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석상동 조선대학교대학원 상악에식립된Endopore 임플란트의후향적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석상동 조선대학교대학원 상악에식립된Endopore 임플란트의후향적연구"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8년 2월 석사학위논문

상악에 식립된 Endopore

임플란트의 후향적 연구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치 의 학 과

석 상 동

(2)

상악에 식립된 Endopore

임플란트의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studyofEndopore

system implantedinmaxilla

2008년 2월 일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치 의 학 과

석 상 동

(3)

상악에 식립된 Endopore

임플란트의 후향적 연구

지도교수 장 현 선

이 논문을 치의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6년 10월 일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치 의 학 과

석 상 동

(4)

석상동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 수 강 동 완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 병 옥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장 현 선 인

2007년 11월 일

조 선 대 학 교 대 학 원

(5)

목 목 목 목 차 차 차 차

영문초록

I. 서론 ··· 1

II. 연구재료 및 방법 ··· 3

III. 연구결과 ··· 4

IV. 고찰 ···9

V. 결론 ···12

참고문헌 ···13

(6)

A A A

A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retrospective study study study study of of of of Endopore Endopore Endopore Endopore

system system system system implanted

implanted implanted

implanted in in in in maxilla maxilla maxilla maxilla

Seok Sang-Dong, D.D.S.

Advisor: Prof. Jang Hyun-Seon, Ph.D.

Departmen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replacement of missing teeth is often complicated by minimal remaining alveolar ridge bone height. Successful management with dental implants of traditional(primarily threaded) designs requires that there be sufficient bone height to receive implants that are at least 13 mm long. A dental implant covered partially with a sintered porous coating (Endopore) developed at the University of Toronto was tested. This implant is a tapered, truncaed-cone endosseous root-form implant fabricated from Ti-6Al-4V. It utilizes a powder-sintered porous surface geometry over most of its length to promote three-dimensional bone ingrowth and implant stabilization.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distribution of patient who installed Endopore at maxilla in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types of implant for about 4 years recall check and cumulative survival rate.

Between October 2001 and October 2006, a total of 54 Endopore implants were inserted in 30 patients. Study center was located at the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Korea: The Department of Periodontics. The patient’s chart and radiographic view were u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criteria for survival rate of implant used to determine implant status included: 1. Absence of persistents subjective complaints, such as pain, foreign body sensation. And/or dysesthesia.

2. Absence of a recurrent peri-implant infection with suppuration. 3. Absence of mobility. 4. Absence of a continuous radiolucency around the implant.

The result were as followed:

1. The survival rate of Endoporeimplanted in maxilla s was 96.2%.

2. Posterior area was accounted for 96.3% of the whole implant surgery.

3.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49.9 months and the longest follow up period was 69 months

4. The majority of implants were those of 7 and 9 mm in length with regular diameter.

(7)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intered porous dental implant (Endopore system) is useful in maxilla.

Key words : Sintered porous dental implant, Endopore implant, Retrospective study

(8)

I.

I. I.

I. 서론 서론 서론 서론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법이 상실된 치아를 수복하는 기존의 방법을 대처하여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인접치아의 삭제로 인한 우식증과 근관치료 의 위험성이 높아지며, 변연적합이 부적절한 경우 치주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높이고,1) 골흡수를 과도하게 지속시킬 수 있다.2,3) 가철성 보철물의 경우 저작 효율의 감소 및 잔존골의 점진적 흡수, 그리고 환자의 불만족등에 의해 환자 만족도가 높지 않다는 단 점4,5)으로 인해 최근에는 상실된 치아의 수복에서 임플란트 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 고 있다.

