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Posterior Approach in Cervical Meningioma - Case Report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Posterior Approach in Cervical Meningioma - Case Report -"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 261 KISEP Case Reports J Korean Neurosurg Soc 29::261-264, 2000

후방 경유법에 의한 경추부 수막종 제거후 발생한 전방 경막외 혈종

- 증 례 보 고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서동상·김범태·조성진·장재칠·신원한·최순관·변박장

= Abstract =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Posterior Approach in Cervical Meningioma

- --

- Case Report ----

Dong-Sang Suh, M.D., Bum-Tae Kim, M.D., Sung-Jin Cho, M.D., Jae-Chil Chang, M.D., Won-Han Shin, M.D., Soon-Kwan Choi, M.D., Bark-Jang Byun,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Korea

e report a case of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after removal of cervical meningioma by posterior app- roach, which occurred in a 61-year-old man who presented with left hemiparesis and hypalgesia. A cervical mass surgically confirmed as meningioma was removed by posterior approach. 3 hours after operation, the patient revealed quadriparesis with respiratory difficulty. We herewith report a rare case of 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 which caused a catastrophic aggrevation of postoperative course.

KEY WORDS:Anterior spinal epidural hematoma・Posterior approach・Cervical meningioma.

서 론

척수경막외 혈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1869년 Jack- son6)에 의해“spinal apoplexy”로 처음 발표되었고, 그 후 1995년까지 총 275예의 보고가 있으나, 척추 수술후 반대 편에 발생한 경막외 혈종에 대한 보고는 없다. 본 교실에서 는 상부 경추부 수막종을 후방 경유법으로 척추궁절제술 후 전적출술을 시행한 후에 예상하지 못한 전방 경막외 혈종 1 례를 경험하였다.

증 례

환 자:한○○, 남자, 61세.

주 소:좌측 상하지 부전 마비 및 이상 감각.

가족력 및 과거력:특이 사항 없음.

현병력:내원 1년전부터 시작된 좌측 하지 근력의 감소

와 5~6개월전부터 시작된 좌측 상지로의 방사통과 이상감 각이 발생하였으며, 최근에는 점차 진행되었다.

이학적 및 신경학적 소견:이학적 소견은 특이사항이 없 었으나, 신경학적 검사상 좌측 상하지의 부전마비와 좌측 제6 경추 피부절의 감각이상이 보였으며, 양측 모두에서 Babinski sign과 Ankle clonus가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검사소견:말초혈액검사상 혈소판 수 및 프로트롬빈 시간 등은 정상으로 출혈성 성향은 없었다. 흉부 X-선 검사, 간 기능 검사, 소변 검사 및 심전도 검사는 정상범위이었다.

방사선학적 소견:경추 전산화 단층 촬영상 제2경추내의 조영증강되는 둥근모양의 2×1cm정도의 종괴가 관찰되었 으며(Fig. 1), 경부 자기 공명 영상상, 제2경추와 제3경추의 전방에 위치한 경막내 종괴가 척수를 압박하고 있는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2).

수술 소견:전신마취하에서 제1경추부터 제3경추까지 후 방 경유법으로 완전 척추궁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좌측 척 수 경막상부에 경계가 명확하며, 경막의 전방에 유착되어

WW WW

(2)

후방 경유법에 의한 경추부 수막종 제거후 발생한 전방 경막외 혈종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 262

있는, 연한 핑크빛을 띤 연한 종괴가 촉지되어, 이에 경막내 수막종으로 판단하고, 양극성 소작기(bipolar cautery)와 외 과적 초음파 흡입기(CUSA:Cavitron Ultrasonic Surgical Aspirator)를 이용하여 완전 적출술을 시행하였다(Fig. 3).

수술후 경과:수술 3시간후에 사지 부전마비가 진행되며,

복부호흡을 동반한 호흡곤란증세가 나타나 응급으로 시행한 경추부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상 제1경추부터 제3경추의 척 수전방에 발생한 종괴가 제2, 3경추부의 척수를 압박하고 있어(Fig. 4) 척수전방의 경막외 혈종으로 판단하여, 응급수 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소견:이전의 수술 부위를 따라 절개한 후, 제1, 2, 3경추의 경막 내외부위는 큰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 나, 척수의 전방 경막을 절개하자, 검은 혈종이 관찰되어 이 를 제거하였다.

수술후 경과:혈종 제거후 환자의 신경학적 증상은 점차 호전되고, 보행이 가능한 상태까지 호전되어 퇴원하였고, 술 후 1년 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 경도의 좌측 상지로의 방사 통이 잔존하는 상태이다.

