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Computed Tomographic (CT) Finding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Computed Tomographic (CT) Findings"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지방육종은 드문 종양으로 모든 악성 종양의 1% 정도를 차 지하며 특히 종격동에서 발생한 지방육종은 Pallase와 Roubier 에 의해 첫 보고된 이래 전세계적으로 극히 적은 수의 증례가 보고된 아주 드문 종양이다(1). 빈도는 모든 종격동 종양의 0.1%에서 0.75% 정도를 차지한다(1, 2). 국내에는 현재까지 증례 보고만 6예가 있다(3-7). 종격동 지방육종의 조직학적 분류는 저자들마다 상이하지만, Enzinger 등(8)은 고분화형, 점액형, 원형세포형, 다형성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종격동 지방육종의 아형에 따라 예후와 치료 방향이 영향을 받으므로 정확한 수술전 평가가 중요하다. 지방육종의 아형은 연부조직 의 밀도와 연관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9). 이에 저자들은 삼 차병원 세 군데에서 최근 경험한 종격동 지방육종의 CT 소견

을 기술하고 조직소견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수술을 시행해서 병리조 직학적으로 진단된 종격동 지방육종환자 4명의 CT 소견을 후 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21세에서 70세까지 로 평균연령은 37세이었고 모두 남자였다. CT는 Somatom Plus scanner (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 기종과 GE 9800(GE medical system, Milwaukee, U.S.A.) 기종을 사용하였다. 120-140 kVp와 150-230 mAs 의 조건하에 10 mm의 절편 두께 및 간격으로 폐첨에서부터 부신 부위까지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영상은 종격동(width 310-360 HU, level 0-35 HU)과 폐실질(width 1500-1800 HU, level -500 - -700 HU)을 보기에 알맞은 형태로 조절 하여 얻었다. CT 소견은 종양의 크기, 종양의 위치, 조영증강

종격동의 원발성 지방육종: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1

김찬성ㆍ이기남ㆍ정규식2ㆍ김건일3ㆍ노미숙4

목적:종격동에서 발생한 원발성 지방육종의 전산화단층촬영(CT) 소견을 기술하고 병리소견과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1996년 9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조직병리학적으로 원발성 종격동 지방육종으로 진단된 남자환자 4명의 의무기록, 단순흉부촬영 그리고 CT 스캔 등을 조사하였다. CT 스캔은 두 명의 방사선과 의사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마지막 결정은 합의에 의해 이루어졌다. 종양의 크기와 위치, 조영증강양상, 지방성분의 구성양상, 석회화, 종괴효과, 흉막삼출, 임파선증대, 심 막삼출, 늑골과 횡격막의 연결 부위까지의 침범, 그리고 주위장기의 침범 등의 소견을 CT에서 분석하였다.

결과:모든 환자는 흉통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조직학적 아형은 점액형(n=2), 고분 화형과 다형성형이 섞인 혼합형(n=2)이었다. 종양의 크기는 횡경이 10.5 cm에서 21 cm 까 지 보였다. 발생부위는 모두 전종격동이었다. 변연은 모두 분엽상으로 보였다. 주로 연부조직으 로 보이는 경우(n=2)는 점액형이었고 연부조직감쇠와 지방감쇠가 대략 반씩 보이는 경우(n=2) 는 혼합형이었다. 석회화는 한 명에서, 다형성형의 연부조직감쇠내에서 아주 소량이 보였다. 종 괴효과는 모든 환자에서 보였다. 3예에서는 한쪽 흉강의 늑골과 횡격막의 연결부위까지 종양 이 위치하였다. 흉벽 침범이 한 예에서 보였다.

결론: CT에서 전종격동에 위치하며 지방성분, 종괴 효과, 주위조직의 침범, 분엽상 변연 등의 소견은 종격동 지방육종을 강력히 시사하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병변부위의 CT 감쇠는 조직학 적 분화정도와 밀접한 연관을 보였다.

1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3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4동아대학교 의과대학 병리과학교실

이 논문은 2002년 8월 22일 접수하여 2002년 10월 1일에 채택되었음.

(2)

양상, 지방성분의 구성양상, 석회화, 종괴효과, 흉막삼출, 임파 선증대, 심막삼출, 늑골과 횡격막의 연결부위까지 침범여부, 그 리고 주위 장기의 침범 등에 중점을 두고 두 명의 방사선과 의 사가 후향적으로 분석하고 차이가 있을 경우 합의하여 결정하 였다.