1960대에 Branemark등6)에 의해 골과 티타늄의 골유착에 기초를 둔 현재의 임플란트의 개념이 확립된 후 골유착 임플란트는 무치악 환자에서 의치를 영구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처음에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 국한되어 시술되었으나, 지금은 부 분 무치악 환자에서도 보편적인 치료로 자리를 잡았으며 장기간 안정성을 가지고 성공 적으로 유지되어 왔다.7,8)

임플란트가 보편화되고 그만큼 성공적인 치료 방법으로 여겨지게 된 것은 임플란트의 디자인, 표면처리 등 전반적인 임플란트 학문의 향상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임 플란트의 성공적인 골융합을 위해서는 식립시 초기 안정성이 필수적인 조건이며, 이는 수술부위의 골의 밀도, 수술적 방법, 그리고 임플란트의 미세구조와 거시적 구조 및 형 태가 이를 결정하게 된다.9) 이러한 점에서 상악 구치부의 상실과 이에 따른 회복은 최 소로 남은 치조골의 높이와 불량한 골질, 상악동이라는 구조물로 인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악에서 전통적인 형태의 임플란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치조골능에서부터 상악동 저까지 최소한 13mm의 골이 요구되나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0,11)

골질이 낮은 곳에서의 성공적인 임플란트 식립을 위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마 된 평활한 표면을 가진 임플란트보다 표면처리를 통해 거친 표면을 가진 임플란트가 골 질이 불량한 부위에서 높은 성공률을 보여줌이 밝혀졌다. 이러한 개념으로 부분적으로 다공성구조가 매몰된 임플란트인 Endopore 임플란트가 토론토 대학에서 개발되어 현 재 임상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Endopore 임플란트의 특징은 표면에 작은 구들이 매 몰되어 있어 삼차원적인 표면적을 늘림으로 골성장과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구조 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12)

Sintered porous surface를 이용한 Endopore 임플란트는 sintering 과정에 의해 임 플란트의 표면이 제작된다.13) Sintering 과정이란 임플란트 본체에 산화되는 접착제 (organic binder)를 이용하여 다양한 직경(44~150μm)의 티타늄 미세구(microsphere)를 2~3층으로 임시접착후 1250℃의 온도를 유지하는 진공상태의 화로에서 1시간동안의 열

(9)

처리하는 과정이다. 이때 organic binder는 약 500℃에서 산화되어 제거되고, 티타늄 미세구는 임플란트 본체 및 심세구 상호간에 강력한 결합을 형성한다. 15,000~20,000℃

의 높은 온도를 이용하는 titanium plasma sprayed coating과는 달리 금속이 녹지않고 확산되어 미세구멍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미세구멍은 3차원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Pilliar등14) 의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미세구멍은 골의 전도를 촉진한다고 알려 져있다.

Sintering 과정에 이용되는 미세구는 직경 44~150μm titanium alloy bead가 사용되며 sintering을 통해 형성된 미세구멍의 직경은 골전도에 유리한 평균 100μm(50~150μm) 이다.15) Endopore 임플란트의 단면을 보면 2~3층의 미세구가 하부의 임플란트 본체 에 결합되어 있다. Sintered porous surface의 두께는 약 300μm이다. Metallic interatomic bonding에 의해 결합된 미세구는 implant body와 미세구 상호간에 강한 결 합을 하며 이렇게 형성된 sintered neck의 직경은 전체 미세구 직경의 약 40%를 차지한 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증가된 표면적으로 기존의 machined smooth surface implant에 비해 3배이상 증가됨으로 짧은 길이에서도 성공률이 뛰어나다.

이에 본 연구는 상악 무치악부에 Endopore임플란트를 식립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 로 그 식립 분포 및 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II.

II. II.

II. 연구 연구 연구 재료 연구 재료 재료 및 재료 및 및 방법 및 방법 방법 방법

1. 연구대상.

2001년 1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환자중 상악에 Endopore 임플란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술받은 30명의 환자에게 이식 된 54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한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각 항목별로 검색이 가능한 경우, 그리고 재소환에 응한 환자들만 통계에 포함시켰다.

2. 연구방법

환자의 진료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1) 환자의 유형 및 임플란트의 분포 2) 수술시 사용되었던 임플란의 직경과 길이 3) 식립후 재소환 기간 4) 1회법 또는 2회법 시술 5) 임플란트의 생존율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모든 환자들에 대하여 구강검사 및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당뇨, 방사선치 료여부, 혈액질환, 골다공증, 정신질환 등에 대한 전신병력 검사와 함께 흡연에 대한 검사도 함께 시행하였다. 이때 조절되지 않은 금기증의 환자들은 임플란트 수술을 시행 하지 않았다.

