히 식혀야한다.

-작업이 끝난후 온도조절 스위치를 내려준다.

ㆍ파워포인 트와 실물화상기

를 이용하여

실물과 예시작품을

제시한다

ㆍ안전교육 을 한다.

ㆍ주의깊게 경청

ㆍ칠보작 업시 환경의 유의점 -유해한

유약 가루를

들이 마시지 않도록 마스크를 쓴다.

본시 학습

1.작업 준비 갖추기.

-재료와 공구를 준비.

2.금속 밑판 준비.

-5*10사이즈의동판 준비 3.칠보가마의 스위치 켜기.

ㆍ작업 지시를

하고 시범을 보인다.

ㆍ주변을 정돈한다

(36)

∧ 실 습

∨ (65)

4.금속밑판과 칠보유약 세척하기.

-소지판의 기름기와 오물을 없애기 위해 산처리(묽은 황산 용액-1:10 을 만들어 금속을 넣고 2~3분 정도 끓인다음 꺼내서 수세한다)한다.

5.뒷면에 잡색유약 올려 1차굽기.

-유약을 완전히 말린 후 가마에 넣 는다.

6.앞면에 칠보유약 올려 2차굽기.

8.앞면에 각양각색의 칠보유약을 바 른후 유약이 마르면 3차굽기를 한 다.(각 색마다 굽는온도가 다르므로 꺼내보아 타들어간 색은 다시 채워 서 구워준다.)

9.가마에서 꺼낸 후 식힌 다음 색이 름표 이름 위에 올려 색을 비교한다.

ㆍ돌아다니 며 개인 지도를 한다.

ㆍ순서 대로 제작한다

ㆍ유약의 녹 는점에 유의 하여 반복작 업 한다.

ㆍ구워져 나 온 칠보 색 을 이름과 비교한다.

ㆍ작업시 안 전 에 유 의 한 다.

ㆍ황산용 액 사용 시 안전 에 유의 한다.

정리 및 평가 (10)

ㆍ정리정돈한다.

-완성된 과제물을 제출한다.

-작업에 사용한 장비. 공구 등을 깨 끗이 닦아 보관한다.

-주위를 깨끗이 청소한다.

ㆍ안전교육 ㆍ주변정돈 ㆍ가마

전원 차단

차시 예고(

5)

ㆍ칠보 장신구 제작. ㆍ설명한다 ㆍ디자인

해 온다.

(37)

<유약색 샘플 굽기 작업순서>

27)

27) 노용숙, <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97

①유약 색을 다 올린 후 굽기 전에 가마 위에 올려 따뜻하게 한 샘플 작업을 스 테인리스 도구로 든다.(가마 속의 가시 발의 위치를 확인한다.)

②스테인리스 도구를 이용하여 가마에 작품을 넣는다.

③작품을 꺼내놓을 바닥을 깨끗하게 닦 아놓고 다른 물질이 붙지 않게 한다.

④수평을 유지하며 가마에서 작품을 꺼 낸다.

⑤가마에서 꺼낸 작품을 바닥에 소리가 나도록 엎는다.(한쪽을 돌판에 대고 엎 으면 안전하다.)

⑥완성된 모습(유약의 이름을 기록한 것 에 맞추어본다.)

(38)
(39)

(3)3단계- 칠보 벽장식품 제작

3단계 지도방안에서 지도할 실기부분은 유선 칠보기법의 기법적인 설명과 함께 이 단계에서는 칠보로 장식될 벽장식의 디자인적 구성에 대한 지도가 함께 필요한 부분이다.

벽장식에 이용되는 금속 재료는 재료상 에서 구입할 때 사이즈를 맞추어 주 문한 것을 이용한다.

학습

단원 칠보 벽장식품 제작 학습

목표

①유선칠보와 그리기 기법을 이해한후 작품제작을 할수 있다.

②칠보로 동판을 장식할 수 있다.

교수

자료 파워포인트, 실물화상기 학습

자료

칠보가마, 동판, 칠보유약, CMC, 접시, 스푼, 붓, 집게(핀셋), 유산통, 마스크, 석면장갑, 받침, 사포, 숫돌, 앞치마.