결절의 크기는 횡경과 종경의 가장 긴 부위를 측정하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전, 중 그리고 후 종격동으로 나누었다. 조영증 강양상은 균질형과 비균질형으로 분류하였다. 지방성분의 구성 양상은 두 가지로 연부조직감쇠가 주로 보이는 형태와 지방감 쇠와 연부조직감쇠가 대략 반씩 보이는 형태로 나누었다. 종괴 효과는 다른 주위장기를 압박하여 모양이나 위치이동을 야기 했을 때로 정의했다. 임파선 증대는 단경의 직경이 1 cm이상 일 경우로 정의했다.

조직소견은 모든 환자에서 CT 소견과 비교하였다.

─ 154 ─

Fig. 1. Primary liposarcoma of mediastinum in 32-year-old man.

Enhanced CT scan obatained at the level of the lung base shows a mass of fat and soft-tissue attenuation and left chest wall invasion.

A B

C D

Fig. 2.Primary liposarcoma of mediastinum in 70-year-old man who had dyspnea and chest pain.

A.Pre-contrast CT scan obtained at the level of the right pulmonary artery shows a huge mass with various soft-tissue densities including fat atten- uation and small calcification.

B.Contrast enhanced CT scan obtained at the level of the right atrium shows internal linear foci within the fat and soft-tissue attenuations. The heart and left lung were pressed and distorted by the large mass.

C.The histologic finding taken from abundant fat attenuation area shows a well-defferentiated liposarcoma.

D.The histologic finding taken soft-tissue predominant area shows a pleomorphic liposarcoma with clustering of lipoblasts (H-E; original magnifi- cation, ×40).

(3)

모든 환자는 흉통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조직학 적 아형은 Enzinger 등(8)의 분류에 따랐으며 점액형이 2예였 고, 나머지 2예는 고분화형과 다형성형이 섞인 혼합형이었다.

종양의 크기는 횡경이 10.5 cm에서 21 cm으로 평균 14.9 cm 이었고, 종경이 12 cm에서 16 cm으로 평균 14.5 cm였다. 발 생부위는 모두 전종격동이었다. 변연은 모두 분엽상으로 보였 다. 모든 예에서 지방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종양전체가 지방성분이었던 경우는 한 예도 없었다. 주로 연부조직으로 보 이는 경우는 2예, 조직학적 아형은 모두 점액형이었다. 연부조 직감쇠와 지방감쇠가 대략 반씩 보이는 경우가 2예에서 보였 으며 조직학적 아형은 고분화형과 다형성형이 존재하는 혼합 형이었다. 석회화는 단 한 명에서 보였으며 다형성형의 연부조 직감쇠내에서 아주 소량이 있었다. 종괴효과는 모든 환자에서 있었으며, 특히 심장압박의 형태로 나타났다. 3예에서는 한쪽 흉강의 늑골과 횡격막의 연결부위까지 종양이 위치하였다. 흉 벽 침범이 한 예에서 보였다(Fig. 1).

혼합형의 경우 연부조직의 감쇠계수가 35 H와 37 H인 부 분은 다형성부위로 나타났으며, 지방감쇠가 많은 부위는 고분 화형으로 조직소견에서 보였다(Fig. 2). 점액형의 경우는 연부 조직이 주로인 것으로 보이지만 연부조직 사이사이에 지방이 분포하고 있어 전체적인 조직감쇠는 -2 H에서 10 H 정도로 그리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육종은 악성 지방아세포에서 기원하는 연부조직육종으 로 주로 대퇴부(25-30%)와 후복막강(20%)에 생기며 상지 와 어깨, 오금부, 둔부 그리고 배부 등에 생긴다(10). 종격동 에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주로 40세에서 60세 사이의 성 인에서 발생한다. 17세 이하에서 발생한 종격동 지방육종은 지 금까지 단지 7예가 보고되었다(11-13). 종격동 지방육종 환 자의 대부분은 호흡곤란, 빈호흡, 가슴통증, 기침, 체중감소 등 을 호소하며 상대정맥증후군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약 15%에서 환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14-16). 저자들의 경우 4명 모두에서 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을 호소하였다.

지방육종의 예후는 조직학적 분화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 는데 분화가 좋은 형(고분화형, 점액형)은 악성도가 낮아 국소 재발하는 경우는 있지만 전이 경향은 없고 분화가 좋지 않은 형(원형세포형, 다형성형)은 국소 재발과 전이율이 높다 (17).