식립된 총 54개의 임플란트 중 실패로 인하여 제거된 임플란트 수를 기록하고 생존율

(10)

을 계산하였다. 또한 각 환자별로 식립후 재소환 기간을 기록하였다.

3. 평가 방법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기준은 Buser16) 등과 Cochran17)등에 의한 기준을 따라 평가 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1) 각 임플란트가 임상검사시 동요도가 없을 것 2) 동통이나 주관적인 이상 감각이 없을 것 3)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없을 것

4) 임플란트 주위로 지속적인 방사선 투과상이 없을 것

III III III III 결과 결과 결과 결과

1. 1. 1.

1. 환자의 환자의 환자의 환자의 나이 나이 나이 및 나이 및 및 및 성별 성별 성별 분포 성별 분포 분포 분포

남성과 여성 환자의 수는 각각 20명(66.7%)과 10명(33.3%)였으며, 환자의 연령에 따른 분포를 보면, 29세에서 69세까지 분포되어 있으며, 40~50대가 가장 많았다. 평균연령은 48.2±8.83세였다. 남성환자만 보면 40~50대와 50~60대가 8명씩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48.2±8.83세였으며, 여성환자는 40~50대가 5명으로 가장 많았다. 여성환자의 평 균연령은 46.3±8.98로 남자환자보다 낮았다(Table 1.).

     Patients Patients Patients Patients Male

Male Male

Male Female Female Female Female Total Total Total Total

<30

<30

<30

<30 1 0 1

30~40 30~40 30~40

30~40 2 2 4

40~50 40~50 40~50

40~50 8 5 13

50~60 50~60 50~60

50~60 8 2 10

60<

60<

60<

60< 1 1 2

Total Total Total

Total 20 20 20 20 10 10 10 10 30 30 30 30

Table 1.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age according to sex

2. 환자의 나이 및 성별에 따른 임플란트 분포

환자의 연령에 따른 임플란트 식립 분포를 보면, 식립된 54개의 임플란트 중 50~60대가 23개로 가장 많았으며, 40~50대가 22개로 두 번째로 많았다. 남자환자의 경우 40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50~60대에 가장 많은 수의 임플란트를 식립받았다. 여자환자

(11)

의 경우 40~50대가 가장 많았다(Table 2.).

     Implants Implants Implants Implants Male

Male Male

Male Female Female Female Female Total Total Total Total

<30

<30

<30

<30 2 0 2

30~40 30~40 30~40

30~40 2 2 2

40~50 40~50 40~50

40~50 14 8 14

50~60 50~60 50~60

50~60 20 3 20

60<

60<

60<

60< 2 1 2

Total Total Total

Total 40 40 40 40 14 14 14 14 54 54 54 54

Table 2. The distribution of implant according to patients' sex and age

3.

3. 3.

3. 한 한 한 한 환자당 환자당 환자당 식립된 환자당 식립된 식립된 식립된 임플란트 임플란트 임플란트 수의 임플란트 수의 수의 수의 평균 평균 평균 평균

전체 30명의 환자중 54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평균적으로 1.8±0.96개가 식립되었 다. 두 개를 식립받은 환자가 1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개 식립이 14명이었다. 남자환 자의 경우 20명의 환자중 40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2.0±1.03이었으며, 2개 식립이 8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1개 식립이 7명이었다. 여자 환자는 10명의 환자에서 14개의 임 플란트를 식립하여 평균 1.4±0.7개였으며, 1개를 식립받은 환자가 7명으로 가장 많았 다. 한 환자에서 가장 많이 식립된 경우는 5개였다(Table 3.).