학습

요소 학 습 내 용 교수-학습활동 자료 및

교 사 학 생 유의점

도입 (5)

ㆍ학습환경조성

ㆍ학습동기유발(sample) ㆍ학습목표제시

ㆍ 재 료 준 비 확인

ㆍ 학 습 단 원 확인 및 학 습목표제시

ㆍ 학 습 준 비 하고 학습단 원과 학습목 표 인지.

ㆍ조용히 경 청.

ㆍ파워 포인트

(40)

전개

∧ 관 계 지 식

∨ (15)

1.유선 칠보기법 2.그리기 칠보기법

-그림 그리듯이 칠보유약으로 그림 2.칠보 벽장식 구상 디자인.

- 자신의 캐릭터 표현.

- 동화속 이미지 표현.

ㆍ칠보 기법 에대해 설명 한다.

ㆍ표면 디자 인 구성에 대한 주제를 주고 설명한 다.

ㆍ 주 의 깊 게 경청하며 이 해한

다.

ㆍ 표 면 디 자 인

을 구상하여 스 케 치 북 에 표현한다.

본시 학습

∧ 실 습

∨ (60)

1.작업 준비 갖추기.

-재료와 공구를 준비.

-벽장식 표면 디자인.

2.금속 밑판 준비.

3.칠보가마의 스위치 켜기.

4.은선을 돌돌말아 가마에 10초정 도 넣었다 뺀다.(잘 구부러 지기 위 해)

5.디자인대로 은선 구부리기.

6.가위로 선 자르기

7.굽힌선에 CMC를 발라 표면에 붙인다.

8.선 안에 유약색을 입힌다.

9. 구운후 유약생의 상태를 봐가며 좋지 않은 부분은 다시 채워 구워 준다.

10. 다 구워낸 칠보는 흐르는 물에 서 숫돌이나 사포로 문질러 다듬어 주면 무광이 되고 선의 두께가 일

ㆍ디자인 해온 것을 검사한다.

ㆍ작업전 순서에 맞게 하며, 안전에 유의할 것을 다시한번 주의시킨다.

ㆍ은선을 녹 이지 않도록 돌돌 말아서 뭉쳐서 가마 에 넣는 것 을 주의시킨 다.

ㆍ주변을 정리하고 안정된상태 에서 작업한다

ㆍ순서대로 제작한다

ㆍ그리기 칠보하는사 람은 디자인 한 것을 칠보유약으 로 그린다.

-앞 뒤로 기본유약입 힌 금속판에 그림을 그린다.

-말려서 칠보가마에 넣고 구워준다,

ㆍCMC 를 너무 많이 바르면 엉켜서 않좋으므 로 조금만 바르도록 유의한다 .

(41)

28) 김영희,<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94 정해 지면서 선명해진다.

11. 칠보를 가마 밖의 위쪽에 올려 따뜻하게 만든 뒤 밀납 이나 왁스 를 바르고 부드러운 융으로 문질러 주면 반 광택의 유선칠보가 완성된 다.

정리 및 평가 (10)

ㆍ정리 정돈 한다.

-완성된 과제물과 작품 제작 일지 를 제출한다.

-주위를 깨끗이 청소한다.

ㆍ안전교육 ㆍ주변정돈

핟다.

ㆍ가마 전원 차단

차시 예고 (5)

ㆍ칠보 장신구 만들기 ㆍ설명한다

과제제출

ㆍ디자인 구상 <유선 칠보 제작과정>28)

①디자인대로 은선 구부리기 ②가위로 선 자르기 ③굽힌선에 CMC를발라 붙인다

④선을 판위에 붙여놓은 ⑤선안에 유약색을 입힌다 ⑥구운후 완성작품 상태

(42)
(43)
(44)

4. 지도결과 및 평가

가. 지도결과 분석

이상 칠보공예수업을 일반 고등학교 과정에서 적용 시킬 수 있는 지도방안 을 3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해 보았다.

학생들은 교과서에서 참고작품으로만 보아왔던 칠보공예를 감상과 실제 제 작수업을 통해서 더욱 심도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전통적 공예품과 더불어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전통 공예의 기법을 현대에 맞게 재해석한 창작품을 디자인하여 제작함으로써 창의력을 신장 시킬 수 있었다.

다만, 일반 고등학교에서의 미술시간의 부족과, 시설미비로 인한 어려움이 있어 학생들의 작품제작 시간이 다소 부족했으나 학생들은 실제로 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작품을 자기 손 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에 매우 흥미로와 했다.