고 찰

대부분의 척수 경막외 혈종의 원인은 자발성으로2)6) 원인

Fig. 1. A computerized tomographic section shows round- shaped, isodense mass lesion on C2 level.

Fig. 2. T1-weighted MRI shows iso-signal intensity, round-sh- aped mass lesion in high cervical spinal cord.

Fig. 3. A:An intraoperative photograph shows a delineated pinkish, soft mass lesion on C2 level and spinal cord has been displaced dorsally by the mass lesion. B:An intraoperative photograph shows complete tumor removal.

Fig. 4. Postoperative CT scan shows crescenteric-shaped, hy- perdense mass lesion on anterior cervical spinal canal, displacing the spinal cord.

AA

AA BB BB

(3)

서동상 · 김범태 · 조성진 · 장재칠 · 신원한 · 최순관 · 변박장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 263

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를 일컫는다. 이 때에는 출혈성 질환 (coagulopathy), 동정맥 기형(AVM), 종양(neoplasm), 외 상(trauma), 수술후 합병증과 항응고제 투여의 경우는 제 외된다1)6). 특발성 원인으로는 척추 수술, 경막외 삽관술, 그 리고, 항응고제 치료 등이 73%정도를 점한다6). Lawton6) 등의 14년간의 보고에 따르면 수술 후 발생하는 척수 경막 외 혈종은 10,500례중 12례로 그 발생률은 0.1%로 매우 낮았으며, 경막외 삽관술과 항응고 치료후에 발생하는 척수 경막외 혈종 또한 매우 낮다고 보고하고 있다6). 이러한 척 수경막외 출혈이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부위는 흉추부이며, 그밖에 드물게 경추부와 요추부에도 발병한다3). 저자들의 예는 후방 경유법을 통해서 경추부 수막종 제거 후 전방 경 막외 혈종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개두술 후에 원발병소 반 대측에 발생하는 혈종의 경우와 유사한 기전으로 해석된다.

두개강내 원발병소 수술 후 반대측에 발생한 지연성 뇌경막 외 혈종이 형성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으며, 이러한 병소의 원인으로는 원발병소의 혈종이 반대측의 파열된 경막 혈관 을 압박하여 감압 개두술시 두개강내 혈종에 의한 대뇌 반 구에 대한 압력이 줄어들어 외상후 파열된 혈관에서 뇌경막 외 혈종이 형성되거나, 감압 개두술 자체로 경막과 두개골 의 내측면이 분리되며 혈관이 파열되어 뇌경막외 혈종이 형 성된다고 알려져 있다5)7). 저자들이 경험하였던 척수 경막 외 혈종의 경우, 척추내의 경막이 두개강내의 경막과는 달 리 추체에 붙어있지는 않으나, 경막외 공간에는 연부조직과 많은 정맥총이 있어10), 전기 소작술이나 외과적 초음파 흡 입기(CUSA)를 이용한 종양제거로 인하여 척추와 경막이 분리되고, 갑작스런 감압으로 경막혈관이 파열되어 척수 경 막외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척수 경막외 출혈이 경추부에 발병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임상적 양상으로는 점차 진행하는 신경학적 결손을 동반하 는 급성 병변을 보이며, 심한 경우 호흡마비로 인한 사망까 지 유발할 수 있다. 흉추부에 발병하는 경우는 대부분 대칭 성 마비가 초래되나, 혹 Brown-Sequard syndrome의 형 태로도 보일 수 있고, 요추부에 발병하는 경우는 만성적인 경과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다1)8).

진단에 있어서는 초기 검사로서는 전산화 단층 촬영이 매 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11). 전산화 단층 촬영상에서 혈종은 급성인 경우에는, 척수에 비교하여 고농도로, 아급성인 경우 에는 동질농도로, 관찰된다고 보고 되고2)11), 자기공명 영상 은 척수를 포함한 척수 연부조직을 잘 관찰할 수 있으며, 또 한 혈종의 모양, 범위와 영향정도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다 고 알려져 있다. 대개 자기공명 영상에서 혈종은 T1 강조 영상에서는 뇌실질과 비슷한 신호강도로, T2 강조 영상에서