     Male Male Male Male Female Female Female Female Total Total Total Total 1

1 1

1 7 7 14

2 2

2 2 8 2 15

3 3

3 3 4 1 5

4 4 4

4 0 0 0

5 5 5

5 1 0 1

Total Total Total

Total 20 20 20 20 10 10 10 10 30 30 30 30

Table 3. The number of implant to each patient

4. 4. 4.

4. 식립된 식립된 식립된 식립된 임플란트의 임플란트의 임플란트의 위치 임플란트의 위치 위치 위치 및 및 및 분포 및 분포 분포 분포

총 54개의 임플란트가 모두 상악에 식립되었다. 식립된 부위는 다음과 같다. 전치부와 구치부에 있어서 2개와 52개로 구치부에 대부분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대구치부 에서 35개, 소구치부에 17개가 식립되어 구치부에 50%이상 식립되었다(Table 4.).

(12)

     Anterior Anterior Anterior Anterior Posterior Posterior Posterior Posterior

total total total total Premolar

Premolar Premolar

Premolar Molar Molar Molar Molar Right

Right Right

Right 0 5 13 18

Left Left Left

Left 2 12 22 36

toal toal toal

toal 2 2 2 2 17 17 17 17 35 35 35 35 54 54 54 54

Table 4. Distribution of implant according to position

5. 5. 5.

5. 재내원 재내원 재내원 재내원 기간 기간 기간 기간

환자들의 평균 재내원 기간은 49.9±17.9였으며 가장 오랜기간 재내원한 환자는 식립후 5년 9개월된 환자였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식립후 4년에서 5년째의 환자가 가장 많았으 며, 다음으로는 5년에서 6년째의 환자였다(Table 5.).

    Follow Follow Follow up Follow up up up period period period period (months) (months) (months) (months)

Number Number Number Number

<12 0

13~24 8

25~36 4

37~48 3

49~60 20

61~72 19

Total Total Total

Total 54 54 54 54

Table 5. The distribution of implant according to the follow up period.

6. 6. 6.

6. 사용된 사용된 사용된 사용된 임플란트의 임플란트의 임플란트의 길이 임플란트의 길이 길이 길이 및 및 및 직경 및 직경 직경 직경

Endopore 임플란트의 경우 고정체의 길이는 5mm, 7mm, 9mm, 12mm가 있으며 사용된 임플란트 길이는 9mm가 28개로 가장 많았으며, 7mm가 20개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 둘을 합친 수가 전체의 88.9%를 차지하였다(Table 6). 직경의 경우 narrow(3.5mm).

regular(4.1mm), wide(5.0mm)가 있으며, 이중 narrow type은 9mm길이만 제공된다. 이중 환자들에게 사용되었던 임플란트는 regular와 wide가 각각 27개씩 사용되었으며 narrow type은 사용되지 않았다(Table 7.). 직경과 길이를 같이 고려하였을 때, 직경 4.1mm에 길이 9mm, 직경 5mm에 길이 7mm, 직경 5mm에 길이 9mm가 각각 12개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들 임플란트의 각 합은 전체 이용된 임플란트의 절반을 넘었다(Table 8.).

(13)

     Anterior Anterior Anterior Anterior Posterior Posterior Posterior Posterior

Total Total Total Total Right

Right Right

Right Left Left Left Left Right Right Right Right Left Left Left Left Narrow

Narrow Narrow

Narrow 0 0 0 0 0

Regular Regular Regular

Regular 0 2 8 17 27

Wide Wide

Wide Wide 0 0 10 17 27

Total Total Total

Total 0 0 0 0 2 2 2 2 18 18 18 18 34 34 34 34 54 54 54 54

Table 6. Distribution of the implant diameter placed according the the location.