<표5> 작품 결과 분석 내용

내용분류 지도결과내용

기초기능면 칠보공예의 재료에 대한 수업 후 재료의 이해로 다양하게 사 용하며 용구를 쉽게 다룸

표현내용면 전통적인 이해와 함께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실제 생활에 필 요한 작품을 자기만의 개성적인 표현으로 제작함.

성 실 한 태 도 면

처음엔 용구나 재료 사용의 어려움, 기법의 이해부족으로 몰 랐던 것을 지도후 제작과정의 순서대로 어려움 없이 진행함.

(45)

나. 평가

(1)평가지침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에 부응하는 평가하고 실습과정에 주어진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탐구적 수행능력과 노력하는 자세에 주안점을 두어 평가한 다. 실습준비도 및, 출결 상황과 함께 학생들의 감상 기록 카드와, 제작 일 지 카드를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제출하게 하여 평가한다.

(2)평가방법

미술 수업에서의 평가란 결과인 학생의 작품, 즉 결과만을 놓고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는 데서 벗어나 그 결과가 나오기까지의 과정과 표현 의도, 태도 등이 모두 미술 활동에서는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함께 평가되는 방향으로 한다. 따라서 결과 속에서의 완성도, 기술 등만을 볼 것 이 아니라 수행평가의 방법 중 포트폴리오 제작, 감상문 제작 등으로 평가 하였다.

첫째로, 학생들의 감상문 평가는 타인과 친구들이 제작한 작품, 화집이나 슬 라이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작품을 감상한 다음, 작품의 주제와 표현의 특징, 재료와 기법, 제작 의도, 느낀 점 등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기 술 하도록 한다.

둘째, 학생들에게 포트폴리오를 만들게 하여 평가한다. 포트폴리오란, 자신 이 쓰거나 만든 작품을 지속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모아둔 개인별 작품집 혹 은 서류철을 이용한 평가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학생들은 자신이 제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자기 자신의 변화 과정을 알 수 있고, 자신의 장점이나 약 점, 성실성 여부, 잠재 가능성 등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으며, 교사들은 학생

(46)

들의 과거와 현재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한 조언을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평가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평가의 세부항목은 다음과 같다.

<표6> 수행평가 척도표

평가시 유의점으로 객관적이고 공정하며 학생과 교사의 믿음을 바탕으로 기 준과 평가를 학생에게 공개한다.

구 분 단 계

A B C D

완성도 40 36 32 28

비평능력 20 18 16 14

창의력 20 18 16 14

이해력 10 9 8 7

준비,실습태도 10 9 8 7

계 100 ~ 70

(47)

Ⅳ. 결론 및 제언

산업화, 획일화 되어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개성‘이란 단어는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모든 것이 대량생산 되어 똑같은 것들 속에서 나만의 개성 을 찾고자 한다. 따라서 독창적이며, 나만이 가질 수 있는 그 무엇을 원하 는 현대인들은 수공의 매력에 빠지는 것이다. 공예의 매력이란 사람의 손길 이 닿은 것, 생활과 함께 하는 것 이라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의 선 조들이 생활 속의 공예품을 즐겨왔듯이 현대인들도 공예의 매력을 새삼 느 끼고 있는 것이다.

야나기 무네요시는 그의 저서 <공예문화>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미술문화에서 공예문화로 나아가는 방향, 여기에 문화의 올바른 방향이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미술을 거부한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다만 참다 운 아름다움은 우리 일상생활과 결합되어 있다는-원래의 입장을 되찾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 필요성은 이미 절박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미술을 우리 일상생활에 끌어들여야 할 시기가 눈앞에 와 있다.”

따라서 본인은 우리나라의 오랜 역사적 전통 속에서 우리의 실생활과 밀접 한 관계를 가지고 발전되어 온 칠보공예를 통해 생활 속의 미술을 이해시키 고자 하였다. 최근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 받아들여진 전통문화의 새로운 인 식 속에서 전통 미술에 대한 이해를 단편적인 지식의 이해로만 머무르는 것 이 아니라 전통미를 발견하고, 이를 향유할 수 있는 내면화 과정에까지 이 르도록 돕기 위한 제재와 지도 방법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 고등학교의 실정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 는 단계에서 시작하였다.

(48)

첫째, 지도과정은 단계형 교육과정을 선택하였으며 해당 단계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이해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 전 단계의 과정을 활용하도록 하였 다.

