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Ⅰ. 서론

2. 칠보의 발달사

가. 서양의 칠보사

칠보의 기원은 확실치는 않으나 출토된 이집트의 유물 등에 사용된 것으로 보아 이 시대가 칠보의 기원이라 추정된다. 고대 이집트의 금세공 및 각종 수공예 작품을 살펴보면, 값비싸고 진귀한 보석들을 갈아서 붙이는 대신에 더욱 정확하게 모양을 만들고 색상과 크기를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하여 가 루로 된 유리질을 칸마다 채우고 녹여 붙이는 방법, 즉 칠보 기법을 사용하 기 시작하였다.

이집트의 칠보 작품으로는 연꽃무늬 장식이 달린 부적 목걸이, 투탕카멘 (Tutankhamen, 기원전 1370~52) 왕의 미라에서 발견된 매 가슴 장식, 금.청금석과 색색의 유리질로 만들어진 북부 이집트의 보호 여신 네흐베트 (Nechbet)를 유형화한 매 장식 팔찌 등이 있다.(도판1,2)

그리스 로마를 거쳐 기독교를 바탕으로 전수 발전된 칠보 공예는 주로 교 회의 성체, 제사기구, 성서의 표지장식 등에 이용되었고, 지금도 유럽의 박

물관에 보존되어 있으며, Venice의 San Marco 사원에 있는 성상은 고대 칠보 최대의 작품이라 한다.

5)

또한, 중세 유럽에서는 불란서의 Remoges지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에마 일 샤르베(Email Shanrube)라는 기법, 즉 금속 소지에 움푹 파이게 조각 을 하거나 부식을 하여 유약을 흘려보내어 굽는 기법을 창안하여 훌륭한 작 품을 남겼다.

6)

현재에도 불란서의 Rimoges지방에서는 옛 기법을 그대로 계승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비엔나르 칠보 전시회를 개최하고, 이 와 때를 같이하여 스페인에서는 입자법을, 이태리에서는 평면세공기법(금속 을 선만 남겨놓고 투각하여, 투각 면에 유약을 넣는 기법)등 새로운 칠보기 법이 생기게 되었다.

이후 유럽의 칠보는 바우하우스 운동의 전개와 1960년대 투명칠보 유약기 법의 개량으로 더욱 발전하였다.

나. 동양의 칠보사

서구에서 발달된 칠보가 동양에 들어온 것은 서기 6C경에서 9C경에 비잔 틴 또는 아라비아를 거쳐 실크로드를 통하여 중국, 조선, 일본 등으로 전해 진 것으로 추정된다.

칠보의 제작법이 중국으로 전해지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된 이유는 이 미 중국에서 발달한 활금기술, 특히 주조기술 및 유리제조의 기술, 열량 조 절의 지식등과 연합해 독특한 칠보 기법들이 심도 있게 시도되었기 때문이 다. 특히 명나라 시대 예술가들은 중국의 전통적인 금속 가공 공예술을 융 합하여 완전히 중국식으로 탈바꿈한 칠보 공예품을 만들었는데, 이때가 칠

5) 김영희, <칠보공예>, 한림출판사, 1982, p.25.

6) 칠보의 기법, <명혜칠보 연구소>, p.14.

보 예술이 가장 최고의 수준에 도달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칠보는 중국의 불교문화와 함께 영향을 받았으며 정확한 문헌은 없 으나 신라고분에서 유리구슬, 유리구곡 등 금제 장신구에 칠보를 입힌 유리 구슬 등이 발견된 것을 비롯하여 근래에 발굴한 경주 98호 고분과 천마총 에서 나온 유리그릇에서 유리를 다루는 것으로 보아 칠보가 사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7)

지금까지 내려오는 칠보공예품은 모두 조선시대의 것으로 빨강, 노랑, 녹 색, 청색, 보라 등의 색이 쓰여졌으며 주로 여인들의 장신구 즉, 노리개, 단 추, 비녀, 족두리, 뒤꽂이, 댕기, 귀고리, 가락지 및 갑옷장식과 기물 등 에 사용되었다.

8)

(도판3,4)

이렇게 발전을 한 한국칠보는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 4C후반 일본의 대화 조정은 통일후 한국, 중국과의 교역으로 문화를 수입하였고 특히 백제로부 터 많은 공예가 및 기술이 전수되었다. 일본에서 발간된 칠보공예에 관한 저서에 일본의 칠보기술은 16세기 말 도산시대(䄻山時代) 일인 평전사랑도 인(平田四郞道人)이 조선의 칠보 기술자로부터 그 기술을 배웠다고 기록하 고 있으며 일본은 칠보를 자신의 나라에 맞게 독창적으로 발전시켜가고 있 다.(도판5)

7) 최순우, <한국미술 오천년>, p.43~44.

8) 김영희, <칠보공예>,한립출판사, 1982, p.25

<도판1> <도판2>

<도판1> 매 가슴 장식, 기원전1336~27년, 카이로 박물관 소장9)

<도판2> 네흐베트를 유형화한 매 장식 팔찌, 기원전 1540년, 카이로 박물관 소 장10)

<도판3> <도판4> <도판5>

<도판> 파란 귀고리, 조선시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11)

<도판4> 파란 뒤꽂이, 조선시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12)

<도판5> 향호, 메이지시대 전기, 일본 칠보미술관 소장 13) 9) 노용숙,<아름다운 빛깔구이 칠보예술>, 미진사, 2000, p.55

10) 위의책, p.55 11) 위의책, p.73 12) 위의책, p.73 13) 위의책, p.1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