     Anterior Anterior Anterior Anterior Posterior Posterior Posterior Posterior      Total Total Total Total Right

Right Right

Right Left Left Left Left Right Right Right Right Left Left Left Left 5mm

5mm 5mm

5mm 0 0 0 2 2

7mm 7mm 7mm

7mm 0 0 9 11 20

9mm 9mm

9mm 9mm 0 2 7 19 28

12mm 12mm 12mm

12mm 0 0 2 2 4

Total Total Total

Total 0 0 0 0 2 2 2 2 18 18 18 18 34 34 34 34 54 54 54 54

Table 7. Distribution of implant length according to the location.

length length length length diameter diameter diameter

diameter      5mm 5mm 5mm 5mm 7mm 7mm 7mm 7mm 9mm 9mm 9mm 9mm 12mm 12mm 12mm 12mm Total Total Total Total Narrow(3.5)

Narrow(3.5) Narrow(3.5)

Narrow(3.5) 0 0 0 0 0

Regualr(4.1) Regualr(4.1) Regualr(4.1)

Regualr(4.1) 0  8 16 3 27

Wide(5.0) Wide(5.0) Wide(5.0)

Wide(5.0) 2 12 12 1 27

Total Total Total

Total 2 20 28 4 54

Table 8.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inserted implants according to the length and diameter.

7.

7. 7.

7. 수술방법 수술방법 수술방법 수술방법 (1 (1 (1회법 (1 회법 회법 또는 회법 또는 또는 또는 2 2 2회법 2 회법 회법 회법) ) ) )

총 54개의 임플란트중 25개가 1회법으로 시술되었으며, 29개가 2회법으로 식립되었다.

2회법으로 시술한 경우, 2차 수술까지 소요된 시간은 평균적으로 8±2.35개월이었으며, 최저 5개월에서 최대 18개월까지 기다려 2차 수술을 시행하였다(Table 9.).

(14)

one stage

two stage

(months) Total

6M 7M 8M 9M 11M 18M

Number

of implants 25 5 11 5 5 2 1 54

Table 9.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inserted implants according procedure.

8.

8. 8.

8. 임플란트 임플란트 임플란트 임플란트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생존율

식립된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54개의 implant 중 52개가 양호하여 96.2%의 생존율을 나 타내었다. 제거되었던 2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부위 등은 Table 10에 나타내었는데, 그 하나는 #23번 부위에 식립된 4.1 * 9mm 임플란트였는데, 기능후 27개월만에 발거되었 다. 다른 하나는 #27번 부위에 식립된 5* 7mm 임플란트였는데, 식립과 동시에 GBR이 시 행되었던 부위였으며, 기능후 26개월후 발거되었다(Table 10.).

Patient 1 Patient 2

Age 49 57

Sex Male Male

Area #23 #26

Follow up period

after function 27 months 26 months

Diameter × Length 4.1mm × 9mm 5mm × 7mm

Note Heavy smoker Heavy smoker,

Implantation with GBR.

Table 11. The failed implants

IV.

IV. IV.

IV. 고찰 고찰 고찰 고찰

1960년대 Branemark에 의해 "Osseointegration"개념이 도입된 이후, 치과영역에서 임 플란트가 차치하는 비중은 점차 증가되어 왔다. 특히 상악 구치부는 불량한 골질과 상 악동이라는 구조적 제한점으로 인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고안되어 왔다. 여러 연구에서 표면의 거칠기, 미세형태, 구조등을 포함하는 미시적인 표면특성 과 거시적인 임플란트 디자인의 차이가 임상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

(15)

다.18~20)

1983년 개발된 Enpore 임플란트는 표면 처리가 sintered porous surface를 지님으로 써 기존의 machined smooth surface implant에 비해 표면적이 3배이상 증가되어, 골의 3차원적 내성장에 의해 강력한 골유착으로 짧은 길이의 임플란트에서도 성공률이 높다 고 알려져있다.