둘째, 칠보공예를 이해하기위한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하여 기본기법을 이 해한후 본인의 창작품이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미술교과에서 전통공예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생활 속의 미술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통공예가 현대에도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되고 있음을 이해하기 위 해 현대칠보작품을 감상하였으며 이러한 감상수업과 연계된 표현 학습은 학 생들의 작품수준을 한 단계 높여주었으며, 학생들은 칠보공예를 이해하고 작품제작을 해봄으로써 우리생활에서 전통공예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였다.

이런 결과는 학생들이 전통문화에 대해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구체적으로 체험하며 공부한다면, 전통이란 진부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의 밑거름 이 될 수 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전통 미술의 정착을 위해서는 순수 미술과 함께 생활 미술에도 관 심을 가지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미술품이나 생활 용품 감상을 통한 민족 정 서와 생활 공동체 의식을 느낄 수 있도록 지도가 필요하다.

(49)

참고문헌

곽순화, <귀족적 품위의 금속공예>, 한림출판사.

교육부, <고등 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해설>,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1 김경아, 이정임,<공예가를 위한 귀금속공예기법>, 주얼리우먼, 1999.

김상랑, <미술교육개론>, 미진사, 1992.

김영희,<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94.

노용숙, <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변성준, <칠보의 기법>,명혜칠보 연구소, 1975

辻弘ㆍ杉山明博/ 金寅權 譯 <조형형태론> 미진사, 1994.

안명선, <칠보 액세서리>, 시공사, 1997.

야나기 무네요시/민병산, <공예문화>, 신구문화사, 1993

이규선, 김동영, 전성수, <미술교육학 개론>, 교육과학사, 1994.

임선빈외, <최신교육방법 교육공학>, 집문당, 1997.

이종석, <한국의 전통공예>, 열화당, 1994.

최순우, <한국미술 오천년>

McGrath, Jinks, <First steps in enameling>,

Rotenburg Polly, <Metal Enameling and Jewelry work>, The Viking Press, New York, 1968.

여수희, <칠보기법을 이용한 금속작품 연구>, 대구 카톨릭 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2000.

윤순종, <우리나라 전통공예 계승을 위한 디자인ㆍ공예교육>,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 원, 1998.

조진숙, <현대 칠보 장신구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7.

(50)

SUMMARY

A Study on the Teaching Korean Cloisonne Arts for High School Students

by Kim, Soo-Jin

Majoring in Education of Fine ar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 Min University Seoul, Korea

This study tries to develop a teaching manual for high school art class. Exploring the tradition and the aesthetic value of cloisonne arts in Korea, the study aims at finding ways to enable high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and to get interested in cloisonne arts. By having the students to be exposed to the aesthetic value of the traditional crafts as much as possible, teachers could expect the more enlightened sense of beauty from students.

The teaching manual focuses on having students to get experiences by giving them chances to make their own works of cloisonne.

Through this, studen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the traditional arts and crafts.

The teaching manual devised in this study has three-stage instruction courses.

(51)

At the first stage, the manual focuses on addressing the tradition and the main features of cloisonne around the world. Students will be exposed to a lot of artistic works and instructed to appreciate their aesthetic values while learning the basic concepts and types of the works.

The second stage consists of the practices by students. At this stage, students will learn and drill the basic skills in making cloisonne. Students many try a variety of colors and expressions.

At the third stage, the teaching manual leads students to creative artwork. Based on basic understanding of the cloisonne, students try to create their own works rendering their ideas into works.

To summarize, the teaching manual is designed to induce students at first hand to become interested in traditional arts by showing them various types of cloisonne works. It also expects the improvement in their aesthetic senses. Students are successors of tradition, who are obliged to preserve its values and to hand it over to their descendants. In this sense, this study entails further elaboration and academic research on arts and crafts curriculum.

참조

관련 문서

A teach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was researched to introduce students into the aesthetic beauty of music by listening to various music.. Students

In this paper, to verify the stability of designed power system, the power system of SSDRs is modeled at first and load flow is analysed on each

In order to decrease the deaths caused by cancer that is a serious threat to the health of many individuals living in Jejudo, it is important to

Close reading is a teaching method in which students read a text multiple times, each time with text-based questions for them to deal with. Questions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Objective :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performance of hand washing in daily life for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 The study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English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o elevat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apply them in our educ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