는 고신호강도로 관찰된다3). 보고들에 의하면, 척수내부의 구조와 혈종과 척수의 연관성 등을 비교 관찰하기 위해서는 전산화 단층촬영보다는 자기공명 영상이 더 우수하다고 알 려져 있다3). 대개 수술은 척추궁 절제술 후 혈종 제거술을 시행하며, 수술시기가 빠를수록 신경학적 예후가 좋은 것으 로 알려져 있다6). Foo 등2)의 보고에 따르면, 수술적 치료의 결과는 1) 수술전 감각 및 운동 마비, 2) 척수강내 혈종의 위치, 3) 혈종의 크기, 4) 증세가 시작한 시기와 수술적 치 료를 시작한 시기등에 연관이 있다고 보며, 수술전에 운동 마비와 감각마비가 미약한 경우에는 90~100%정도의 완 전한 회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운동과 감각 모두가 마비인 경우에서는 회복의 기대치가 50%이하일 수밖에 없다고 한 다. Scott 등9)의 보고에 의하면, 혈종발견 후 24시간이내에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50%에서 완전 회복을 볼 수 있으며, 24시간이후에 수술을 하는 경우에서는 30%만이 완전 회복 을 한다고 하였다. 척수경막외 출혈은 드문 질환이지만, 이 번 증례와 마찬가지로 정확한 진단과 빠른 수술적 감압이 이루어진다면, 그 예후는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저자들은 후방 경유법을 통해서 경추부 수막종을 제거한 후 병발된 전방 경막외 혈종을 경험하였으며, 경추부 경막 내 수막종을 후방경유법으로 수술시, 종양의 제거를 위해 외과적 초음파 흡입기(CUSA)를 이용하는 경우에 갑작스런 감압이나 과도한 흡입으로 인하여 전방의 경막이 분리되면 서 경막의 정맥파열로 경막외 혈종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 였다.

결 론

본 교실에서는 후방 경유법으로 경추내 수막종 제거 후 수술 반대측의 경막외에 혈종이 발생한 1례를 경험하였으 며, 술 후 신경학적 증상의 악화를 보일 경우 이러한 경우도 예상할 수 있어야 하겠다.

논문접수일:1999년 6월 24일

심사완료일:1999년 9월 7일

책임저자:김 범 태

140-743 서울 용산구 한남동 657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전화:02) 709-9272, 전송:02) 792-5976 E-mail:kimbt@hosp.sch.ac.kr

References

1) Beatty RM, Winston KR:Spontaneous cervical epidural he- matomaA consideration of etiology. J Neurosurg 61143-

(4)

후방 경유법에 의한 경추부 수막종 제거후 발생한 전방 경막외 혈종

J Korean Neurosurg Soc/Volume 29/February, 2000 264

148, 1984

2) Foo D, Rossier AB:Preoperative neurological status in pre- dicting surgical outcome of spinal epidural hematomas. Surg Neurol 15389-401, 1981

3) Holtas S, Heiling M, Lonntoft M:Spontaneous spinal epi- dural hematomaFindings at MR Imaging and clinical corr- elation. Radiology 199409-413, 1996

4) Joseph AP, Vinen JD:Acute spinal epidural hematoma. J Emerg Med 11437-441, 1993

5) Kalfas IH, Little JR:Postoperative hemorrhageA Survey of 4992 Intracranial Procedures. Neurosurgery 23343-347, 1988

6) Lawton MT, Porter RW, Heiserman JE, et al : Surgical management of spinal epidural hematomaRelationship bet-

ween surgical timing and neurological outcome. J Neurosurg 831-7, 1995

7) Lee SH, Eoh W, Lee KH:Clinical experience of delayed post- traumatic contralateral epidural hematoma. J Kor Neurosurg Soc 241361-1365, 1995

8) Lee TY, Choi CS, Ju MB: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 atoma. J Kor Neurosurg Soc 231177-1180, 1994

9) Scott BB, Quising RG, Miller CA, et al:Spinal epidural hematoma. JAMA 235513-515, 1976

10) Williams PL, Warwick R, Dyson M, et al:Gray’s Anatomy, ed 37.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89, pp1086-1089 11) Zilkha A, Irwin GL, Fagelman D:Computed tomography of

spinal epidural hematoma. AJNR, 1983, pp1073-1076

수치

Fig. 1. A computerized tomographic section shows round- round-shaped, isodense mass lesion on C2 level

참조

관련 문서

전경부(앞목부위, anterior cervical region): 좌·우

Chest X-ray: Posterio-anterior (PA) View - Left Anterior Oblique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regression by diagnosis year of mental disorders according to diagnosis of cervical cancer ···

Endoscopic spine surgery has become a practical,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decompression in patients with spinal disc herniation or stenosis.. However,

Sandberg D, Lavyne M (1999) Symptomatic spinal epidural lipomatosis after local epidural corticosteroid injection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and radiological outcomes including bone fusion and subsidence that occurred after

Long-term outcomes of short dental implants supporting single crowns in posterior region: a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of 5-10 years.. Osteotome sinus

This research is that students who was registered athlete students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 among students, 5 students quited