상악 후방부의 경우 상악동이라는 제한적 구조물로 인해 일반적인 형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엔 골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골유도재생술이나 상악동 거상술같은 외과적인 술식이 요구된다. 그러나 Endopore 임플란트의 경우 기 존의 임플란트에 비해 짧은 길이(≤7mm)에서도 높은 성공률을 보고하였다21). 2001년도 Deporter등22)은 평균 8.7mm 길이의 Endopore implant를 식립한 상악 구치부에서 97.3%의 높은 성공률을 보고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하여 상악에 Endopore 임플란트 를 식립받고 보철치료까지 완료된 30명의 환자의 54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Endopore 임플란트를 식립받은 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았으며, 식립된 임플란트 수도 남자가 더 많았다. 환자의 연령 또한 40~50대에서 가장 많았으나, 식립된 수의 분포를 보면 50~60대에서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남성환자에서 더 두드러지는데, 여성 환자의 경우 환자의 연령 대와 임플란트 식립수가 모두 40~50대에서 가장 많다. 남성 환자의 경우 환자의 연령대 가 40~50대와 50~60대가 8명씩으로 동일하나 임플란트 식립수의 연령분포를 보면 50~60 대가 20개로 40~50대의 14개에 비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남성의 경우 여 성보다 고연령대에서 다수의 치아를 상실하고 임플란트로 회복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1996년 미국의 Midwest Implant Institute서의 연구에서 94.8%의 성공률을 보고한 바 있는데, 이 연구에 의하면 machined smooth surface implant와는 다르게 Endopore implant는 골질과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23) 본 연구에서 는 상악에 식립된 Endopore 임플란트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96.3%를 나 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임플란트 식립분포를 보면 전방부에 2개, 후방부에 52개로 88.9%가 후방부에 식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같이 본 연구에서 주로 골량이 부족 한 상악 후방부에 주로 식립되었으며 높은 생존율을 나타냄으로써, 향후 하악에 비하여 골질이 약한 상악에서, 또한 상악동이 위치하여 짧은 임플란트가 고려될 수 있는 상악 구치부에서 Endopore implant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Endopore 임플란트에 대하여 Periotest value(PTV)를 이용한 연구에 의하면, 임플 란트 길이와 PTV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직경과 PTV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데, wide 임플란트에서 더 양호한 PTV를 나타낸다는 것이다.24) 본 연구에서도 분석한 54개의 Endopore 임플란트가 모두 regular 또는 wide형의 임플란트였고, 평균 49개월간 재소환하여 관찰한 결과 그 생존율이 96.2%로 높게 나타났다.

(16)

Endopore 임플란트는 2차법으로 개발되었지만 초기고정이 양호한 경우 1차법으로도 식립이 가능하다. 이번 연구에서도 절반정도인 25개의 임플란트가 1차법에 의하여 식립 되었으며, 2차법을 이용한 경우 평균적으로 8개월을 기다려 2차수술이 시행되었다. 특 이할만한 점으로 2차수술을 18개월만에 시행한 환자가 있는데, 이는 이 환자가 1차수술 후 외국에 1년정도 다녀와서 2차수술까지의 기간이 길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총 54 개의 임플란트 중 2개가 발거되었는데, 그 하나는 상악좌측견치 부위에 식립된 직경 4.1mm, 길이 9mm의 임플란트로 기능후 27개월만에 제거되었고, 다른 하나는 상악좌측 제 2대구치 부위에 골유도재생술과 동시에 식립된 직경 5mm, 길이 7mm 임플란트로써 기 능후 26개월후 발거되었다. 이 두개의 임플란트가 발거된 원인을 여러 가지로 고려할 수 있으나, 두 환자 모두 heavy smoker였으며, 견치와 제2대구치 부위로써 모두 역학적 으로 부하가 높은 부위에 식립된 임플란트라는 점이 특징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악의 무치악부 임플란트 치료시 Endopore 임플란트가 유용 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장기간의 성공적인 임플란트 관리를 위하여 주기적인 치태조 절은 물론이고 임플란트 환자들의 습관 및 교합력 등 다양한 점검이 필요하리라 생각된 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하악에 식립된 증례가 적어서 상악만 전반적으로 분석하였는 데, 향후 하악에 식립된 임플란트의 후향적 분석 등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V V V V 결론 결론 결론 결론

이 연구는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 내원하여 상악에 Endopore 임플란트를 식 립받은 30명의 환자, 54개의 임플란트에 대하여 그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1. 54개의 임플란트중 2개의 임플란트가 탈락되어 생존율은 96.3%였다.