일반적으로 지방육종의 구성은 조직학적 분화 정도와 연관이 있다. 즉 저분화형일수록 주로 연부조직감쇠가 나타난다. 정상 적인 지방은 저감쇠(-70에서 -130 H)로 나타나고, 고분화형 지방육종의 경우 이보다 높은 감쇠(-20에서 -100 H)를 보 인다. 하지만 저분화형 지방육종의 경우는 지방보다 연부조직 비율이 높아 CT 감쇠는 거의 다른 고형종양(+15에서 +25 H) 과 유사하게 나타난다(16). 저자의 경우에서도 일치하는 소견

으로 혼합형에서 조영전 CT 감쇠계수가 30 H이상인 부위의 조직소견은 저분화형으로 보였으며, 지방감쇠가 많은 부위의 조직소견은 고분화형으로 나타났다. 비록 증례의 수는 적지만 연부조직감쇠와 지방감쇠가 분리되어서 나타날 경우 혼합형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연부조직감쇠가 주로 보이는 점액 형의 종괴에서도 실제 감쇠계수는 10 H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성인에서는 아형 중에서 점액형이 40-50%로 가장 흔하다. 지 방육종 중에서 예후가 좋은 경우는 고분화형이나 점액형이고, 자연괴사가 없으며, 유사분열이 적고 크기가 5 cm 미만이며, 나이가 45세 미만일 경우이다(18).

종격동 지방육종의 단순흉부촬영 소견은 주로 종격동의 확 장이다. 때로는 기관과 혈관들의 편위가 보이기도 한다. 종격 동 지방육종은 전종격동에서 가장 많이 호발한다(9). 하지만 Burt 등(18)은 후종격동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저 자들의 경우는 모두가 전종격동에서 발생하였다. CT 소견은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지방육종과 유사하게 연부조직종양에 다 양한 정도의 지방감쇠를 포함한 종괴로 보인다(15, 16). CT 와 자기공명(MR)영상에서 종격동 지방육종은 연부조직의 양 에 따라 다양하게 보이는 비균질한 지방종괴로 종괴의 내부에 섬유성의 띠를 가진다. 연부조직구성이 많은 경우는 조영증강 이 잘되며, 주위 구조물을 침범하거나 전위시키기도 한다 (15).

감별해야할 질환으로는 종격동지방종, 흉선지방종, 과오종 등 이다. 지방종의 경우 보통은 균질성 지방감쇠를 보이는 피막화 된 병변이다. 과오종은 보통 비균질성이며 경계는 좋고 다방성 이며 석회화가 빈번한 낭성 전종격동 종양이다. 지방액체층이 보이면 매우 특이적이다. 지방종이나 흉선지방종과 달리 지방 육종은 주위 구조물을 빈번히 침범하고 종괴효과를 나타낸다 (2). 따라서 대개의 환자는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19). 저자들 의 경우 모두에서 종괴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심장압박소견이 있었다. 한 예에서는 흉벽의 침범소견이 있었다. 이러한 소견 들은 지방을 포함하는 다른 종격동 종양과의 감별에 도움을 준 다.

종격동 지방육종의 치료는 수술이다. 수술은 대혈관의 침범 이나 정상지방과 지방육종이 유사해서 종양의 변연을 결정하 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 만일 전체 종양을 제거할 수 없어도 증상을 호전시킬 수는 있다. 술후 종양의 재발은 약 40%에서 보인다(14).

본 연구는 종격동 지방육종이 매우 드문 질환이기 때문에 증 례가 부족하여 더 많은 증례로 연구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CT에서 지방성분을 보이며 종괴 효과를 가지며 주위조직을 침범하고 전종격동에 발생하며 분엽상 변연부를 가 진 경우 종격동 지방육종의 진단에 유용하며 다른 종격동 종 괴와의 감별에 도움을 준다. 병변부위의 CT 감쇠는 지방육종 의 조직분화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Sekine Y, Hamaguchi K, Miyahara Y, et al. Thymus-related li- posarcoma: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Surg Today 1996;26:203-207

(4)

2. Schweitzer DL, Agaum AS.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 astinum.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Thorac Cardiovasc Surg 1977;74:83-97

3. 김원곤, 김주현. 종격동 지방종 및 지방육종: 3예 보고. 대한흉부외 과학회지 1983;9:375-380

4. 이경수, 임정기, 정성훈. 흉곽내 지방성 종괴의 전산화단층촬영 진 단.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5;21:945-953

5. 류경남, 윤 엽, 성동욱, 이동호, 안치열. 흉곽내 발생한 원발성 지방 육종.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7;23:215-220

6. 이성윤, 홍은경, 지행옥. 원발성 종격동 지방육종 1예 보고. 대한흉 부외과학회지 1989;22:1061-1069

7. 김용희, 이현우, 박승일, 김동관, 손광현, 공경업. 원발성 종격동 지 방육종 -1예 보고. 대한흉부외과학회지 1996;29:125-128

8. Enzinger FM, Weiss SW. Soft tissue tumors. 2nd ed. St Louis:

Mosby, 1988;346-382

9. Grewal RG, Prager K, Austin JH, Rotterdam H. Long term survival in non-encapsulated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Thorax 1993;48:1276-1277