2. 30명의 환자중 20명이 남자, 10명이 여자환자였으며, 40대와 50대 환자가 76.7%로 나타났다. 환자의 평균연령은 48.2세였다.

2. 54개의 임플란트중 50대가 23개, 40대가 22개로 가장 많았으며, 남자환자는 50 대가, 여자환자는 40대가 가장 많았다.

3. 한 환자당 식립된 임플란트의 수는 평균 1.8개였으며, 남자환자는 평균 2개, 여자환자는 1.4개였다.

4. 54개의 임플란트중 2개만이 전방부에 식립되었으며 후방부에 식립된 임플란트 중 35개가 대구치부에 식립되어 전체의 절반이 넘게 식립되었다.

(17)

5. 환자의 평균 재내원 기간은 49.9개월이었으며, 식립후 4년이상 경과된 환자가 전체의 절반이상이었다.

6.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는 직경 4.1mm, 길이 9mm가 가장 많았다. 직경 3.5mm 의 narrow형태는 식립되지 않았다.

7. 54개의 임플란트중 25개는 일회법으로 식립하였으며, 29개는 2회법으로 식립하 였다. 2회법 시행시 소요된 기간은 평균 8개월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Endopore 임플란트가 상악에서 임상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향후 상악의 임플란트 치료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에는 X-ray 분석을 포함한 장기간의 추적결과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8)

Reference

1. Waerhaug J. Periodontology and partial prosthesis. Int Dent. J 1968:18(1):101-107.

2. Carlsson G, Persson G. Morphologic changes of the mandible after extraction and wearing dentures : A longitudinal clinical and x-ray cephalometric study covering 5 years. Odont Revy 1967:18:27-54

3. Pietrokovski J. The bony residual ridge in man. J Prosthet Dent 1975:34:456-462

4. Carr A. Laney WR. Maximum occlusal force levels in patients with

osseointegrated oral implant prosthesis and patien with complete dentur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7:2:101-110.

5. Wetherell J. Smales R. Partial denturues failure: A long-term clinical survey.

J Dent Res 1980:8:333-340.

6. Branemark PI, Adell R, Breine U et al. Intra-osseous anchorage of dental prostheses. I. Experimental studies. Scan J Plast Reconstr Surg

1969;3(2):81-100.

7. Lekholm U. Survival of the Branemark implant in partially edentulous jaws : A 10 year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639-645.

8. Lindhe T, Gunne J. Tillberg A. et al. A meta-analysis of implants in partial edentulism. Clin Oral Implants Res. 1998:9:80-90.

9. 한창식, 허남기, 김연미. 최신 치과임플란트. 지성출판사. 2001.

10. Steenberghe DV, Lekholm U, Bolender C, et al. The aaplicability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in the rehabilitation of edentulism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558 fixtur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0;5:272-281

11. Summers RB. The osteotome technique: Part 3: Less invasive methods of elevating the sinus floor. Compend Contin Educ Dent 1994;15:698-708 12. Tache, A, Gan L, Deporter D, Pillar RM. Effect of surface chemistry on the rate of osseointegration of sintered porous-surfaced Ti-6Al-4V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19:19-28.

13. 김명래. 부위 및 종류로 보는 다양한 임플란트 증례. 정원사. 2005.

14. Dziedzix DM. Effects of implant surface topography on osteoconduction.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1994.

15. Pilliar RM. Overview of surface variability of metallic endosseous dental implants: Textured and porous surface-structured design. Implant Dent 1998;7:305-314

16. Buser D, Mericske-Stern R, Bernard JP et al. Long-term evaluation of non-submerged ITI implants. Part I: 8-year life table analysis of a

(19)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with 2359 implants. Clin Oral Implants Res.

1997;8:161-172

17. Cochran DL. Buser D, ten Bruggenkate C et al. Basic surgical principles with ITI implants. Clin Oral Impl Res 2000;12 Suppl. 1;59-68.

18. Schwartz Z, Martin JY, Dean DD et al. Effect of titanium surface roughness on chondrocyte proliferation, matrix production and differentiation depends upon the state of cell maturation. J Biomed Mater Res 1996;30:145-155.