10. Kransdorf MJ, Moser RP Jr, Meis JM, Meyer CA. Fat-containing soft-tissue masses of the estremities. RadioGraphics 1991;11:81-106 11. Mikkilineni RS, Bhat S, Cheng AW, Prerosti LG. Liposarcoma of

the posterior mediastinum in a child. Chest 1994;106:1288-1289 12. Ohhira U, Watanabe Y, Iwa T, Kitakawa M, Watanabe R.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Report of a case in a child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 japanese). Jpn J pediatr Surg 1975;12:659-662

13. Chiyo M, Fujisawa T, Yasukawa T, et al. Successful resection of a primary liposarcoma in the anterior mediastinum in a child: report of a case. Surg Today 2001;31:230-232

14. Plukker JT, Joosten HJ, Rensing JB, Van Haelst UJ. Primary li- posarcoma of the mediastinum in a child. J Surg Oncol 1988;37:

257-263

15. Munk PL, Lee MJ, Janzen DL, et al. Lipoma and liposarcoma: eval- uation using CT and MR imaging. AJR Am J Roentgenol 1997;169:

589-594

16. Grewal RG, Prager K, Austin JH, Rotterdam H. Long term survival in non-encapsulated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Thorax 1993;48:1276-1277

17. Evans HL. Liposarcomas and atypical lipomatous tumors: a study of 66 cases followed for a minimum of 10 years. Surg Pathol 1988;

1:41-54

18. Burt M, Ihde JK, Haudju SI, et al. Primary sarcomas of the medi- astinum: results of theraphy. J Thorac Cardiovasc Surg 1998;115:

671-680

19. Fraser RS, Muller NL, Colman N, et al. Fraser and Pare’s diagnosis of disease of the chest. 4th ed. Philadelphia, Saunders, 1999;2875- 2937

─ 156 ─

(5)

J Korean Radiol Soc 2003;48:153-157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Nam Lee, M.D.,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Dong-A University Hospital, 1, 3-ga, Dongdaesin-dong, Seo-gu, Pusan 602-103, Korea.

Tel. 82-51-240-5375 Fax. 82-51-253-4931 E-mail: kinamlee@chollian.net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Computed Tomographic (CT) Findings

1

Chan Sung Kim, M.D., Ki-Nam Lee, M.D., Gyoo Sik Jung, M.D.2, Kun-il Kim, M.D.3, Mee Sook Rho, M.D.4

1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2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Ko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3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4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Purpose:To describe the CT findings of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and to correlate these with the 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chest radiographs and CT scans of four male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proven primary liposarcoma of the mediastinum treated between September 1996 and April 2002. The CT scans were analyzed by two radiologists, and final decisions were reached by consensus. They were analysed in terms of tumor size and location, enhancement pattern, the pat- tern of the fat component, calcification, mass effect, pleural effusion, lymph node enlargement, pericardial ef- fusion, tumor extension to the costophrenic junction, and adjacent organ invasion.

Results:All patients presented with dyspnea and chest pain. Pathologic subtypes, which were well-differenti- ated and pleomorphic, were myxoid (n=2) and mixed (n=2). The transverse diameter of the mass ranged from 10.5 to 21 cm. All tumors were located in the anterior mediastinum, and all had lobulated margins. Soft-tissue attenuation predominance (n=2) occurred in the myxoid type, and roughly equal amounts of fat and soft-tis- sue attenuation (n=2) were present in the mixed type. A small area at calcification was seen in the mixed type (n=1). Mass effect on mediastinal structures was demonstrated in all patients. In three patients, the tumor draped around and conformed to the shape of the costophrenic junction. Chest wall invasion occurred in one patient.

Conclusion:Findings of an anterior mediastinal location, fat attenuation, mass effect, the invasion of adjacent organs, and a lobulated margin strongly suggested mediastinal liposarcoma. CT attenuation of the lesions cor- related closely with the degree of histologic differentiation.

Index words :Mediastinal neoplasms, CT Liposarcoma, mediastinum

수치

Fig. 2. Primary liposarcoma of mediastinum in 70-year-old man who had dyspnea and chest pain.

참조

관련 문서

However, all greetings are usually used to welcome people and wish them

Nonlinear Optics Lab...

Since every classical or virtual knot is equivalent to the unknot via a sequence of the extended Reidmeister moves together with the forbidden moves, illustrated in Section 2,

웹 표준을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큰 수정없이 실행 가능함 패키징을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위한 앱을 작성할 수 있음 네이티브 앱과

_____ culture appears to be attractive (도시의) to the

A tangential section of the common ivy, Hedera helix, shows some vasicentric tracheids to the left of the vessel, which is the white space at right.. A maceration of the wood

이하선의 실질 속에서 하악경의 후내측에서 나와 하악지의 내측면을 따라 앞으로 간다. (귀밑샘 부위에서 갈라져 나와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