19. Quirynen M, Naert I, van Steenberghe D. Fixture design and overload influence marginal bone and fixture success in the Branemark system. Clin Oral Implants Res. 1992;3:104-111

20. De Leonardis D, Garg AK, Percora GE. Osseointegration of rough

acid-etched titanium implants: 5-years follow up of 100 minimatic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384-391

21. Hagi D, Deporter DA, Pilliar RM et al. A targeted review of study

outcomes with short(≤7mm) endosseous dental implant placed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J Periodontol. 2004;75:798-804.

22. Deporter DA, Todescan R, Waston PA et al. A prospective human clinical trial of Endopore dental implants in restoring the partially edentulous maxilla using fixed prosthese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527-536

22. Deporter DA, Waston PA, Pharoah M et al. Ten-year results of a

prospective study using porous-surfaced dental implants and a mandibular overdenture.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2;4:183-189

23. Heller AL, Heller RL. Clinical evaluations of a porous-surfaced endosseous implant system. J Oral Implantol. 1996;22:240-246.

24. Deporter DA, Todescan R, Riley N. Porous-surfaced dental implants in the partially edentulous maxilla:Assessment for subclinical mobilit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2;22:184-192

(20)

저작물 저작물 저작물

저작물 이용 이용 이용 허락서 이용 허락서 허락서 허락서

학 과 치의학과 학 번 20067182 과 정 석사

성 명 한글: 석 상 동 한문 : 庾 相 焌 영문 : Yu Sang-Joun 주 소

연락처 E-MAIL :

논문제목

한글 : 상악에 식립된 Endopore임플란트 후향적 연구

영문 : A retrospective study of Endopore system implanted in maxilla

본인이 저작한 위의 저작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아래 조선대학교가 저작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고 동의합니다.

- 다 음 -

1. 저작물의 DB구축 및 인터넷을 포함한 정보통신망에의 공개를 위한 저작물의 복제,기억장치에의 저장, 전송 등을 허락함

2. 위의 목적을 위하여 필요한 범위 내에서의 편집ㆍ형식상의 변경을 허락함. 다만, 저작물의 내용변경은 금지함.

3. 배포ㆍ전송된 저작물의 영리적 목적을 위한 복제, 저장, 전송 등은 금지함.

4. 저작물에 대한 이용기간은 5년으로 하고, 기간종료 3개월 이내에 별도의 의사 표시가 없을 경우에는 저작물의 이용기간을 계속 연장함.

5.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을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또는 출판을 허락을 하였을 경우에는 1개월 이내에 대학에 이를 통보함.

6. 조선대학교는 저작물의 이용허락 이후 해당 저작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타인에 의한 권리 침해에 대하여 일체의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

7. 소속대학의 협정기관에 저작물의 제공 및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저작물의 전송ㆍ출력을 허락함.

동의여부 동의여부 동의여부

동의여부 : : : 동의: 동의동의( 동의( ( ( O O O O ) ) ) ) 반대반대반대( 반대( ( ( ) ) ) )

2008년 2월 일

저작자: 석 상 동 (서명 또는 인)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총장 총장 총장 총장 귀하귀하귀하귀하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whether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institution enhancing the experti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thods: I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records of children aged between 4 and 19 years who were treated with flunarizine for headache at

OM images of porcelain fused to Ni-Cr alloy composite extracted from a dental patient after about four years usage (shown only metal portion which was

This study examined the sensibility about the fundamental value of ‘safety’ of police officer who are responsible for the public security to establish

Histopathologic findings of control group at 4 weeks show little bone- implant contact (BIC) around the implant (asterisks) and new-bone formation in the def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iversity Taekwondo coaches' types of leadership on players' anxiety about intense competition. The study subjects were

Measurement of proximal contact tightness between the left first molar and second molar(dental implant) in the mandible... Clinical dental anatomy, histology,

Evaluating parameter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a two- dimentional comparative study examining the effects of im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